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00><tablebordercolor=#eff923><tablebgcolor=#eff923> | PUBG e스포츠 폐지된 대회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폐지된 국제 대회 | ||||||
{{{#!wiki style="margin:-16px -11px" | |||||||
GPI | PAI | FGS | |||||
2017 | 2017 2019 | 2019 | |||||
GGS | MAS | ||||||
2019 | 2019 | CS 1 2 3 4 5 6 7 | }}} | ||||
폐지된 지역 리그 | |||||||
대만·홍콩·마카오 MPL | 대한민국 PKL | 북미 NPL | 유럽 PEL | 동남아시아 PSC | |||
오세아니아 ESL | 라틴아메리카 LPPS | 일본 PJS | 라틴아메리카 CPM | 유럽 ESL | |||
아메리카 ESL | 유럽 G-Loot | 태국 PTO | 베트남 PVO | 중국 PDL | |||
핀란드 PSL | 북유럽 Frag League | 중국 PSL | 일본 PJCS | 일본 PJC | |||
동남아시아·오세아니아 PCR | 호주·뉴질랜드 LPL | ||||||
지역 리그(2018~2019) | 지역 리그/대회(2021~2022) | 지역 리그(2023~) | 국제 리그 | 국제 대회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 PUBG Continental Series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0 | Charity Showdown (Asia · APAC · NA · Europe) | 1 (Asia · APAC · NA · Europe) | 2 (Asia · APAC · NA · Europe) | 3 (Asia · APAC · NA · Europe) | ||||
2021 | 4 (Asia · APAC · AM · Europe) | 5 (Asia · APAC · AM · Europe) | |||||||
2022 | 6 (Asia · APAC · AM · Europe) | 7 (Asia · APAC · AM · Europe) |
PUBG Continental Series Asia | ||||
PCS 5 ASIA | → | PCS 6 ASIA | → | PCS 7 ASIA |
PCS 6 ASIA 우승 팀 | ||||
Petrichor Road | → | Petrichor Road | → | NewHappy |
PCS 6 ASIA Kill Leader | ||||
차승훈 (GEN Pio) | → | 줘즈셴 (PeRo Aixleft) | → | 줘즈셴 (PeRo Aixleft) |
PUBG Continental Series 6 Asia | |||||
대회 기간 | 2022년 4월 29일 ~ 5월 8일 | ||||
주최·주관 | |||||
개최지 | 동아시아 | ||||
참가팀 | 16팀 | ||||
맵 | 에란겔, 미라마 | ||||
모드 | 스쿼드 1인칭 | ||||
패치 버전 | 16.1 | ||||
경기장 | 온라인 | ||||
중 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중계 플랫폼 | 온라인 | |||
<colbgcolor=#f5f5f5,#2d2f34> | [1] | ||||
중계진 | 캐스터 | ||||
박상현, 채민준 | |||||
해설자 | |||||
김지수, 신정민, 김동연, 조한경 | |||||
분석 데스크 | |||||
박한얼, 이성훈 | |||||
인터뷰어 | |||||
이현경, 곽민선 | }}}}}} | ||||
일 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주차 | ||||
4월 29일 ~ 5월 1일 | |||||
2주차 | |||||
5월 6일 ~ 5월 8일 |
}}}}}} ||
결 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우승 | Petrichor Road | |||
준우승 | TYLOO | }}}}}} |
[clearfix]
1. 개요
Born Ready |
2. 선발전
자세한 내용은 PUBG Continental Series 6 Asia/선발전 문서 참고하십시오.3. 참가팀
PUBG Continental Series 6 Asia 참가팀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KWANGDONG FREECS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선수 명단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1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Akad | |||
2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Hikari | ||||
3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EEND | ||||
4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LashK | ||||
C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Orion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Jayden | }}}}}}}}} | Danawa e-sports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선수 명단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1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seoul | |
2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Salute | ||||
3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Rex | ||||
4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HelleN | ||||
5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LeClo | ||||
C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ssonic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LeClo | }}}}}}}}} | GHIBLI Esports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선수 명단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1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Lambu | |
2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Adder | ||||
3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Gyumin | ||||
4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Heaven | ||||
C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PLIKHE | }}}}}}}}} | Gen.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선수 명단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1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Inonix |
