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6:45:49

이더넷 케이블

UTP에서 넘어옴
유선통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신조어 초고속 인터넷 · 기가 인터넷 · 10기가 인터넷
기술 용어 HFC · FTTx(FTTH · FTTB) · ADSL · VDSL · ISDN · CO-LAN · DHCP · 비디오텍스
이더넷 · 기가비트 이더넷 · 10기가비트 이더넷 · 100기가비트 이더넷 · 테라비트 이더넷
방송 IPTV · 케이블 방송(셋톱박스)
브랜드 KT 인터넷 · B 인터넷 · U+ 인터넷
케이블 이더넷 케이블 · 광 케이블 · 동축 케이블
관련 문서 케이블 인터넷 · 유사광랜 · 두루넷 · · 비대칭형 인터넷 논란 · 인터넷전화 · 인터넷 공유기 · 망 중립성 · 망 사용료 }}}}}}}}}

파일:attachment/140370_1.jpg
1. 개요2. 구조3. 종류
3.1. 다이렉트 케이블
3.1.1. T568A vs T568B
3.2. 크로스 케이블3.3. 두 방식이 사용되는 이유
3.3.1. MDI/MDI-X 자동감지 기능
4. 차폐 단계에 따른 분류5. 카테고리에 따른 성능의 분류6. 전원 케이블로 사용7. 만들기8. 기타

[clearfix]

1. 개요

원래 전화선 용도로 쓰이다가 현대에서는 주로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이다. 가장 흔하게는 선(LAN線)이라고도 불리고, 혹은 세부 분류인 UTP라는 이름이 익숙하게 알려져 있기도 하다. 세부 분류는 아래 해당 문단 참고. 영어는 Ethernet Cable이다.

다만, 이더넷은 통신 매체를 어떤 것으로 써도 상관이 없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 광 케이블 등을 사용하더라도 아무 문제가 없다. 본 문서에서는 흔히 '이더넷 케이블','랜 케이블','랜선','UTP 케이블' 등으로 지칭되는 구리선 기반의 케이블을 다룬다.

2. 구조

파일:tiaab.gif
▲T568A, T568B는 랜 케이블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종단 배열이다.
파일:attachment/DF.jpg
▲위 랜 케이블은 종단 배열이 T568B이며 종류는 다이렉트 케이블이다.

랜 케이블은 8개의 구리선이 있으며, 다이렉트 배열과, 크로스 배열이 있다.

흰 줄무늬가 들어간 전선은 해당 색깔의 전선과 꼬여 있음을 의미한다. 이더넷은 기본적으로 밸런스 연결이다. 단색으로 되어 있는 선은 밸런스드 라인의 콜드 신호를, 흰색이 섞여 있는 선은 밸런스드 라인의 핫 신호를 전송한다. 선이 꼬인 이유는 노이즈 감소를 위해서이다. 밸런스드 전송에서 두 선에 대한 노이즈의 영향을 최대한 동일하게 해 주기 위해 선을 꼬아 둔다. 따라서 아주 짧은 거리라면 선이 꼬이지 않아도 된다. 플랫 랜 케이블이 안 꼬인 선을 쓴다.[3] 같은 이유로 꼬인 pair를 지켜서 단자를 제작하지 않으면 분명히 선이 연결돼 있는 데도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작동하더라도 손실이 많아져 속도가 느려진다.

두 규격은 사용 목적이 다르다. 대부분은 다이렉트 케이블이다. 크로스 배열이 필요하지 않으면 아무거나 쓰면 된다. 크로스 케이블은 허브를 사용하지 않고 장비 사이를 직접 연결하거나 허브를 주렁주렁 매달고 업링크 확장할 때 사용한다. 때문에 일반 유저들이 볼 일은 거의 없다. 후술 하겠지만, 요즘 공유기나 스위치 허브[4] 같은 기기들은 다이렉트/크로스를 자동감지·변환 기능을 지원한다.

