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ycho Killer의 주요 수상 |
|
Psycho Killer | ||
<colcolor=#74a53e><colbgcolor=#cb2c23> 싱글 발매일 | 1977년 12월 | |
싱글 B면 | Psycho Killer (Acoustic) | |
앨범 발매일 | 1977년 1월 23일 | |
수록 앨범 | ||
스튜디오 | 선드래곤 스튜디오 | |
장르 | 뉴 웨이브, 포스트 펑크, 펑크(funk) | |
작사/작곡 | 데이비드 번, 크리스 프란츠, 티나 웨이머스 | |
프로듀서 | 토니 본지오비[1], 랜스 퀸 | |
러닝 타임 | 4:19 | |
레이블 | 사이어 레코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learfix]
1. 개요
스탑 메이킹 센스에서의 라이브 |
2. 상세
데모 버전(1976년 녹음)[2] | 어쿠스틱 버전[3] |
중간에 삽입된 프랑스어는 킬러의 양면성을 나타내기 위해 넣었다고 하며, 원래 일본어를 넣으려고 했으나 티나가 프랑스어를 할 수 있어[5] 프랑스어 가사로 낙점되었다.
동시대의 러시아 언더그라운드 록씬을 다룬 영화 레토에도 등장하며, 락 음악을 더러운 미제 문화의 산물로 여기는[6] 공산당원들을 뚫고 주인공 일행이 열차 안을 종횡무진하며 부르는 노래로 등장한다.
미국 드라마 기묘한 이야기 시즌 4에 삽입되었다.
3. 가사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gcolor=#aa1a0e> | }}}}}} I can't seem to face up to the facts 사실을 직시할 수가 없어 I'm tense and nervous and I can't relax 너무나 긴장되어, 진정할 수 없어 I can't sleep 'cause my bed's on fire 잘 수가 없어, 침대에 불이 나서 Don't touch me, I'm a real live wire 건드리지 마, 난 고압 전선이니까 Psycho killer 사이코 살인마 Qu'est-ce que c'est? 그게 뭐지? Fa-fa-fa-fa, fa-fa-fa-fa-fa, fa Better run, run, run, run 빨리, 빨리, 빨리, 빨리 Run, run, run away 빨리 도망치는 게 좋을걸 Oh, oh Psycho killer 사이코 살인마 Qu'est-ce que c'est? 그게 뭐지? Fa-fa-fa-fa, fa-fa-fa-fa-fa, fa Better run, run, run, run 빨리, 빨리, 빨리, 빨리 Run, run, run away 빨리 도망치는 게 좋을걸 Oh, oh, oh, oh Aye-ya-ya-ya-ya You start a conversation, you can't even finish it 넌 대화를 시작해 놓고는 끝내지도 못하지 You're talking a lot, but you're not saying anything 말은 많이 하지만, 아무 의미도 없어 When I have nothing to say, my lips are sealed 내가 할 말이 없을 때엔, 입을 다물고 있는다고 Say something once, why say it again? 한번 말한 걸, 뭐 하러 다시 말해? Psycho killer 사이코 살인마 Qu'est-ce que c'est? 그게 뭐지? Fa-fa-fa-fa, fa-fa-fa-fa-fa, fa Better run, run, run, run 빨리, 빨리, 빨리, 빨리 Run, run, run away 빨리 도망치는 게 좋을걸 Oh, whoa, oh Psycho killer 사이코 살인마 Qu'est-ce que c'est? 그게 뭐지? Fa-fa-fa-fa, fa-fa-fa-fa-fa, fa Better run, run, run, run 빨리, 빨리, 빨리, 빨리 Run, run, run away 빨리 도망치는 게 좋을걸 Oh, oh, oh, oh Aye-ya-ya-ya-ya Ce que j'ai fait, ce soir-là 그날 밤 내가 한 일 Ce qu'elle a dit, ce soir-là 그날 밤 그녀가 한 말 Réalisant mon espoir 내 소원을 이루고 Je me lance, vers la gloire, okay 나아갈 거야, 영광을 향해 Yeah, yeah, yeah, yeah Yeah, yeah, yeah, yeah Yeah, yeah, yeah, yeah We are vain and we are blind 우린 헛되고 눈이 멀었어 I hate people when they're not polite 예의 없는 사람들이 정말 싫어 Psycho killer 사이코 살인마 Qu'est-ce que c'est? 그게 뭐지? Fa-fa-fa-fa, fa-fa-fa-fa-fa, fa Better run, run, run, run 빨리, 빨리, 빨리, 빨리 Run, run, run away 빨리 도망치는 게 좋을걸 Oh, oh Psycho killer 사이코 살인마 Qu'est-ce que c'est? 그게 뭐지? Fa-fa-fa-fa, fa-fa-fa-fa-fa, fa Better run, run, run, run 빨리, 빨리, 빨리, 빨리 Run, run, run away 빨리 도망치는 게 좋을걸 Oh, oh, oh, oh Aye-ya-ya-ya-ya, ooh Written By: Chris Frantz, David Byrne, Tina Weymouth |
[1] 존 본 조비의 사촌이다.[2] 2연의 가사가 스튜디오 버전과 좀 다르다. 예를 들어 "You start a conversation, you can't even finish it" 부분은 "I'm passed out hours ago"라고 부른다.[3] Talking Heads: 77 디럭스 에디션 수록.[4] 다만 한니발 렉터는 실제로 영향을 받은게 아니라, 사후 부연 설명에 가깝다. 레드 드래곤은 1981년에 첫 발매되었으며 해당 인터뷰는 1992년 정도에 이뤄졌기 때문에. 공교롭게도 밴드의 라이브 영화 스탑 메이킹 센스를 찍은 조나단 드미는 양들의 침묵 감독이기도 하다.[5] 티나의 어머니는 프랑스인이라고 한다. 평소 집에서도 프랑스어로 대화했다고. 프랑스계 미국인인 셈.[6] 영화 내에서 섹스 피스톨즈, 토킹 헤즈 등이 언급되며, 주인공 일행은 '그냥 펑크 락 밴드일 뿐이다'라며 반발하지만 공산당원들은 '미제 문화의 앞잡이들'이라며 응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