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4-29 14:11:06

Weverse/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Weverse
1. 개요
1.1. 위버스 1.0 시절1.2. 위버스 2.0 서비스 시작 이후
1.2.1. 위버스라이브 악플 대처 논란

[clearfix]

1. 개요

Weverse의 논란 및 사건 사고를 다룬다.

1.1. 위버스 1.0 시절

1.1.1. 여자친구 팬클럽 멤버십 환불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여자친구 쏘스뮤직 전속계약 종료 논란/환불 관련 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위버스 2.0 서비스 시작 이후

1.2.1. 위버스라이브 악플 대처 논란

브이 라이브 부터 꾸준히 지적된 라이브 악플을 제대로 대처 하지 못하는 사건들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파일:프로미스나인 채영 위버스라이브 악플.jpg

현재 프로미스나인 등 여러 위버스 입점 아티스트들을 향한 악플로 인해 피해를 보고 있다.
하지만 위버스는 아직도 이를 개선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심지어는 개선하지 않은 상태에서 유료로 바꿀려는 움직임만 보인다.


[1] 이는 그런 희화화나 가벼운 조롱, 농담을 나쁘게 생각하지 않는 해외와 국내 팬들간 문화적 차이이면서, 한 아이돌만의 팬인 국내 팬덤과 여러 아티스트를 동시에 좋아하는 해외 케이팝 팬(속칭 잡덕)들간의 성향 차이 때문이다.[2] 국내에서는 아이돌 그룹 한 팀만 팬 활동하는 것을 정석으로 여기지만 해외 팬들은 안 그렇다. 케이팝 여러 아티스트를 두루 좋아하고 두어 팀 팬클럽에 가입한다. 오로지 한 팀만 바라보는 게 특이한 존재. 국내 시각으로 보기엔 잡덕인 셈이다.[3] 아티스트 게시글에 존재하는 성희롱 댓글들이 팬들의 신고에도 불구하고 항상 일부가 남아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러한 악성 댓글 및 게시글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4] 대표적으로 프로미스나인이채영은 다른 팬이 이름을 먼저 가져가버리는 바람에 '이챙영'과 ‘이째용’닉네임으로 활동하는 웃지 못할 일이 벌어지고 말았다. 이후 해당 닉네임을 가진 유저와 컨택하여 정해진 시간에 동시에 닉네임을 바꾸는 방법으로 되찾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57
, 10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5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