컴퓨터와 컴퓨터를 AdHoc으로 연결해야 한다면 크로스 케이블을 쓸 필요가 있다. LAN 카드가 이런 기능이 있다고 장담을 못하기 때문이다. 즉 일반 유저들이 굳이 크로스 케이블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라면 공유기나 무선랜이 없는 상황에서 랜포트도 하나뿐일 때, 컴퓨터 한 대에 다른 컴퓨터를 연결하여 두대 다 인터넷을 사용할 경우 정도를 꼽을 수 있다.[5] 지금이야 유/무선 공유기를 싼 값에 사서[6] 쓸 수 있을 정도로 대중화되어 있으니 굳이 이럴 필요성은 희박하지만, 2000년대 초반쯤, 지금처럼 공유기가 대중화되지 않았을 때 가정에서 인터넷 공유를 하기 위해서는 이 크로스 케이블로 PC들을 연결하고 회선에 연결된 PC를 항상 켜 놓아 공유기 역할을 대신해 줘야 했다.

3. 종류

3.1. 다이렉트 케이블

핀 번호 선 종류 T568B T568B
페어 페어
1tip2<colbgcolor=#FFFFFF>
2<colbgcolor=#FFFFFF>
2ring22
3tip3
3
4ring11
5tip1
1
6ring33
7tip4
4
8ring44

다이렉트 케이블은 12345678 = 12345678로 단자가 연결된다.

황, 녹, 청색 케이블은 꼬인 정도가 똑같고 갈색 케이블은 황, 녹 케이블보다 조금 덜 꼬였다. 녹색과 황색이 뒤바뀐 랜 케이블도 있으나 정상 작동하는 이유는 두 색깔의 케이블은 똑같기 때문. 그래서 양쪽이 T568B 대신 T568A로 된 다이렉트 케이블도 드물게 있다. 청색 케이블은 케이블 제조사에 따라 꼬인 정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이 선을 황, 녹 케이블 들어갈 자리에 꼽는 행위는 삼가는 게 좋다.

패스트 이더넷 기준으로 황, 녹 케이블이 각각 Tx(송신), Rx(수신)를 담당한다. 한 쪽의 Tx(송신) 라인은 다른 한 쪽의 Rx(수신) 라인이 되므로 크로스 케이블에서 황색과 녹색의 위치를 서로 뒤바꾸게 되는데, 다이렉트 케이블은 스위치(허브)가 Tx/Rx 신호를 제어하므로 케이블상에서 바꾸지 않는 것이다. 전화할 때 한쪽 기기의 마이크로 들어간 음성은 반대편 기기의 스피커로 나오는 것과 같은 것이다. Tx-Rx 관계는 랜 케이블이 아닌 다른 곳에도 적용되는 경우가 있으니 알아두면 좋다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지 않는 페어가 청색, 갈색 두 개 나온다. 이 중 청색선은 전화(Voice)용 단자이다. RJ-11 전화용 플러그 규격 때문이기도 한데 RJ-45 커플러에 RJ-11 플러그를 꽂으면 2Pin용은 청색(T568B 규격에 4,5번), 4Pin용은 청색, 녹색(T568B 규격에 3,4,5,6번)에 맞물리기 때문이다. 가정집의 경우에는 대부분 2Pin 용을 사용한다. 요즘에도 구내전화를 따로 뽑을 때 이 페어를 사용한다.

100메가 이더넷이 주로 쓰이던 시절에는 플러그에 데이터와 전화를 혼용으로 사용하는 경우[8]가 많았으나, 1기가 이상의 이더넷이 흔하게 쓰이는 최근에는 보통 랜선 커플러와 전화용 커플러 자체를 따로 둔다.[9] 갈색 선은 스위치 장비가 PoE를 지원할 때 PoE 장비가 이 페어를 통해 직류 전원을 공급받는다. 일반적인 공유기나 스위치 허브는 그냥 접지 역할만 한다. 이 때문에 랜선 중에서는 청색과 갈색이 없는 2페어 케이블도 있다. 4페어보다 저렴하지만 거의 모든 기가비트 기기는 4페어를 다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2페어로 만들어진 랜 케이블은 플러그 부분에 선이 4개밖에 안 보이므로 구별도 어렵지 않은 편이다.

다이렉트 케이블의 경우 케이블 양 끝의 1번부터 8번까지의 배열이 같으면 아무렇게나 만들어도 상관이 없고 일부 완성품의 경우 케이블 배열이 다른 경우가 있다. 그러나 T568B 배열은 통신상의 약속이므로 건물 내 매입이나 간선 배선 등 작업을 할 때는 반드시 지켜 주어야 이후 유지보수할 때도 애를 덜먹는다.

