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로도리미도리의 악곡}}}에 대한 내용은 [[Still(이로도리미도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Still(이로도리미도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Still(이로도리미도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대한민국의 비보이이자 배우}}}에 대한 내용은 [[스틸(비보이/배우)]]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스틸(비보이/배우)#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스틸(비보이/배우)#|]]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로도리미도리의 악곡: }}}[[Still(이로도리미도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Still(이로도리미도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Still(이로도리미도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대한민국의 비보이이자 배우: }}}[[스틸(비보이/배우)]]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스틸(비보이/배우)#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스틸(비보이/배우)#|]]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
오리지널 버전 | 피아노 어쿠스틱 버전 |
When did we stop seeing the world through each other's eyes?
우리는 언제부터 서로의 시선으로 세상을 보는 걸 그만둔 걸까?
When did we stop...embracing each other?
우리는 언제부터...서로를 안아주지 않게 된 걸까?
우리는 언제부터 서로의 시선으로 세상을 보는 걸 그만둔 걸까?
When did we stop...embracing each other?
우리는 언제부터...서로를 안아주지 않게 된 걸까?
2. 가사
출처 I know why they are laughing at us 나는 왜 그들이 우리를 비웃는지 알아 I see the sadness spread in your eyes 네 눈 속에 슬픔이 번져가는 게 보여 once we were dancing, singing 우리가 춤추고, 노래한다면 Somehow it all changed 어째선지 모든 것이 바뀌었지 No one else could understand 그 누구도 이해하지 못할 거야 I know why they are laughing at us 나는 그들이 우리를 왜 비웃는 지 알아 I see the sadness spread in your eyes 네 눈 속에 슬픔이 번져가는 게 보여 Under the moonlight, we were screaming 달빛 아래에서, 우리들은 울부짖었지 Somehow it won't change 어째선지 바뀌지 않는다고 Stop chasing, set me free 더 이상 쫓아오지 말고, 나를 놓아달라고 You don't have to swallow your tears, 눈물을 집어삼키지 않아도 돼, You still have me 네겐 내가 여전히 있잖아 You don't have to cover yourself 네 스스로를 감출 필요 없어 when no one can be trusted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상황이라도 I'm still here standing beside you 나는 여전히 네 곁에 서 있으니까 But they tore us apart 그렇지만 그들은 우리를 찢어놓았지 And I still keep you, inside my broken heart. 그렇다 한들 난 여전히 너를, 내 부숴진 마음 속에 붙들어둬. I know why they are laughing at us 나는 그들이 우리의 어떤 점을 비웃는 건지 알아 I see the sadness spread in your eyes 네 눈 속에 슬픔이 번져가는 게 보여 Under the moonlight, we were screaming 달빛 아래에서, 우리들은 울부짖었지 Somehow it won't change 어째선지 바뀌지 않는다고 Stop chasing, set me free 더 이상 쫓아오지 말고, 나를 놓아달라고 You don't have to swallow your tears, 눈물을 집어삼키지 않아도 돼, You still have me 네겐 내가 여전히 있잖아 You don't have to cover yourself 네 스스로를 감출 필요 없어 when no one can be trusted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상황이라도 I'm still here standing beside you 나는 여전히 네 곁에 서 있으니까 But they torn us apart 그렇지만 그들은 우리를 찢어놓았지 And I still keep you, inside my broken heart. 그렇다 한들 나는 여전히 너를, 내 부숴진 마음 속에 붙들어둬. You don't have to cover yourself 네 스스로를 감출 필요 없어 when no one can be trusted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상황이라도 I'm still here standing beside you 나는 여전히 네 곁에 서 있으니까 No matter who we are 우리가 어떤 존재이든 We can still protect our secret 우리는 여전히 우리의 비밀을 지키고 And hold each other tightly 서로를 끌어안을 수 있으니까 |
3. Cytus II
3.1. Still (Original Version)
| {{{+3 {{{#A1505F Cherry}}} }}} 12개의 곡 수록 | ||||||
{{{#!wiki style="margin: 0px 10px; display:inline-block; color: #A1505F" {{{#!folding [기본 수록 및 해금곡] | Cherry Lv 1 ~ 39 | ||||||
Scenery in your eyes | LEVEL4 | Living for you (Andy Tunstall remix) | I'M NOT | ||||
Stop at nothing (Andy Tunstall remix) | RETRIEVE | Still | CREDENCE | ||||
SYSTEMFEIT | hunted | Capture me | Realize |
3.1.1. 채보
Still | ||||
작곡 | Rua | |||
보컬 | K | |||
BPM | 156[1] | |||
연주 시간 | 3:03 | |||
레벨 | EASY | HARD | CHAOS | GLITCH |
2 | 6 | 11 | 14 | |
노트 수 | 173 | 404 | 636 | 940 |
특이사항 | 챕터 Cherry 보스곡 챕터 Cherry 최초 14레벨 곡 |
해금 조건 | |
EASY | Cherry 7레벨 |
HARD | Cherry 11레벨 |
CHAOS | Cherry 12레벨 |
GLITCH | CAPSO |
3.1.1.1. EASY
3.1.1.2. HARD
3.1.1.3. CHAOS
Rayark 공식 채널에 올라온 MM 영상.