2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Maczora | ||||
3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Spear | ||||
4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Renba | ||||
5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Asura | ||||
C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WachinU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Asura | }}}}}}}}}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중화 타이베이|]] | ||
Maru Gamin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선수 명단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1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Gak | |||
2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yacha | ||||
3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Dlaks | ||||
4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SeoungYong | ||||
C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OD | }}}}}}}}} | Veronica7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선수 명단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1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Puding |
2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JangGu | ||||
3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2star | ||||
4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GOMP | ||||
C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lipsmark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ZAMIL | }}}}}}}}} | Donuts US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선수 명단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1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SHEVA | |
2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Kein | ||||
3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Americano | ||||
4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Corn | ||||
5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URS4 | ||||
C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URS4 | }}}}}}}}} | Global Esports Xsset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선수 명단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1 | [[중화 타이베이|]] YanLi |
2 | [[중화 타이베이|]] ZhenNan | ||||
3 | [[중화 타이베이|]] Savior | ||||
4 | [[중화 타이베이|]] SSR | ||||
C | [[중화 타이베이|]] M4 | }}}}}}}}} |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
NewHappy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선수 명단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1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ZpYan1 | |||
2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MMing | ||||
3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Nannnnn | ||||
4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HSmm | ||||
C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Rick | }}}}}}}}} | 17Gamin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선수 명단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1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shou |
2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SuJiu | ||||
3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LilGhost | ||||
4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Xbei | ||||
5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DJoO | ||||
C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Joanna |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Akuma | }}}}}}}}} | Tianba Esports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선수 명단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1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LinShuNN | |
2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Tang | ||||
3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77owo | ||||
4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Cui71 | ||||
5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mingz1 | ||||
C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BAOLANDTT | }}}}}}}}} | Petrichor Road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선수 명단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1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Aixleft |
2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Myl | ||||
