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2:24:02

fun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미국의 록 밴드 펀(밴드)}}}에 대한 내용은 [[FUN.]]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FUN.#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FUN.#|]]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영어로 재미을 뜻하는 단어 fun}}}에 대한 내용은 [[재미]]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재미#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재미#|]]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미국의 록 밴드 펀(밴드): }}}[[FUN.]]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FUN.#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FUN.#|]]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영어로 재미을 뜻하는 단어 fun: }}}[[재미]]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재미#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재미#|]]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beatmania IIDX
2.1. 싱글 플레이2.2. 더블 플레이2.3. 아티스트 코멘트

1. 개요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가는 Mr.T.

2. beatmania IIDX

장르명 FUNK SHUFFLE
펑크 셔플
BPM 100-200[1]
전광판 표기 FUN
beatmania IIDX 난이도 체계
9th style ~ 11 IIDX RED
LIGHT7/14 7/14KEYS 어나더[2]
싱글 플레이 4 311 7 586 7 950
더블 플레이 4 311 7 586 - -
30 RESIDENT ~
노멀 하이퍼 어나더
싱글 플레이 4 311 7 586 10 950
더블 플레이 4 295 7 574 10 950

2.1. 싱글 플레이


SPA 영상

가벼운 경음악 분위기와 다르게 잦은 변속에 더해 난해한 판정[3]이 더해져, 난해한 판정의 Really Love 매우 느린 BPM과 트릴이 더해진 I can fly, I've got reason 등과 더불어 9th의 스코어링이 까다로운 중렙 지뢰곡 중 하나로 꼽혔었다.

2.2. 더블 플레이


DPA 영상

DPA 채보는 30 RESIDENT에서 부활하면서 추가되었다. 싱글과 마찬가지로 변속으로 인한 지뢰곡 양상이라, 비공식 기준 11.0였다가 11.2로 상향된것으로 보인다. (2024년 11월 기준)

2.3. 아티스트 코멘트

Mr.T / SOUND

피아노, 전자 피아노, 클라비코드, 오르간으로 이루어진 슈퍼 건반 합주곡입니다.
뭐, 합주라고는 했지만 전부 혼자 했기에 프레이즈 같은 부분이 비슷한 느낌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다구요.
게임적으로는 중간에 신시사이저 솔로 부분에서 템포가 2배가 되기도 해서 재밌다고는 생각하지만, 제가 직접 플레이 해보니까 조금 심술궂었나 싶어서 반성하고 있답니다.
VJ GYO / MOVIE

점점 손에 쥐는 클럽이나 스틱 수를 늘려가는 거리 공연의 꽃, 저글링.
보기만 해도 평소 맛볼 수 없는 스릴 넘치는 시간을 만끽할 수 있는데요, 이 곡을 플레이하고 있으면 왠지 자신이 저글러가 된 것 같은 기분이 드네요!

[1] 100 → 200 → 100 → 200 → 100[2] CS 9th에만 존재[3] 9th 당시의 사양 특성상 곡마다 판정 차이가 존재했다. 하필이면 이 곡이 9th 가동 당시 당작에서 판정이 나쁜 축으로 나온 경우라 악명을 더했고, 플로팅 시스템이 없었던 시절이라 변속 역시 큰 난점으로 여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