3.1.1. T568A vs T568B

다이렉트 케이블인 만큼 사실 기능상의 차이는 전혀 없지만, 배선 관리 차원에서 두가지 사용법이 대립하고 있다.
국내 시험에서는 T568B 로 통일해서 치르므로 일단 T568B를 주로 사용하고, 이런 논쟁이 있다는것만 알아두면 된다.
현재 이더넷용 8P8C가 흔히 RJ45로 불리나, 실제로는 FCC Registerd Jack 45는 없었다는 점만 확인하고 넘어갈 것. #

3.2. 크로스 케이블

핀 번호 선 종류 T568A T568B
페어 페어
1tip3<colbgcolor=#FFFFFF>
2<colbgcolor=#FFFFFF>
2ring32
3tip2
3
4ring11
5tip1
1
6ring23
7tip4
4
8ring44

크로스 케이블(Crossover Cable)은 12345678 = 36145278로 연결된다.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지 않는 청색과 갈색 페어를 제거하면 12 36 = 36 12로 황색 페어와 녹색 페어를 케이블 단에서 교차해 놓은 케이블이다. 얼핏 어렵게 보이지만, 잘 보면 초록색과 노란색이 들어간 케이블만 엇갈림을 볼 수 있다. 초록색과 노란색만 엇갈려 있을 뿐 줄무늬는 줄무늬끼리, 민무늬는 민무늬끼리 똑같이 연결된다. 시작 배열까지 크로스 배열로 해 버리면 결과적으로 다이렉트 케이블이 되니 주의.

크로스 케이블 역시 색상과 관계없이 12345678 = 36145278 배열만 따라주면 되지만 양 끝을 각각 T568A, T568B 배열로 지켜주는 것이 좋다.

집에 있는 짧은 케이블로 대충 두 장비나, 구형 콘솔에 연결 시도할 때 쓸 수 있다. 구엑박 커펌기기 같은 경우 FTP 클라이언트로 접속 시 이것으로 해야 한다. 굳이 소켓에 집어서 안 해도 된다. 랜툴을 구비해도 소켓이 없거나 자주 깨져서 애매하고 해서 안 만드는 경우도 있는데, 일반 UTP에서 크로스 케이블에 해당하는 색깔이 다른 부분 1~3, 6을 자른 뒤 크로스케이블에 맞게 해당 선을 정말 크로스해주면 된다.

요즘은 통신장비가 같은 계층의 장비끼리도 다이렉트 케이블 연결이 지원되기 때문에 (Auto MDI-X Negotiation: 단계에서 서로 RX-TX에 사용할 페어를 알아서 결정한다) 크로스 케이블의 사용 빈도는 점점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반대도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계층 장비끼리 크로스 케이블을 연결해도 해당 기능이 있다면 연결이 지원된다.

3.3. 두 방식이 사용되는 이유

파일:network_ethernet_mdi.png
컴퓨터 A와 컴퓨터 B를 허브나 스위치 없이 1:1로 연결한다고 가정하자. 컴퓨터 A의 송신 측은 컴퓨터 B의 수신 측에 연결되어야 하고, 반대로 컴퓨터 A의 수신 측은 컴퓨터 B의 송신 측과 연결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2대의 컴퓨터를 직접 연결하는 경우에는 크로스 케이블로 연결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런데, 컴퓨터가 2대 뿐인 것도 아니고, 여러 대가 존재하기에 이를 집선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허브L2 스위치 같은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두 컴퓨터가 각자 크로스 케이블을 써서 허브에 연결했다고 치면, 결국 2번 꼬여서 통신이 안 된다. 어떤 단계를 거치든 한 번 (정확히는 홀수번) 꼬여 있어야 정상적인 통신을 할 수 있다. 그래서, 허브 내부에서 이론상 한 번 더 꼬아 주어야 한다. 그럼 최종적으로 3번 꼬이면서 정상적으로 통신이 된다.

어차피 허브에서 한 번 꼬아 주는 역할을 한다면, 컴퓨터와 허브 간의 연결은 다이렉트로 연결하는 게 낫지 않겠냐는 생각으로 다이렉트 케이블이 나왔다. 문제는 허브와 허브 간은 여전히 한 번 더 꼬아 줄 필요가 있어서 크로스 케이블이 사용되었다.