3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AZ | ||||
4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lionkk | ||||
5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Ming | ||||
C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Brong | }}}}}}}}} |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
TYLOO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선수 명단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1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Jiaoyang | |||
2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xTongzz | ||||
3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SIA | ||||
4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CC108 | ||||
C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ShanD1anX | }}}}}}}}} | Four Angry Men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선수 명단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1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We1less |
2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xxxLu | ||||
3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Lzqq | ||||
4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Xiaohaixxxx | ||||
C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Xiaoyao | }}}}}}}}} | JUFU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선수 명단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1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xwudd |
2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Grayyyyyy | ||||
3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xyang | ||||
4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Hang2y | ||||
5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xyz | }}}}}}}}} | infantry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선수 명단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1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LongSkr |
2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L1nnnn | ||||
3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VoliBEAR | ||||
4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WangZai | ||||
5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9 | ||||
C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APLUSVABLE |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1XIA | }}}}}}}}} |
4. 기념 스킨
5. 대회 진행
5.1. 대회 방식
일주일에 3일간 하루 5매치씩, 총 2주간 30라운드를 진행하며 30라운드 총합 점수로 순위를 정한다.5.2. 경기 룰
본 대회는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 규정 SUPER v3.0.3에 따라 진행된다.대회 규정집
라운드 포인트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6위 | 7-8위 | 9-16위 | 1 Kill |
10 | 6 | 5 | 4 | 3 | 2 | 1 | 0 | 1 |
타이브레이커 |
1. 모든 경기 킬 포인트 합산이 더 높은 팀이 우선 |
2. 타이브레이커 대상 팀들이 같이 참여한 경기 중 최근 경기의 순위가 높은 팀 우선 |
3. 모든 경기 중 순위가 가장 높았던 경기를 비교하여 그 순위가 높은 팀 우선 |
4. 모든 경기 중 순위가 가장 높았던 경기를 비교하여 킬 포인트가 높은 팀 우선 |
5. 모든 경기 중 순위가 가장 높았던 경기를 비교하여 데미지가 높은 팀 우선 |
6. 5까지 모두 같으면 동순위 취급, 상금을 나눠가짐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f2be00; margin: 0 auto; width: 100%; display: table" 경기 룰 {{{#!wiki style="margin: 0 10px; display: inline-block"{{{#!folding [ 블루존 이동 속도 ] | <tablealign=center> 페이즈 | 지연(s) | 대기(s) | 이동(s) | 초당 피해량 | 축소 | 확산 | 육지 비율 | ||
<rowcolor=#000,#ddd> 1 | 90 | 240 | 270 | 0.6 | 0.35 | 0.5 | 0 | |||
<rowcolor=#000,#ddd> 2 | 90 | 120 | 0.8 | 0.55 | 0.56 | 0 | ||||
<rowcolor=#000,#ddd> 3 | 60 | 120 | 1 | 0.6 | 0.56 | 0 | ||||
<rowcolor=#000,#ddd> 4 | 60 | 120 | 3 | 0.6 | 0.56 | 1 | ||||
<rowcolor=#000,#ddd> 5 | 60 | 120 | 5 | 0.65 | 0.56 | 0 | ||||
<rowcolor=#000,#ddd> 6 | 60 | 120 | 8 | 0.65 | 0.56 | 0 | ||||
<rowcolor=#000,#ddd> 7 | 60 | 90 | 10 | 0.65 | 0.56 | 0 | ||||
<rowcolor=#000,#ddd> 8 | 60 | 60 | 14 | 0.7 | 0.56 | 1 | ||||
<rowcolor=#000,#ddd> 9 | 10 | 160 | 18 | 0.001 | 10 | 0 |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에란겔 아이템 드랍률 ] | 탄약 | ||
탄약 | 1 | |||||||||
석궁용 볼트 | 0 | |||||||||
플레어 | 0 | |||||||||
무기 | ||||||||||
저격소총(SR) | 1.65 | |||||||||
지정사수소총(DMR) | 2.25 | |||||||||
돌격소총(AR) | 1.3 | |||||||||
엽총(HR) | 0 | |||||||||
경기관총(LMG) | 0.5 | |||||||||
기관단총(SMG) | 2 | |||||||||
