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01 09:16:34

SK 시그마 올로모우츠


파일:찬스 리가 로고 가로형.svg
2025-26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파일:FK 두클라 프라하 로고.svg
파일:FK 믈라다볼레슬라프 로고.svg
파일:FC 바니크 오스트라바 로고.svg
파일:보헤미안스 프라하 1905 로고.svg
파일:FC 빅토리아 플젠 로고.svg
파일:AC 스파르타 프라하 로고.svg
파일:SK 슬라비아 프라하 로고.svg
파일:1. FC 슬로바츠코 로고.svg
파일:FC 슬로반 리베레츠 로고.svg
파일:SK 시그마 올로모우츠 로고.svg
파일:FK 야블로네츠 로고.svg
파일:FC 트리니티 즐린 로고.svg
파일:MFK 카르비나 로고.svg
파일:FK 테플리체 로고.svg
파일:FK 파르두비체 로고.svg
파일:FC 흐라데츠크랄로베 로고.svg
<colbgcolor=#f7f7f7,#1c1d1f> 파일:독일 국기.svg 분데스리가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분데스리가파일:체코 국기.svg 포트발로바 리가
파일:스위스 국기.svg 슈퍼 리그파일:헝가리 국기.svg 넴제티 버이녹샤그 I파일:폴란드 국기.svg 엑스트라클라사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수페르리가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프르바리가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컵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파일:SK 시그마 올로모우츠 로고.svg
SK 시그마 올로모우츠
SK Sigma Olomouc
<colbgcolor=#00598d><colcolor=#fff> 정식 명칭 Sportovní Klub Sigma Olomouc a.s.
별칭 하나치 (Hanáci)
창단 1919년 6월 1일 ([age(1919-06-01)]주년) [1]
소속 리그 1. 체스카 포트발로바 리가 (1. česká fotbalová liga)
연고지 올로모우츠 (Olomouc)
홈구장 안드루브 스타디움 (Andrův stadion)
(12,566명 수용)
라이벌
소유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체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체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체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요제프 레브르 (Josef Lébr)
감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체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체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체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토마시 야노츠카 (Tomáš Janotka)
주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체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체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체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라딤 브레이테 (Radim Breite)
공식 웹사이트 파일:SK 시그마 올로모우츠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우승 기록
2. 체스카 폿발로바 리가 (2부)
(2회)
2014-15, 2016-17
체코 컵
(2회)
2011-12, 2024-25
체코 슈퍼 컵
(1회)
2012
이적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 -
최고 이적료 방출 -
1. 개요2. 역사3. 같이보기

1. 개요

체코의 축구 클럽.

2. 역사

SK 시그마 올로모우츠는 1919년에 창단되었다. 1982년 최초로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에서 활동하였고 1991-92 시즌에는 UEFA 컵에 진출하여 8강에서 페네르바흐체 SK를 상대로 2차전에서 7-1로 승리하였다. 이후 1. 체스카 포트발로바 리가에서 활동하였으나 2014년 리그에서 15위를 기록하여 강등되었다. 1. 체스카 포트발로바 리가로 다시 복귀한 2017-18 시즌에는 4위를 기록하였으나 이후 3 시즌간 8위-11위-9위를 기록하며 하락세를 겪고 있다.

3. 같이보기

파일:체코슬로바키아 로고.png
1992-93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파일:FC 바니크 오스트라바 로고.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보헤미안스 프라하 1905 로고.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SK 디나모 체스케부데요비체 로고.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SK 시그마 올로모우츠 로고.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SK 슬라비아 프라하 로고(1996~2022).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AC 스파르타 프라하 로고(1999~2021).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FC 즈브로요프카 브르노 로고.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FK 두클라 프라하 로고.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FC DAC 1904 두나이스카스트레다 로고.svg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파일: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 로고.svg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파일: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로고.svg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파일:FC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로고.svg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파일:FC 니트라 로고.svg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파일:FC 흐라데츠크랄로베 로고.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MFK 비트코비체 로고.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1. FC 타트란 프레쇼우 로고.svg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