MxM 화면 캡처 영상. 플레이어는 Reigns.
3.1.1.4. GLITCH
TP 100 화면 캡쳐 영상. 플레이어는 Golden Chen.
532~554 콤보의 기믹성 구간을 얼마나 잘 처리하는지에 따라 MM와 TP100의 체감 난이도가 갈리는 채보이다.
3.2. Still (Piano Version)
| {{{+3 {{{#A1505F Crystal PuNK}}} }}} 11+7개의 곡 수록 | ||||
{{{#!wiki style="margin: 0px 10px; display:inline-block; color: #A1505F" {{{#!folding [기본 수록 및 해금곡] | Crystal PuNK Lv 1 ~ 40 | ||||
Effervesce | Chandelier XIII | Sunshine Duration | |||
Deep Dive | βinαrΨ | Dark Madness | |||
The Cross (feat. Silvia Su) | 眷戀 | Still (Piano Version) | |||
Prema Flowers | Collide |
{{{#!wiki style="margin: 0px 10px; display:inline-block; color: #A1505F" {{{#!folding [Black Market DLC] | Marvelous Mix vol.3 | ||||
Darling Staring... | |||||
PuNK EP 01 | |||||
Crimson Fate | Familiar Craze | Malstream | |||
V.R.W feat. shully | velkinta feat. Cikado & A - Tse | ||||
Marvelous Mix vol.6 | |||||
Imprint |
3.2.1. 채보
Still (Piano Version) | |||
| |||
작곡 | Rua | ||
보컬 | K | ||
BPM | 130 | ||
연주 시간 | 1:49 | ||
레벨 | EASY | HARD | CHAOS |
2 | 5 | 9 | |
노트 수 | 153 | 234 | 368 |
특이사항 | 원곡의 어쿠스틱 버전 |
해금 조건 | |
EASY | Crystal PuNK 35레벨 달성 |
HARD | |
CHAOS |
3.2.1.1. EASY
3.2.1.2. HARD
3.2.1.3. CHAOS
TP100 영상. 플레이어는 Hexanbit.
MxM 화면 캡처 영상. 플레이어는 Reigns.
3.3. 기타
====# 스포일러 #====스토리 내에서 Xenon이 Cherry를 위해 쓴 곡이자, Crystal PuNK의 최후의 역작.
Crystal PuNK 스토리에서 한 불법조직이 연 연회에 Baro파와 참석해 두목이 가진 물건을 빼내오는 임무를 맡았던 Cherry가 두목에게 성희롱 당하면서 위기에 처할 뻔했는데, 이후 임무를 마치고 나서 멘붕해 Xenon을 찾아가 위로받으며 부른 노래다. 이때 Cherry는 자신에게 말할 수 없는 비밀이 있다고 고백하고 Xenon은 천천히 말하라며 이해해 줄 수 있다고 그녀를 다독였지만, 그 끝은...
그리고 Crystal PuNK 25레벨을 달성하면 마지막으로 열 수 있는 로그에서 다시 등장. 토룡의 습격으로 구황회가 위기에 빠지자 Kyubo 의료센터를 보호하기 위해 싸우던 Cherry가 큰 중상을 입고 한동안 안정을 취하게 된다. 그러나 갑자기 원인불명의 정전으로 시설 전체가 마비 되어버리면서 Cherry의 생명이 위험해지는데, 이때 Cherry는 곁에 있던 Xenon에게 자신의 속내를 다시금 고백하며 Xenon에게 이 노래를 불러달라 부탁하고, 이전에 주저했던 Xenon은 이번에는 Cherry를 위해 곡을 완창한다. 그리고 Cherry는 Xenon에게 더럽게 못 부른다는 유언을 남긴 뒤, 그의 손에 옛날에 생일 선물로 받았던 곰돌이 목걸이를 쥐여주고 영원한 안식에 들게 된다.
이후 메인 화면이 최상단 우측 동영상의 화면과 같이 바뀌며 피아노 버전으로 어레인지 되어 BGM으로 나온다.[2]
4. DEEMO II (piano ver.)
앨범16 - 돌아온 새해 5개의 곡, 16개의 보면 수록 | ||||
Still (piano ver.) | Imprinting (Orchestral Rework) | Tsukiyura (piano ver.) | syuten (piano ver.) | Owari to Hajimari no Oto (piano ver.) |
4.1. 채보
Still (piano ver.) | |||
| |||
<colbgcolor=#f6f6f6,#333> 작곡 | Rua feat. K, arranged by Nahre Sol | ||
BPM | ?~120 | ||
난이도 | Easy | Normal | Hard |
레벨 | 1 | 5 | 7 |
노트 수 | 211 | 441 | 588 |
해금 조건 | |
Easy | 상점 - 곡팩에서 앨범16 - 돌아온 새해 구매 |
Normal | |
Har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