산탄총(SG) | 1 | |||||||||
권총 | 0.45 | |||||||||
투척 무기 | 1.4 | |||||||||
섬광탄 | 1.1 | |||||||||
수류탄 | 0.7 | |||||||||
화염병 | 1.1 | |||||||||
연막탄 | 1.1 | |||||||||
근접 무기 | 1.65 | |||||||||
석궁 | 0 | |||||||||
플레어 건 | 0 | |||||||||
총기 부착물 | ||||||||||
조준기 부착물 | 1.1 | |||||||||
탄창 부착물 | 0.55 | |||||||||
총구 부착물 | 0.75 | |||||||||
하단 레일 | 1.3 | |||||||||
개머리판 부착물 | 1.65 | |||||||||
석궁용 화살통 | 0 | |||||||||
소모품 | ||||||||||
치료 아이템 | 1.1 | |||||||||
부스트 아이템 | 1 | |||||||||
연료통 | 0.35 | |||||||||
장비 | ||||||||||
배낭 | 0.65 | |||||||||
헬멧 | 0.9 | |||||||||
방탄조끼 | 0.9 | |||||||||
옷 | ||||||||||
옷 | 0 | |||||||||
조정 가능한 비율 & 조정 가능한 전체 수 : 1.7 |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미라마 아이템 드랍률 ] | 탄약 | ||||||||
탄약 | 1 | |||||||||
석궁용 볼트 | 0 | |||||||||
플레어 | 0 | |||||||||
무기 | ||||||||||
저격소총(SR) | 2.45 | |||||||||
지정사수소총(DMR) | 2.8 | |||||||||
돌격소총(AR) | 1.3 | |||||||||
엽총(HR) | 0.65 | |||||||||
경기관총(LMG) | 0.4 | |||||||||
기관단총(SMG) | 0.85 | |||||||||
산탄총(SG) | 1 | |||||||||
권총 | 0.55 | |||||||||
투척 무기 | 1.1 | |||||||||
섬광탄 | 1.3 | |||||||||
수류탄 | 0.55 | |||||||||
화염병 | 1.4 | |||||||||
연막탄 | 1 | |||||||||
근접 무기 | 1.85 | |||||||||
석궁 | 0 | |||||||||
플레어 건 | 0 | |||||||||
총기 부착물 | ||||||||||
조준기 부착물 | 1 | |||||||||
탄창 부착물 | 1.2 | |||||||||
총구 부착물 | 0.75 | |||||||||
하단 레일 | 1.25 | |||||||||
개머리판 부착물 | 1.1 | |||||||||
석궁용 화살통 | 0 | |||||||||
소모품 | ||||||||||
치료 아이템 | 1.1 | |||||||||
부스트 아이템 | 1.1 | |||||||||
연료통 | 0.35 | |||||||||
장비 | ||||||||||
배낭 | 0.98 | |||||||||
헬멧 | 0.9 | |||||||||
방탄조끼 | 0.8 | |||||||||
옷 | ||||||||||
옷 | 0 | |||||||||
조정 가능한 비율 & 조정 가능한 전체 수 : 1.7 | }}}}}}}}}}}} |
풀 사이즈 링크 | 풀 사이즈 링크 |
노란색 점 - 차량 고정 스폰 | 빨간색 점 - 보트 고정 스폰 |
6. 대회 결과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2be00> | PCS 6 Asia 챔피언 |
Kill Leader | |||||||||||||||||
Aixleft | |||||||||||||||||
Insane Squad | |||||||||||||||||
TYLOO | |||||||||||||||||
All-PCS Team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Aixleft | Jiaoyang | xyang | shou |
순위표 | |||||||||||||
순위 | 팀 | 총합 | 1주차 | 2주차 | 상금 | PGC 포인트 | 비고 | ||||||
점수 | 순위 | 킬 | 치킨 | 점수 | 킬 | 점수 | 킬 | ||||||
1위 | PeRo | 239 | 86 | 153 | 3 | 91 | 59 | 148 | 94 | $80,000 | 200 | ||
2위 | TYL | 232 | 94 | 138 | 3 | 147 | 91 | 85 | 47 | $36,000 | 120 | ||
3위 | Tian | 228 | 84 | 144 | 4 | 126 | 73 | 102 | 71 | $21,000 | 95 | ||
4위 | JuFu | 224 | 84 | 140 | 3 | 117 | 71 | 107 | 69 | $16,000 | 80 | ||
5위 | 17 | 200 | 73 | 127 | 6 | 104 | 68 | 96 | 59 | $12,000 | 65 | ||
6위 | GEN | 195 | 81 | 114 | 5 | 116 | 65 | 79 | 49 | $11,000 | 50 | ||
7위 | KDF | 183 | 70 | 113 | 2 | 97 | 61 | 86 | 52 | $8,000 | 40 | ||
8위 | NH | 174 | 59 | 115 | 2 | 82 | 57 | 92 | 58 | $7,000 | 30 | ||
9위 | GBL | 170 | 57 | 113 | 1 | 58 | 42 | 112 | 71 | $6,000 | 25 | ||
10위 | iFTY | 167 | 66 | 101 | 1 | 78 | 47 | 89 | 54 | $6,000 | 25 | ||
11위 | 4AM | 151 | 28 | 123 | 0 | 77 | 64 | 74 | 59 | $5,000 | 20 | ||
12위 | GEX | 136 | 51 | 85 | 0 | 58 | 36 | 78 | 49 | $5,000 | 20 | ||
13위 | DNW | 123 | 34 | 89 | 0 | 56 | 43 | 67 | 46 | $5,000 | 10 | ||
14위 | USG | 115 | 32 | 83 | 0 | 67 | 49 | 48 | 34 | $4,000 | 10 | ||
15위 | V7 | 94 | 23 | 71 | 0 | 42 | 30 | 52 | 41 | $4,000 | 5 | ||
16위 | MARU | 94 | 34 | 60 | 0 | 49 | 29 | 45 | 31 | $4,000 | 5 |
7. 평가
7.1. 한국팀 부진의 원인
이번 대회는 그야말로 답이 없는 대한민국 PUBG 이스포츠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줬다. 1주차가 끝난 시점에서, 국내 리그를 멋대로 없애버린 나라는 어떻게 망하는지 제대로 보여주었다. 본래 19년도 PKL은 PAI, FGS, MET 시리즈, PGC 2019까지 같은 해 열린 모든 세계대회를 제패하면서 아시아를 넘어서 세계에서 단연 가장 강력한 리그였다. 그러나 20년도에 코로나19 이슈로 대륙별 리그인 PCS를 진행함에 따라 PKL을 폐지했고, 선수 풀과 연습 환경, 전략전술, 대회 흥행력 면에서 기반을 받쳐주며 국제전에서 한국 팀들의 경쟁력을 유지하게 해 주던 PKL이 사라진 결과는 처참할 수밖에 없었다.PKL의 팀이 24팀이었는데, PKL 폐지 이후 제대로 굴러가는 한국 프로팀은 그 절반인 12팀도 안 된다. 비록 PKL 리그 존속 시기에도 배그 E스포츠의 존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나 각 팀마다 구단 운영과 유지 문제 등으로 이슈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국가 리그 PKL이라는 중요 옵션이 사라지면서 프로팀 운영에 손을 떼는 구단이 점점 늘어만 갔고, PUBG 대회와 팀 창단을 매력적으로 여기는 기업이 줄어드는 결과로 이어졌다. 그리고 이는 선수들의 연봉과 게이밍 환경 등의 투자력 자체에도 지장이 가는 결과로 돌아올 수밖에 없었고, 자연스럽게 실력이 좋고 경험이 많은 선수들이 은퇴를 하며 방송인으로 전향하거나 업계를 떠났고, 프로 활동을 이어가는 경우라도 금전적으로 더 매력적인 해외 팀으로 발을 돌렸다.