겉모습이 똑같이 생긴 두 종류의 케이블이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르게 쓰여야 하다 보니, 불편할 수밖에 없었다. 라벨링이 확실하게 되어 있지 않다면 단자에 연결된 선 색을 보거나 테스터로 직접 확인하여 판단해야 한다.

3.3.1. MDI/MDI-X 자동감지 기능

그래서, 결국 다이렉트 케이블이든 크로스 케이블이든 연결만 되면 알아서 이를 감지하고, 케이블에 맞게 TX/RX를 바꿔 주는 기능이 등장하였으며 이를 보통 MDI/MDI-X 자동 감지 기능( Auto MDI/MDIX )이라고 부른다. 2018년 기준 대부분의 컴퓨터/네트워크 카드/스위치/공유기 등은 이 기능을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다이렉트 케이블이든 크로스 케이블이든 아무거나 꼽아도 상관없이 통신이 잘 된다.

4. 차폐 단계에 따른 분류

랜선은 기본적으로 8개의 구리선이 2가닥씩 꼬인 형태다. 무선 환경만큼은 아니지만 주변 전파 등에 의해 간섭을 받게 된다. 간섭을 줄이려 내부에 접지용 구리선 한 가닥을 추가하고, 여기에 은박지를 이용하여 피복 내부에 한 번 더 감싸는 식으로 외부 전파의 간섭을 줄인다. 이런 차폐 여부에 따라 기본적으로 UTP/FTP/STP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실제로는 더 복잡하게 나뉘므로 Twisted_pair#Cable_shielding 참조하자.

파일:attachment/랜 케이블/TwistedFate.jpg

왼쪽 UTP는 Unshielded Twisted Pair의 약자다. 차폐 기능이 없는 기본적인 랜선을 뜻하며 이론상 전송 거리는 최대 100m이다.

중간 FTP는 Foil(호일 차폐) screened Twisted Pair의 약자이며 피복 안쪽을 호일로 한 번 감싸고 그 호일 안쪽에 구리접지선을 추가한 형태를 한다.

마지막 오른쪽 STP(Shielded Twisted Pair)는 FTP에 꼬여있는 구리선을 한 묶음으로 나누어 한 번 더 호일을 감싸 준 형태다. 가장 높은 차폐 능력을 지니고 당연하게도 가장 두껍고 비싸다. 실제로는 전송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Cat.7 케이블부터는 제품 이름이 UTP라도 내부 구조는 STP인 경우가 대부분인데(규격 자체가 STP로만 정의되어 있다), 이보다 더 발전된 Cat.7a 케이블도 100기가비트 전송을 하면 15미터 이내에서만 동작한다는 얘기가 있다. STP에서 한 번 더 차폐를 한 S/STP(Screened Shielded Twisted Pair)도 있다.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다. 케이블 실딩은 케이블 안쪽에 빙 둘러 차폐하는것, 페어 실딩은 꼰선 가닥마다 차폐한 것이다. 포일은 알루미늄 호일처럼 생긴 것으로 실딩한 것이고 브레이딩은 여자들 머리 땋은 것처럼 꼰 금속 그물망으로 차폐한 것이다.
랜선 구분
<rowcolor=#ffffff> 업계 약자 ISO/IEC 11801
명칭
Cable shielding(랜선 케이블 차페) Pair shielding(전선 보호)
UTP, TP U/UTP None(없음) None(없음)
FTP, STP, ScTP F/UTP Foil(호일 차폐) None(없음)
STP, ScTP S/UTP Braiding(금속 그물망 차폐) None(없음)
SFTP, S-FTP, STP SF/UTP Braiding and Foil(금속 그물망&호일 차폐) None(없음)
STP, ScTP, PiMF U/FTP None(없음) Foil(호일 차폐)
FFTP, STP F/FTP Foil(호일 차폐) Foil(호일 차폐)
SSTP, SFTP, STP, STP PiMF S/FTP Braiding(금속 그물망 차폐) Foil(호일 차폐)
SSTP, SFTP, STP SF/FTP Braiding and Foil(금속 그물망&호일 차폐) Foil(호일 차폐)

Cat 6 의 10GHz (55m)가 아닌 한 이론상 배선 길이는 100미터까지이고 100미터를 넘어가면 랜 케이블보다는 광섬유로 배선한다. 100미터보다 살짝 길어 광섬유 깔기가 애매하면 리피터라는 장비를 사용해서 도달 거리를 연장한다.

