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versal Camo Pattern (UCP) |
1. 개요
Universal Camouflage Pattern (UCP)2004년, 미국 육군이 ACU (Army Combat Uniform) 사업을 진행하며 제식으로 채택한 디지털 패턴 위장이다. 사막, 삼림, 도시 등 모든 환경에 적합한 범용 패턴을 찾아내어 유연한 전장 적응력과 전술적 효과,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미 육군의 군복과 군수품 전반에 적용되었으나 지나치게 범용성을 추구한 나머지 실제 전장 환경에서는 위장이 잘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결국 2014년, OCP로 대체되면서 약 10년 만에 최종적으로 퇴출되었다.
2. 역사
2.1. 선정 과정
2.1.1. 미국 육군 범용 위장 시험
미 육군의 범용 위장 시험 (U.S. Army universal camouflage trials)은 모든 환경에서 적절한 은폐성을 제공하는 단일 패턴을 만드는 목표로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진행되었다. 시험을 위해 올 오버 브러쉬, 섀도우 라인, 트랙, 스콜피온[1] 패턴 순으로 총 4가지 위장 패턴을 개발하였고, 다양한 환경에서 시험을 거친 결과 최종적으로 '올 오버 브러쉬'의 성능이 가장 좋은 것으로 최종 평가하였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올 오버 브러쉬 패턴은 제식으로 채택되지 못했고, 캐나다군의 군용 디지털 위장 패턴 CADPAT과 유사한 UCP 패턴이 선택되게 된다. 문제는 UCP 패턴은 이미 진행이 완료된 범용 위장 시험에서 경쟁은 커녕, 애초에 후보에도 없었던 패턴이었다는 것으로 이미 차기 위장 패턴을 선정하기 위한 시험이 완료되었음에도 완전히 무시당하고 전혀 후보군에 없었던 UCP가 별도의 시험 절차없이 끼워넣기 식으로 선정되었다는 것부터 과정 상 결합 그 자체였다.이러한 문제가 발생한 배경을 미 육군이 명확하게 공개하지는 않고 있으나 군 전역자들이 들은 소문에 따르면 미 해병대의 MARPAT 패턴 도입에 자극받은 미 육군 장성들이 무작정 차기 제식 위장 패턴은 디지털 위장 패턴으로 정하도록 요구했으며, 그렇다고 MARPAT을 직접 도입하거나 유사한 색감의 패턴을 도입하는 것은 피하기 위해 UCP 같은 극단적인 위장 패턴을 도입했다는 것이 사실상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한 막 2000년대가 시작된 당시 시점에 미 육군은 군복 등을 통해 소위 '디지털'화 되고 첨단화된 군을 외적으로 과시하고 싶어 했고, 이러한 장성들의 요구에 부합했던 것이 마치 SF 영화에나 나올 법한 UCP 패턴이었다는 말도 있다. 아무튼 이미 진행된 시험 결과를 무시하고 뜬금없이 UCP가 선정된 이유에 대해서 아직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다.
2.2. 선정 이후
2.2.1. 장점
이라크 시가지 전장에서의 UCP |
아프가니스탄 산악 지형 전장에서의 UCP |
하지만 2000년대 초반부터 2010년대까지 이어진 이라크 전쟁과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UCP의 성능은 꽤 준수한 편이었다. 이라크 전쟁에서는 UCP 특유의 회색 계열 위장이 이라크 정부 및 군과의 전쟁이 이미 마무리되어 치안 유지 활동 및 게릴라 소탕이 이루어지고 있던 상황 속에서 시가전을 벌여야 했던 병사들에게 꽤 적합한 위장 효과를 제공했다. 또한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는 탈레반과의 산악 게릴라전을 벌이게 되면서 초목이 거의 없으며, 돌무더기로 이루어져 있는 고원 지대라는 아프가니스탄 전장의 특성상 UCP가 꽤 좋은 위장 효과를 발휘하기도 했다.
2.2.2. 단점
케냐에서의 UCP |
2.3. 퇴출
각지의 전장에서 UCP 패턴의 위장성이 매우 낮다는 평가가 빗발치자, 미 의회는 우선 2009년까지 아프가니스탄 주둔 군인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위장을 제공하도록 국방부에 명령함으로써 UCP 패턴 퇴출이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미 육군은 부랴부랴 UCP에 코요테 브라운 갈색을 추가한 변형인 UCP-Delta (UCP-D)[2]를 개발하여 아프가니스탄 현지에서 시험하게 된다.#UCP-D 시험 착용 사진 |
3. 기타
- 위장 성능에 대한 혹평은 부정할 수 없는 오점이었지만, 이와는 별개로 2010년대 첨단화된 미군을 상징하는 패턴으로서 UCP는 미학적으로는 좋은 평가를 받는 편이다. 디지털 패턴과 회색 계열 색상이 혼합되어 도시적이고, 미래적인 분위기를 띄었기 때문에 민간에서도 인기가 많은 편이었다. 예를 들어 UCP 패턴이 적용된 ACU 고어텍스 야상은 2000년대 말, 스키복의 대용으로 많은 인기를 얻어 정품과 레플리카 모두 활발하게 거래된 바 있다. 또한 UCP 패턴의 군복을 입기 위해 KATUSA로 입대한 병사들도 대한민국 국군이 디지털 픽셀 무늬 전투복을 도입하기 전까지 꽤나 많았었다.
- 이러한 민간에서의 관심의 반작용으로 민간인들이 UCP 패턴 군복을 사적으로 구매해서 입고 다니는 경우가 늘어나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전우회와 관련된 문제가 매우 컸는데, 당시 한국군의 것과 차이가 크지 않았던 우드랜드 군복과는 달리 UCP 패턴 군복은 전우회 측에서 착용하고 다니는 부착물과 미적으로 조화되지 않아 매우 흉했기 때문에 민간에서 UCP의 평판을 낮추는 큰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밀리터리 매니아 층을 중심으로 성토하는 일이 많았으며, 때문에 과거에는 크게 주목받는 법률이 아니었던 군복 및 군용장구의 단속에 관한 법률에 대한 논의와 관심이 늘어난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UCP 패턴의 위장성에 대한 악명이 드높아지다 못해 유머의 소재가 되게 만든 '소파 속에 내가 있다' 짤방은 2020년대에도 종종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라올 정도로 유명하다.
[1] 후에 멀티캠과 스콜피온 W2 (제식명: OCP)의 모태가 되는 위장 패턴이다.[2] 당시 UCP를 기반으로 미 의회의 요구에 부합하는 위장패턴을 알파부터 에코까지 총 5 종류를 긴급하게 개발했는데 그 중 그나마 델타가 가장 낫다고 평가받아 시험에 투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