또한 2부 리그에서도 수준급의 선수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는 것을 2부리그 출신인 2heart 같은 선수들이 증명하면서 하부리그의 운영도 상당히 중요했는데, 그 2부 리그 PKC를 맡았던 OGN의 사업 종료/매각설이 2019년 말부터 쭉 들렸고, 실제로 2부 리그 PKC는 19년 10월까지 진행되고 폐지되고 OGN도 그 다음해인 2020년에 폐국해버렸기 때문에 밑바탕에서 유망주들의 발전을 도와줄 시간과 기반 시설이 파괴되어, 유망주 풀은 당연히 크게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2] 그걸 뒤늦게 인지했는지 아마팀들이 PWS 시드권을 두고 경쟁하는 통합 하부 리그인 LVUP SHOWDOWN이 2021년 본격적으로 확대 출범되었으나, 1년의 시간을 통째로 날린 대가는 처참했다.
2020년에는 비록 PKL은 없어졌지만 그래도 한국 내 선발전이 운영되면서 엔투스, T1, 쿼드로 같은 근본 강팀들은 여전히 중국에 비해서 꿀리지 않는 경기력이 나왔지만 위에 소개했던 세 팀은 이미 해체되어 없어졌으며 유사 한국리그였던 선발전마저도 한 수준 아래인 일본, 대만 리그와 묶어서 PWS라는 통합 리그로 합쳐버린 2021년부터 하향 평준화가 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관적인 의견이 나오며 점점 중국과의 격차가 벌어지기 시작했는데, 사실 2020년 초 PGS Berlin : Korea Qualifier 때부터 이미 하향평준화 되었다. 김동준, 김지수, 신정민 해설은 모두 많은 프로팀들이 사라지는 것을 목도하며 선수 라인업이 하향 평준화되는 모습을 알고 있었지만 (프로팀들의 이탈 가속화를 막기 위해, 그리고 직전 시즌 우승 지역이라는 명분이 있어서) 어쩔 수 없이 쉴드 해설을 해야만 했을 정도로 중국과의 격차는 예정된 결과였다. 이미 전조 증상은 PCS ASIA Charity Showdown, PCS 5 ASIA 때 있었다. Charity Showdown에 메타를 바꾸는 폭발적인 공격력을 보여준 Tianba Esports가 압도적으로 우승을 거둘 때 선택했어야 했다. 교전에 올인하던가. 아니면 더 단단한 운영으로 버티던가.