UTP 케이블 기준, 실질적으로 통신이 원활하게 되는 길이는 80m 내외라고 보면 된다. 80m를 넘어가면 통신은 되나 다운로드/업로드 속도가 급격하게 떨어진다.

요즘에는 UTP에 X자 모양의 칸막이(개재 또는 크로스 필러라고 한다)를 넣어 차폐력을 더욱 높여 기가비트에 대응되는 UTP Cat. 6 케이블이 사용된다. 다만 건물 배선용이고 시중에서는 주로 개재가 없는 Cat. 5E 케이블이 유통된다. Cat. 5E는 짧은 거리는 기가비트 전송이 가능하기에 가정용으로는 충분하다. 정보통신 특등급 아파트도 가정 내부 배선은 Cat. 5E 이상이면 허가 받을 수 있다.# Cat. 6 케이블과 자재의 가격이 Cat. 5E보다 2배 이상 비싸기 때문에 일반적인 아파트의 세대 내부 배선은 대부분 Cat. 5E로 깔아버린다. 그래서,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는 특등급의 요건들 중에 하나인 랜선 규격을 아직도 Cat. 5E로 규정하고 있다. 일부 신축되는 아파트는 광케이블 세대 인입을 생략하고 Cat. 6 이상 케이블을 인입하여 초고속정보통신인증을 받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11] 1기가급 회선을 사용하는 데 문제는 없다. 장거리 배선에는 광케이블 사용을 선호하지만 100m 이내라면 Cat. 7 장비 가격이 광장비보다 저렴하고 각 단말(서버)마다 광접속 장비를 달아 놓기엔 돈이 많이 깨지므로 Cat. 7 케이블을 은근히 쓰는 편이다.

파일:attachment/랜 케이블/Johnson.jpg
파일:attachment/랜 케이블/800px-TwistedPair_S-FTP.jpg

5. 카테고리에 따른 성능의 분류

랜 케이블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케이블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뜻하는 문자와 함께(차폐여부, 배열번호 등등.) 전송스펙을 요약한 Cat(카테고리)이란 단어가 함께 표기된다. Class (알파벳 대문자)로 표기하기도 하는데 보통 Cat. 숫자 방식을 쓴다. 랜 케이블을 구입해야 할 때에 가장 중요하다. 자신의 집까지 FTTH 150Mbps~1Gbps의 케이블이 들어오고 회선에 가입을 했다 하더라도 정작 랜선의 스펙이 받쳐주지 못하면 말짱 다 허사이다. 반드시 자신의 집 인터넷이 몇 메가 대의 상품에 가입되어 있는지 확인 후 그 속도 이상 카테고리의 랜선을 구입하기 바란다. 현재는 Cat. 5E~Cat. 6, 심지어는 Cat. 7까지 만족하는 케이블을 쉽게 구할 수 있다. 또한, 이 스펙의 거리는 전송거리 100m를 보장할 때의 기준이며, 10m 와 같이 짧은 거리에서는 낮은 등급의 케이블을 사용하더라도 10Gbps 도 큰 상관이 없다. 굴곡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3M, LS, Tyco(AMP) 등 중~고가 케이블이 아니더라도 어지간한 쓰레기 케이블이 아닌 이상 적당히 이름있는 업체가 판매하는 Cat. 5E 케이블은 100m까지 1Gbps를 전송이 가능하고 40m 이하라면 Cat. 5E 구리선만을 가지고도 10Gbps를 사용할 수 있다. Cat 6는 10Gbps로 쓸때는 55m , 1Gbps 로 쓸 때는 100미터까지. 6e는 모두 100미터 지원.

