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31 23:35:28

SBS A&T

파일:SBS A&T 로고.svg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태영 심볼_white.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bgcolor=#ab2457><colcolor=#ffffff> 계열사
지주 회사 TY홀딩스
건설 태영건설 | 대구남부AMC | 양산석계AMC | 엠시에타 | 엠시에타개발 | 네오시티 | 유니시티 | 에코시티 | 에코시티개발 | 경산에코에너지 | 신경주지역개발 | 이너시티개발 | 양주동서도로 | 대동산업단지 | 신경주역세권공영개발
환경 에코비트 | 포천바이오에너지 | 동부권푸른물 | 에코비트에너지 | 에코비트그린 | 에코비트워터 | 에코비트엠엔에스 | 에코비트엔워터테크 | 에코비트에너지전주 | 에코비트에너지경산 | 에코비트에너지정세 | 에코비트에너지명성 | 에코비트프리텍 | 에코비트엔솔 | 여수엑스포환경 | 에코비트엔지니어링 | 심양TSK환경공정유한회사 | 울산이앤씨 | 센트로 | 부산바이오에너지 | 여천이피에스
물류 평택싸이로 | 태영그레인터미널
레저 블루원 | 인제 스피디움
방송 SBS | SBS A&T | SBS M&C | 스튜디오S | 빈지웍스 | 스튜디오프리즘 | SBS미디어넷 | 스튜디오161 | SBS인터내셔널 | SBS D&P
공익 재단 SBS문화재단 | 서암윤세영재단 }}}}}}}}}

SBS A&T
파일:SBS A&T 로고.svg
<colbgcolor=#008dd0><colcolor=#ffffff> 정식 명칭 주식회사 에스비에스에이앤티
영문 명칭 SBS A&T
창립일 1998년 10월 29일[1]
대표이사 김재준
기업 형태 대기업
업종명 뉴스 제공업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주요 주주 SBS: 99.64%
모기업 SBS
자본금 22억 3,000만 원 (2024)
매출액 1,285억 5,876만 원 (2024)
영업이익 -5억 2,752만 원 (2024)
당기순이익 -2억 6,162만 원 (2024)
사원수 394명 (2023.12.)
소재지 본사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서로 161, SBS 방송제작센터
일산 제작센터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일현로 111, SBS 일산제작센터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조직
3.1. 조직도
4. 지배구조5. 사업 내역
5.1. 판매 보컬로이드5.2. IVEX STUDIO
5.2.1. 개최한 행사
6. 둘러보기

1. 개요

SBS A&T는 SBS의 영상제작, 뉴스영상 취재/편집, 방송미술, 제작기술 등을 도맡는 자회사이다.
방송 콘텐츠의 기획부터 촬영, 편집, 송출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며, SBS의 다양한 프로그램 제작과 기술 운용을 담당하고 있다.

2. 역사

SBS A&T의 뿌리는 SBS의 영상기술·미술 부문이 각각 독립 법인으로 분리된 199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SBS는 수익성 제고와 제작 경쟁력 강화를 위해 1998년 10월 28일 ‘SBS뉴스텍’, 이튿날인 10월 29일 ‘SBS아트텍’을 각각 설립했다.

SBS뉴스텍은 영상취재 및 제작기술을 중심으로 출범했으며, 관리·중계·뉴스제작·영상제작·영상취재·영상편집 등 총 6개 팀 체제로 구성되었다. 1999년에는 외부 수주 제작 사업을 개시하며 (주)미성, 신한은행 등으로부터 홍보영상을 제작했고, 정보통신공사업 허가를 획득해 관악산 송신소 DTV 설치 공사 및 동아방송대 방송장비 설치공사 등을 수행하며 통신 인프라 구축 사업까지 확대했다. 콘서트 중계(예: H.O.T, 마이클 잭슨), 국방부 공연, 정부 행사 중계 등도 담당했다. 2000년에는 카 레이싱팀까지 창단했으며, 이후 SBS 뉴스 디지털 시스템(NDS) 구축에도 참여했다.