한국팀들 중 전자는 GHIBLI Esports였고, 후자는 OGN ENTUS와 T1이었다. 전자는 PCS 2 ASIA에서 4AM에게 랜드마크 싸움에서 무려 1:9로 털리면서 실패로 끝났고, 후자는 고질적인 뒷심 부족으로 소위 "4투스", "탈티효과"로 불렸던 패러다임에 갇혔다. 그래도 리그 유무라는 큰 차이가 있어서 어느 정도는 선방했다고 평가받았다. 실제로 시리즈가 진행될 수록 어느 정도 중국 팀들의 전력과 전략을 PCS 2,3 들어서 파훼하는 모습이 보였고 리드했던 기간도 꽤 있었기에. 물론 최후의 승자가 되지는 못했다. 이런 결과를 통해 시대가 바뀌었다는 것을 목도했고, PGI.S 때 아프리카와 젠지가 각각 리그 위클리 우승을 가져오며 어느 정도 만회했다. 그러나, 2021년에는 자국 리그가 치킨룰이 도입 되며 그야말로 막장이 되어 버렸는데 PGI.S 전체 파이널 진출에 빛나는 아프리카는 일명 개같이 멸망, T1, 그리핀은 PCS 진출조차 못 하는 졸전 끝에 해체되었고 2021년 PCS 5 Asia에서 담원 기아(前 OGN ENTUS)가 처참하게 조롱받으며 멸망했다.[3] 심지어 아마추어 팀으로 진짜 치킨룰빨로 힘들게 진출한[4] Veronica 7(現 GNL Esports)이 PGC를 가는 대형사고를 쳤을 때 기존의 프로팀들은 느꼈어야 했다. 또한, PCS6직전에 진행된 국내 리그에서도 이상 현상은 감지되었다. 바로 일본의 Donuts USG의 2022 PWS 동아시아 페이즈 1 4주차 1위인데, 일본 팀이 한국 개최 대회에서 1위를 기록한 적은 단 한번도 없었기 때문이다. 그 DetonatioN Gaming White나 ENTER FORCE.36이 하루에 치킨을 두마리 뜯는 정도로 수준급의 성적을 기록한 적은 있었지만, 그조차도 능력상 한계가 중상위권 까지였고 아예 탑을 찍은 적은 전무했다. 이제는 대한민국 내부의 경쟁이 아니라 타 지역의 경기력 향상에 따른 플랜 B, 해결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었다. 물론 그랜드 파이널에서 북산 엔딩으로 끝났으나, 그 파이널에서도 위협적인 장면이 분명히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한폭탄에 대한 대처가 전무했다.
7.2. 대회 총평
본론으로 돌아가자면, 1주차 1,2,3위는 중국이 가뿐하게 가져갔고, 젠지는 4위로 겨우 버텼다, 우승권으로 점쳐졌으나 첫판 치킨을 먹고 쭉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광동 프릭스는 이제 서부권 유지조차 버거워 보이는 게 현실이며, 나머지 4팀의 성적은 말 할 것도 없이 처참하다. 특히 대한민국 4위로 진출, 운영에 강점이 있던 마루 게이밍은 운영은 물론 교전도 안 되며 아마추어 팀인 Veronica 7한테도 밀리는, 소위 폐급 경기력을 찍고 있다. 특히 한국은 20마리의 치킨 중 단 4마리를 가져가는 데 그쳤고, 그마저도 한국의 마지막 자존심으로 불리는 젠지가 3개, 광동이 1개로 나머지 4팀은 단 하나의 치킨도 가져가지 못하고 밑바닥을 깔아주면서 수준차이를 직감했다. 참고로, 이 치킨들은 첫째날 3개, 둘째날 1개를 가져갔다. 즉 셋째날과 넷째날에는 전혀 치킨을 먹지 못했고, 이틀 동안 TOP 4에 들어간 한국 팀의 횟수 총합은 불과 9차례에 불과했다.[5] 결국 5일차가 진행되면서 한국 지역 해설위원이었던 신정민, 김지수 해설위원[6]이 백기를 들어서 중국 우승이 확정되었다는 비관적인 소식을 전했으며, 젠지가 5일차 마지막 치킨을 먹었을 때에도 한국의 우승 가능성은 페트리코 로드, 타이루, 톈바, 주푸가 다같이 망하지 않는 이상 불가능하다고 딱 잘라 말하는 등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소식이 넘쳐 흘렀다.참고로 중국 8위 iFTY는 롱스커 원맨 팀이라는 이미지 때문에 약점을 제대로 잡혀 2021년 시즌 전체를 폭망한 팀인데, 이번에도 못 나올 뻔하다가 마지막 날 롱스커의 불꽃같은 플레이로 겨우 막차를 탄 팀이다. 그 정도로 불안한 경기력을 보였는데 한국 팀이 전혀 뚫지 못하는 것을 보면 게임을 대놓고 던지는 것이 분명한 Four Angry Men[7] 을 제외하고는[8] 1~7위 팀이 모두 중국 팀이 될 것이 뻔하다. 다행스럽게도 iFTY, 4AM이 5,6일차에 죽을 쑤며 서부 리그가 모두 중국이 차지하는 참사까지는 일어나지 않았다.