RJ-45처럼 생겼는데 크기가 작고 2페어만 들어가는(대부분 거기서 1페어를 또 빼버리고 1페어만 들어간다) RJ-11 규격 단자를 사용하는 전화기는 선재가 Cat. 3 규격을 만족한다. 하지만 전화선 벽단자부터는 못해도 Cat. 5 규격으로 강제 업그레이드(?)가 되어 버린다. 80~90년대에 지어졌고 랜 케이블이 아직 시공이 안 된 건물의 전화 단자함은 아직 Cat. 3 규격으로 배선되었을 것이다. 역사가 오래된 대학 중 고가의 실험장비가 밀집한 건물(실험장비에 대미지가 갈까봐 공사를 못 한다)에 가 보면 볼 수 있다. 등급에 따라 RJ-45 플러그의 내부 구조도 약간 다르다. Cat. 5까지는 플러그 내 선 배열이 일렬이라 손쉽게 조립할 수 있지만 Cat. 6부터는 W자로 배열되기 때문에 Cat. 5보다 조립하는데 시간이 좀 걸린다. 특히 가이드가 없는 저렴한 Cat. 6 플러그의 경우 초보자는 제대로 끼우기 정말 어렵다.[12]

아래 표는 카테고리 종류에 따른 성능의 차이를 보여준다.[13]
파일:attachment/랜 케이블/tablerenew.png

A는 Augmented의 약자, E는 Enhanced의 약자. 규격 표기 중 T는 4페어 전이중 전송, TX는 2페어씩 반이중 데이터 전송[14]. CAT.1~CAT.4는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참고로 위의 표에는 Cat.6a부터의 규격에 대해 잘못 표기되어있는데 Cat.6a, Cat.7, Cat.7a는 10GBase-T이다. 위의 표에는 Cat.6e가 나와있는데 6e는 ISO나 ANSI/TIA 규격이 아닌, 업체들의 마케팅용 명칭이다. 정식규격인 Cat 5E와 비슷하게 이름을 붙여서 싼 케이블을 마치 고속지원되는 정식규격인 것처럼 포장하려는 의도로 만든 명칭이다. 쉽게 말해 짭. 규격에는 Cat 6와 Cat 6a만 존재한다.
Cat. 7 (Class F)는 ISO 표준이지만 미국 전기통신공업회(TIA) / 미국 전자 산업 협회(EIA)쪽 표준에서는 채택하지 않았다. 단자 모양이 달라서(TERA 등. 가늘고 길게 생겼다) 기존 Cat 4 5 6과 호환이 안된다. 즉 장비들 다 바꿔야 쓸 수 있다. 현재는 Cat. 7a 과 Cat. 7s(Class F Augmented)에 이어 Cat 8.1/8.2 (Class I/II)까지 나온 상태. Cat 8은 기존 컨넥터들과 호환되도록 규정되었다.

최근에는 적어도 CAT.5e 혹은 CAT.6 시리즈를 많이 사용한다. 기가 인터넷이 많이 보급되었으며 가격도 많이 차이가 나지 않기에 랜선 포설 업체 등 인터넷 관련 회사도 CAT.5e 혹은 CAT.6 시리즈, 더 나아가서 CAT.7 케이블을 사용하는 곳도 있다.

CAT.8 등급은 2020년대엔 가정에서 사용하는 모습을 거의 볼 수 없다. 애초에 시중에 40Gbps의 속도를 지원하는 인터넷 요금제가 20년대 기준으로 거의 없다.(...) 그나마 미국의 구글 파이버나 일본에서 Nuro 20Gbps 요금제로 사용하는 추세로 그나마 비싼 광케이블이나 CAT.8.2 케이블 대신 Wi-Fi 7(이론상 최대 40Gbps)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주 사용처는 컴퓨터 혹은 네트워크 간의 연결.

6. 전원 케이블로 사용

Power over Ethernet 기술로 cat.5 이상 부터 랜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와 48V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랜케이블을 통해 데이터와 전원을 동시에 공급하는 기능이다. 전화선 시대부터 쓰던 기술의 연장선이라고 볼 수 있다.

7. 만들기

RJ-45 단자 2개와 케이블, 니퍼[15] 랜툴이라는 공구만 있으면 쉽게 제작할 수도 있다.

양 끝의 피복을 벗긴 후 내부에 있는 8가닥의 케이블들을 만들고자 하는 케이블의 배열 순서대로 펴서 정리하고 가지런히 자른다. 이를 RJ-45 단자에 넣고 랜툴로 단자를 집어주면 제작 과정이 끝난다. 랜툴 세트는 인터넷에서 1~2만 원이면 구할 수 있다. 다만 랜툴 세트에 딸려오는 케이블은 아주 저질이기 때문에 그냥 버리는 게 낫고 너무 저렴한 랜툴은 오래 쓰기에 별로 좋은 제품은 아니다. 랜툴의 플러그를 찝는 이빨 부분이 정교하지 않아서 안 맞기도 하고 약해서 몇번 찍고 나서 부러지는 경우도 있다. 제작 영상

Cat.7 이상은 구조상 랜툴 사용이 불가능하며, Cat.8은 랜툴로 집을 생각조차 하지 말라는 의미인지 아예 직조선으로만 나온다.