SBS아트텍은 영상미술과 일부 제작기술을 이관받아 1998년 11월 26일 분사되었으며, 직원들이 자사 주식 49%를 인수하는 형태로 독립 출범했다. 창립 당시 조직은 아트1~2팀, 영상제작1~2팀, 테크1~2팀 등 총 6개 팀 체제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방송 세트 디자인부터 시작해 각종 행사 연출 및 시설공사를 병행했으며, 창업박람회 제작을 시작으로 SKT TTL 행사, 한솔패밀리스튜디오, 강원 국제관광엑스포 전야제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2000년에는 방송업계 최초로 ISO9001, ISO14001 인증을 획득하고, 같은 해 롯데월드 내에 SBS아트텍 테마스튜디오를 개관하며 테마형 스튜디오 사업에도 진출했다.

이후 두 법인은 각자의 영역에서 방송 제작 인프라와 기술력을 축적하며 성장해왔고, 2014년, SBS뉴스텍과 SBS아트텍이 합병되며 SBS A&T(Art & Technology)로 출범하게 된다. 이 통합은 기술과 예술의 융합이라는 새로운 비전 아래, SBS 콘텐츠의 핵심 제작 자회사로 도약하는 전환점이 되었다.

SBS A&T는 이후에도 세계 최초 월드컵 UHD TV 생중계(2014), UHDTV ATSC 3.0 실험방송 성공(2016), 4K UHD 중계차 도입, 보컬로이드 '시유(SeeU)' 개발, IVEX 스튜디오 구축, 카트라이더 e스포츠 리그 중계, 해외 행사 수주 등 다양한 혁신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SBS의 방송 제작을 넘어 외부 콘텐츠 시장으로도 역량을 확대하고 있다.

3. 조직

SBS A&T의 조직은 크게 경영국, 미술제작본부, 방송제작본부, 보도영상본부로 구성되어 있다.

3.1. 조직도

4. 지배구조

주주명 지분율 비고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BS
99.64% 최대주주. SBS A&T는 사실상 SBS의 완전자회사에 가까운 구조를 지닌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개인 주주
0.36% 임직원 등 개인 지분으로 추정됨. 비상장사이므로 외부 유통 없음.

5. 사업 내역

5.1. 판매 보컬로이드

5.2. IVEX STUDIO

파일:IVEX STUDIO.png
IVEX STUDIO
주소 경기도 광명시 양지로 17, 5층
운영 SBS A&T
개관 2021년 10월 29일
크기 1,200평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BS A&T가 운영하는 미래형 콘텐츠 제작 스튜디오이다. 광명 AK플라자 5층, 어반브릭스 3층에 위치해 있으며, AK플라자 5층에는 하이퍼홀,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XR Lab가 있고, 어반브릭스 3층에는 오픈 라운지&스튜디오가 있다. 참고로 AK플라자 5층에 경기게임문화센터가 있다.

5.2.1. 개최한 행사

6. 둘러보기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f2023><color=#fff><tablewidth=100%>
음성 합성 엔진 개발 기업
[ 펼치기 · 접기 ]
||<height=111><tablebgcolor=#ffffff,#191919><width=20%>
파일:YAMAHA_MakeWaves.svg
||<width=20%>
파일:크립톤 퓨처 미디어 로고.svg
||<width=20%> 파일:PowerFX_logo.png ||<width=20%> 파일:인터넷(기업) 로고.png ||<width=20%>
파일:AH-Software 로고.svg
||
파일:Zero-G_logo.jpg 파일:Ki/oon Music Inc. 로고.png
파일:SBS A&T 로고.svg
파일:Dearstage 로고.jpg
파일:VocaTone.png
파일:Voctro Labs.png
파일:1st PLACE logo.png
파일:Studio_Deen_logo.png
파일:상하이 허녠 정보기술 로고.png
파일:EXIT TUNES 로고.png
파일:we've_logo.png
파일:가이노이드(기업) 로고.svg
파일:stmedia_logo.png 파일:아카츠키 버추얼 아티스트 로고.png 파일:샤프(기업) 로고.svg
파일:Dreamtonics 로고.svg
파일:KAMITSUBAKI STUDIO.svg
파일:부시로드 로고.svg
파일:TOKYO6 ENTERTAINMENT.png
||



[1] 합병 전 SBS 뉴스텍의 창립일.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