오죽했으면 PCL 1위~8위가 아닌 9위~16위가 올라왔어도 중국이 우세했을 것[9]이라는 말도 나오면서 결국 PWS는 완벽하게 PCL 2부 리그로 전락하고 말았다. 한국 팬덤은 사실상 기대를 버려버린 상황이고 프로씬이 붕괴해버린 일본[10], 대만[11] 팬덤이 어떤 기분인지 알겠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시청자 수는 점점 떨어지면서 소위 3000명의 콘크리트도 깨져버린 지 오래라 국제전이 흥행한다는 이상한 논리와 코로나 이슈를 핑계로 진행한 PWS체제가 한, 일, 대만 프로 시장을 붕괴시킬 것이라는 일각의 우려[12]가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결국 2주차에도 중국이 15마리 중 11마리의 치킨[13]을 가져갔고, 탑 5는 중국 팀들이 모두 차지하면서 끝나고 말았다. 젠지는 '서클튀면 중앙 4인돌격 후 버티기'라는 단조로운 플레이가 다 읽혀 들어가며 끝내 상위권으로 재도약하는 데 실패했고, 꺼져가던 불씨를 살리긴 했지만 여전히 부족했던 광동이나 부진을 딛고 반등에 성공했지만 때는 이미 늦어도 한참 늦었던 기블리, PCS 2의 어느 팀이 생각나는 랜드마크, 성적 두 마리 토끼를 다 놓친 다나와[14], 그리고 말할 필요도 없이 최약체에 불과했던 베로니카 7과 마루 게이밍.[15] 결국 한국은 서부 리그에 단 두 팀만을 그나마 턱걸이로 올려보냈고 PCS 6을 완벽하게 말아먹고 말았다. 사실상 한국, 일본, 차이니즈 타이페이 지역의 연합으로 내부 경쟁을 통한 질적 향상을 도모한 PWS의 설립 취지가 무용지물이 된 순간이며, PWS의 존폐 자체가 위협당하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 PUBG 이스포츠의 미래는 PCS 7 ASIA, 2022 PUBG Global Championship 단 두 대회에서 결정되며, 최소한 PCS 7 ASIA에서 우승은 못하더라도 한국이든, 일본이든, 차이니즈 타이페이든 상관 없이 상위권에 많은 팀들을 올려보내야 한다.[16] 이 두 대회에서도 부진할 경우 미래는 전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2019년 잘 나가던 PUBG 한국 지역의 시스템을 스스로 무너뜨린 대가가 어떻게 되는지를 보여주고 있는 실정.
8. 논란 및 사건사고
8.1. 1일차 한국 중계 채널 오디오 이슈
4월 19일 있었던 개막전 경기에서 한국 채널(유튜브, 아프리카, 트위치 3사) 오디오가 처음 대회를 소개한 이현경 아나운서의 목소리 이후 분석 데스크의 팀 분석, 해설진들의 대회 중계까지 멘트가 모두 나오지 않고 배경음악만 들리는 참사가 일어나버렸다. 영어방송과 일본, 대만 중계방은 문제가 없었기 때문에 아프리카가 중계하는 한국 채널에서만 문제가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1라운드가 진행되는 상황에서도 오디오가 들리지 않았고, 인게임 사운드마저 잠시 들리다가 음소거가 돼버리는 방송사고가 나버렸다. 비록 소리는 1라운드 5분이 지난 이후에 다시 나오기 시작했지만 중계 채널에 대한 여론은 매우 차갑다.
9. 기타
- 담원 기아의 진출 실패로 전신인 엔투스 시절을 포함하여 PCS 최초로 담원 기아가 진출에 실패하였다.
- Petrichor Road의 AZ가 전자담배를 피우는 장면이 경기 중 포착되어 2점 감점되었다.
