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4 03:22:15

北の宿から

기타노 야도카라에서 넘어옴
파일:NHK 홍백가합전 로고.png
NHK 홍백가합전 토리(トリ)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ablealign=center><tablewidth=90>
하얀색 칸
검은색 칸
}}}
: 오토리(大トリ)
}}}
<rowcolor=#FFF>
연도
회차
紅組
白組
<rowcolor=#FFF>
가수
가수
<colbgcolor=#FDF5E7,#333>
1951년
<colbgcolor=#FDF5E7,#333>
쇼와 26년
<colbgcolor=#FDF5E7,#333>
1952년
쇼와 27년
1953년 1월
쇼와 28년
1953년 12월
쇼와 28년
1954년
쇼와 29년
1955년
쇼와 30년
1956년
쇼와 31년
1957년
쇼와 32년
1958년
쇼와 33년
1959년
쇼와 34년
1960년
쇼와 35년
1961년
쇼와 36년
1962년
쇼와 37년
1963년
쇼와 38년
1964년
쇼와 39년
1965년
쇼와 40년
1966년
쇼와 41년
1967년
쇼와 42년
1968년
쇼와 43년
1969년
쇼와 44년
1970년
쇼와 45년
1971년
쇼와 46년
1972년
쇼와 47년
1973년
쇼와 48년
1974년
쇼와 49년
1975년
쇼와 50년
1976년
쇼와 51년
1977년
쇼와 52년
1978년
쇼와 53년
1979년
쇼와 54년
1980년
쇼와 55년
1981년
쇼와 56년
1982년
쇼와 57년
1983년
쇼와 58년
1984년
쇼와 59년
1985년
쇼와 60년
1986년
쇼와 61년
1987년
쇼와 62년
1988년
쇼와 63년
1989년
헤이세이 원년
1990년
헤이세이 2년
1991년
헤이세이 3년
1992년
헤이세이 4년
赤とんぼ〜どこかに帰ろう
1993년
헤이세이 5년
1994년
헤이세이 6년
1995년
헤이세이 7년
1996년
헤이세이 8년
1997년
헤이세이 9년
1998년
헤이세이 10년
1999년
헤이세이 11년
2000년
헤이세이 12년
2001년
헤이세이 13년
2002년
헤이세이 14년
2003년
헤이세이 15년
2004년
헤이세이 16년
2005년
헤이세이 17년
2006년
헤이세이 18년
2007년
헤이세이 19년
2008년
헤이세이 20년
2009년
헤이세이 21년
その先へ 〜紅白スペシャルヴァージョン〜
2010년
헤이세이 22년
生きてゆくのです♡ feat. ザ紅白スペシャルブラスバンド
This is love '10 SPメドレー
2011년
헤이세이 23년
SMAP AID 紅白SP
2012년
헤이세이 24년
SMAP 2012'SP
2013년
헤이세이 25년
Joymap!!
2014년
헤이세이 26년
2014 Thanks Medley
2015년
헤이세이 27년
2016년
헤이세이 28년
嵐×紅白スペシャルメドレー
2017년
헤이세이 29년
2018년
헤이세이 30년
嵐×紅白スペシャルメドレー
{{{#!wiki style="margin: -15px -10px"
특별기획
<rowcolor=#FFF>
가수
}}}
2019년
레이와 원년
{{{#!wiki style="margin: -16px -11px"
アイノカタチメドレー
}}}
嵐×紅白スペシャルメドレー
2020년
레이와 2년
2021년
레이와 3년
明日へ 2021
道標 〜紅白2021ver.〜
2022년
레이와 4년
2023년
레이와 5년
{{{#!wiki style="margin: -16px -11px"
紅白スペシャル2023
}}}
「HELLO〜想望」 紅白スペシャルメドレー
2024년
레이와 6년
회차 · 사회 · 토리
}}}}}}}}}


1. 개요2. 한국 내

1. 개요

北の宿から(북녘의 여인숙)

일본엔카 명곡.

1975년 재일교포 2세(한국 이름 이춘미)인 미야코 하루미(都 はるみ)가 발표한 싱글에 수록된 곡으로 발표되자 크게 히트를 쳐서 1970년대 엔카의 대표곡이 되었다.

노래의 내용은 여인이 어떤 남자를 그리워 하는 내용인데 이 노래를 들은 남성들은 이 여인을 비련의 여인이나 심지어는 무서운 여인으로 보기도 했다. 그런탓에 소위 엔카박멸운동을 펼친 아와야 노리코가 이 곡을 예로 들면서 수동적인 여성상이라고 대차게 까기도 했다. 작사가는 이에 대해서 "나는 강한 여자를 생각하고 가사를 썼는데 사람들은 비련의 여인이나 무서운 여인으로 받아들였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오리콘 싱글차트 부분에 무려 44주동안이나 랭크되는 기록을 세웠는데 이 기록은 2003년에 나카지마 미유키에 의해 깨지게 된다.

2. 한국 내

한국에선 임상수감독의 2005년그때 그 사람들에서 각하앞에서 이 노래를 부르는 장면이 나온다. 가수 김윤아심수봉을 반영한 초대가수 역으로 캐스팅 되어 이 노래를 불렀다. 김윤아의 기타노 야도카라 영화 OST에는 수록되지 못했다. 저작권 문제도 있고, 이 노래는 OST를 위해 녹음된 것이 아니라 촬영 당시 즉석으로 김윤아 씨가 부른 곡이라서 재녹음하기가 곤란했기 때문. 그런데 당시 김윤아 씨가 노래를 굉장히 잘 불러서 실제 10.26 때도 심수봉씨가 이 엔카를 불렀다는 루머가 돌았고, 결국 심수봉 본인이 당시 궁정동 현장에서 엔카를 부른 적이 없다고 해명해야 했다. 실제로는 다른 일본 노래를 불렀더니 박 전 대통령이 사람들에게 왜 일본 여자를 데려왔냐며 크게 화를 내서 다른 노래를 부르면서 달래느라 고생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