8. 기타


[1] 100Mbps 이하의 속도에서 동작하는 경우는 2쌍으로만 구성된 케이블을 사용할 수도 있다.[2] TIA(Telecommunication Industry Association)는 미국의 '통신 산업 협회', EIA(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는 미국의 '전자 산업 협회'이다. 둘 다 미국 표준 협회인 ANSI 의 회원 기구 이며, 해당 표준은 ANSI 에 의해 승인 받았기에, ANSI/TIA/EIA-568 라고도 한다. 현재의 세부 표준은 ANSI/TIA/EIA-568-B 이다.[3] 따라서 플랫 케이블은 노이즈에 많이 취약해 손실이 늘어나고 이는 곧 전송 속도가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4] autoMDI/MDI-X[5] 이 경우 호스트 역할을 하는 컴퓨터에는 연결할 컴퓨터 수량만큼의 랜카드가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6] 고급형은 10만원이 넘어가는 것도 있지만, 보급형은 5만원 이하인 경우가 많으며 심지어는 1만원대인 것도 있다.[예외] 예외적으로 "HUB(1계층) - Switch(2계층)", "Router(3계층) - PC", "PC - Server" 연결시에는 다이렉트 케이블이 아닌 아래 후술할 크로스 케이블 사용이 원칙[8] 100mbps 한정으로 1, 2, 3, 6번 선을 데이터 통신용으로 사용하고 4, 5번을 전화선으로 사용하여도 아무런 문제가 없었기 때문에 가능했다.[9] 전화선은 기본적으로 2선만 이용하기에 4페어 UTP 케이블을 1개 더 매설하면 전화기 4대를 사용할 수도 있다.[10] 또한 다른 계층일지라도 예외적으로 "HUB(1계층) - Switch(2계층)", "Router(3계층) - PC", "PC - Server" 연결시에는 크로스 케이블 사용이 원칙[11] 인증을 받으려면 들여야 하는 수수료가 특등급 예비인증을 한번 받는 데 세대당 2200원, 특등급 본인증을 한번 받으면 세대당 7000원, 홈네트워크 건물 인증을 한번 받는 데 세대당 600원의 수수료가 들어간다. 공동주택의 전용면적이 60㎡ 미만의 경우엔 50%가 인하된다고는 한다지만, 세대수가 많다면 적지않은 부담이 될 것이다. 이보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이곳을 참조.[12] 하지만 Cat.5와 Cat.6 간의 플러그 차이에 따른 속도 차이는 거의 없어 Cat.5의 플러그를 사용해도 상관 없다.[13] CAT.8은 규격에 따라 25GBase(25Gbps)와 40GBase(40Gbps)로 나뉜다.[14] 정확히는 TX는 송신 2페어씩, 수신 2페어씩 나눈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실질적으로는 전이중 방식이라고 보면 된다.[15] 탈피기나 가위도 무관하며, 랜툴에 내장되어 필요없는 경우도 있다.[16] 색깔 이름 뒤의 숫자는 각 페어의 번호를 붙일 때 색상에 해당하는 숫자이다. 예를 들어 청/적이면 1+5=6번 또는 25P 단위가 여러 개 있다면 25 * n + 6번이 되는 식이다. (n은 0 이상의 정수)[17] 25페어당 백/적 색상의 예비선이 1페어씩 들어간다.[18] 보통 철물점에서 파는건 아예 몇 백 미터짜리 릴 단위인 경우가 많다. 전기 배선 시 통신 배선용으로 사용될 품목을 구비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런 릴 단위 물건들은 RJ-45단자가 기본으로 안달려있어서(보통 길이가 확실하지 않은 장소에 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수작업 공구 없이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참고로 이 통신용이라는게 전화/인터넷만을 의미하진 않는다. 초인종과 인터폰을 연결하는 등 온갖곳에 쓴다.[19] 1급은 애초에 실기에서 이더넷 케이블 제작 항목이 없다. 여담으로, 1급은 국가공인민간자격증이 아닌 그냥 민간자격증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