[1] 맵 방송[2] 게다가 그 OGN의 폐국에는 PSS 시즌 2 결승에서 공개한 미니다큐 BASIS로 펍지의 운영을 디스한 OGN을 외면하기 시작한 펍지의 대응에도 일정 부분 원인이 있었기에 더 씁쓸한 부분.[3] 마지막 날 마지막 경기가 정점이었다. 얼마나 담원 기아가 약팀이 되었는지를 알 수 있었을 정도로 비판 여론이 심했다. 상대가 중국팀도 아니고, 약체팀으로 평가받는 일본 팀이었고 심지어 인원수도 더 많았고 자기장까지 먹고 있는데 교전 때 실수가 한 둘이 아니고 2분 사이에 4~5번이나 나오며 패배했으므로 팬들은 이런 장면을 보고 폭발하지 않을 수 없었다. 04:45:00부터. 참고로 이 치명적인 실수 한방으로 BeaN 선수는 방출되었고 불명예 은퇴했다.[4] 치킨룰이 아니고 S.U.P.E.R 룰이었으면 애초에 PWS 2021 시즌 2 그랜드 파이널 진출은 커녕, LVUP SHOWDOWN에서 진출 자체가 불가능했을 것이다.[5] 3,4일차에 10판을 했으니 40번의 TOP 4 팀이 나올 것이다. 중복을 포함해도 9번밖에 못 가져갔으니 처참하게 털렸다는 것이 증명된다.[6] 지수보이 해설은 특히 중국vs한국 교전이 일어났을때 한국팀이 중국팀보다 템포가 느리고 투척도 너무 대충 던지는데다 너무 따로따로 싸워서 무기력하게 무너진다고 혹평했다.. 마루게이밍 vs 뉴해피 교전이 그 예.[7] 운영을 안하고 '적이 보이면 그냥 4인돌격으로 갖다박고 다잡기'라는 매우 단순한 플레이를 2주 내내 보여줬다. 오죽하면 지수보이 해설이 대놓고 "4AM 게임 대충합니다." 라며 깔 정도.[8] 그걸 감안하더라도 젠지의 킬 수보다 많다. 대놓고 던지는 데도 킬수가 4AM이 더 많은데 이길 래야 이길 수가 없다.[9] 9~16위 팀으로도 한국 입장에서 전혀 만만하지 않은 게, 탈락한 팀들 중 Change the Game, Multi Circle Gaming이 있고, APL에 용병으로 출전해서 엄청난 임팩트를 남긴 Monsters 선수가 소속된 Rainbowstyle이 있다.[10] 지역리그 폐지를 위시한 펍지의 운영에 질린 유저들이 발로란트와 에이펙스로 빠져나가며 선수 풀이 엄청나게 위축되어 버렸고, 상위권 팀은 아예 한국 선수를 수혈받는 상황이다. 참고로 일본 국가대표로 선발된 SHEVA 선수는 이번 대회 통틀어 5킬, 즉 K/R 0.17, 평균 데미지 109를 찍는 처참한 스탯을 기록했다.[11] 지역리그 폐지 이후 유망주들의 중국 유출이 심각해서 사실상 GEX만 제대로 활약하고 있다.[12] PKL을 없애고 동북아시아 리그를 통합한다고 했을 때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의견도 적지 않았으나, 롤로 비유하면 LCK를 시장 규모가 작다는 핑계로 수준이 낮은 일본, 대만 리그와 통합하는 것과 다를 바 없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적지 않았다.[13] 최종적으로 한국 8 / 중국 22 치킨이다. 나머지 지역은 단 한 마리의 치킨도 가져가지 못했다. 세부적으로 한국 팀들 중 젠지가 5치킨, 광동이 2치킨, 기블리가 1치킨을 가져갔다. 나머지 3팀은 치킨 근처에도 오지 못했다. 대부분의 팀들이 PCS 6과 크게 다를바 없던 PCS 7에서도 한국 13 / 중국 14 치킨인걸 보면 얼마나 처참한지 느껴질 일.[14] 그래도 다나와는 변명의 여지라도 있는 게, 처참하게 멸망전 단계부터 압도적으로 털린 기블리와는 달리 멸망전 구도에서는 호각세를 보였다는 점이다. 물론 이겼다는 건 아니다. 지긴 졌는데 기블리만큼 완패는 아니라는 것.[15] 이 중에 Veronica7의 GOMP, 2star 선수는 겨우 2천대 딜량(각각 2531, 2562)을 기록하며 유이한, 평균 데미지 100 이하를 기록한 선수들로 남게 되었으며, Maru Gaming의 주전 선수 중 3명이 모두 14킬씩, KD 0.4를 기록하며 결과적으로 처참한 순위로 이어졌다.[16] 알다시피, PCS 6 ASIA에서는 상위권이라고 할 수 있는 1,2,3,4,5위가 모두 중국이라 나머지 지역에서는 상위권 팀이 한 팀도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