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새치자리#발견된 천체|황새치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 황새치자리 알파B α Dor | 베타성 황새치자리 베타 β Dor | 감마성 황새치자리 감마 γ Dor | 델타성 황새치자리 델타 δ Dor | |
엡실론성 황새치자리 엡실론 ε Dor | 제타성 황새치자리 제타 ζ Dor | 에타성 황새치자리 에타1·2 η Dor | 세타성 황새치자리 세타 θ Dor | |
카파성 황새치자리 카파 κ Dor | 람다성 황새치자리 람다 λ Dor | 누성 황새치자리 누 ν Dor | 파이성 황새치자리 파이1·2 π Dor | |
B: 가장 밝은 항성, 숫자: 플렘스티드 명칭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황새치자리 1 | 황새치자리 30 | 황새치자리 36 | 황새치자리 40 | |
황새치자리 50 | 황새치자리 60 | 황새치자리 70 | 황새치자리 80 | |
B: 바이어 명칭에 있는 항성, 취소선: 항성이 아닌 것 | ||||
변광성 명칭 순 | ||||
황새치자리 R | 황새치자리 S* | 황새치자리 AB | ||
그 외 황새치자리에 속한 항성* | ||||
황새치자리 G | HD 27713 | HD 31754 | - | |
*: 황새치자리 S를 제외한 대마젤란은하 내부에 위치해 있는 별들은 대마젤란은하/항성 문서를 참고 |
}}}
- [ 심원천체 ]
틀:별자리 · 황새치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R136 | ||
<bgcolor=black>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38m 42.396s |
적위 | -69° 06′ 3.36″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초성단 | |
거리 | 약 157,000 광년 48,500 파섹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9.5 | |
규모 | ||
성단 중심 직경 | 32.6 광년 10 파섹 | |
겉보기 크기 | 20" × 20" | |
명칭 | ||
UCAC2 1803442, SAO 249329, HD 38268, TYC 9163-1014-1, CD-69 324, GC 7114 |
1. 개요
R136R136은 대마젤란 은하 안에 있는 독거미 성운에 속한 산개성단들로 여러 개의 O형 주계열성과 볼프–레이에별이 성단 중심 5파섹 안에 있고 무거운 항성으로 유명한 R136a1도 여기에 속한다.
2. 상세
|
R136은 서로 100만 년의 나이 차이가 나는 2개의 성단이 합병되는 중이다.# |
R136 성단은 타란툴라 성운에서 발생하고 있는 폭발적 항성생성 사건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고밀도의 성단 1개와 길쭉한 산개성단 1개로 구성되어 있다.[1]
일반적인 OB형 성협의 200배에 달하는 밀도를 보인다. 성단의 총 질량은 약 45만 태양질량으로 추정되며 이후 서로 합병 후 초성단이 돼 늙어가며 구상성단으로 진화할 예정이다.
상술한 두 산개성단은 현재 합병 과정에 있으며, 이러한 산개성단의 합병은 황새치자리 30 016과 같은 다수의 고질량 항성들이 폭주성이 되게 만들어 버렸다. 문제는 이 성단들은 아직 합병 초기이라는 것. 앞으로도 더 많은 항성이 폭주성이 될 예정이다.
구성원의 대부분이 O형 항성 또는 그 항성에서 진화한 것들이다. 어리기 때문에 아직 초신성 폭발을 겪지 않았다. 중심 5파섹[2] 안에 볼프–레이에별 12개와 O형 별 72개가 있고 150파섹[3] 안에 볼프–레이에별 19개와 O형 별 325개가 더 있다.
2.1. 구성 천체
2.1.1. R136a(중심성단)[4]
- R136a는 볼프–레이에별 3개와 O형 별 5개로 구성되어 있다.
- R136a1 볼프 레이에별
- R136a2 볼프 레이에별
- R136a3 볼프 레이에별
- R136a4 O형 별
- R136a5 O형 별
- R136a6 O형 별
- R136a7 청색초거성
- R136a8 O형 별
2.1.2. R136b
- R136b 볼프 레이에별
2.1.3. R136c
- R136c 볼프 레이에별
2.1.4. 기타
- 멜닉 42 청색초거성
황새치자리 30 016[5] 청색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