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cast Community[1] | |
<colbgcolor=#d5d5d5><colcolor=#000> 장르 | 미니게임 |
위치/언어 | 미국/다국어 (한국어 지원) |
지원 버전 | 1.7.2 ~ 1.18 |
서버 주소 | play.oc.tc |
상태 | 운영 중 |
|
1. 개요
The awesome network that lets you play large varieties of Minecraft PVP anytime, anywhere.
다양한 종류의 마인크래프트 PVP를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는 멋진 네트워크입니다.
[clearfix]다양한 종류의 마인크래프트 PVP를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는 멋진 네트워크입니다.
과거 마인크래프트 글로벌 초대규모였고 지금은 소규모인 팀 PVP 해외 서버다. 한때 동접이 2000명이 넘어가는 초대형 서버였으나, 현재는 동접 50명이 넘어가는 것도 보기 힘들다. 과거 이름은 Project Ares와 Overcast Network, Lifeboat Network. 한국시간 기준 2019년 12월 28일 Overcast Community로 이름이 바뀌었다. 서버로 접속을 하면 옵저버(관전) 모드로 접속하게 되며 참가 명령어(/join)[2]를 통해 게임에 참가한 유저들은 2~8개의 팀으로 나뉘게 되어 서로 싸우게 된다. 여러 가지 맵이 준비되어 있으며 맵마다 목표가 다르다.
한 매치가 끝나면 다음 맵으로 넘어가게 되면서 새로운 매치가 시작되며 보통 대부분의 매치는 목표가 있는 맵의 경우 10~20분 정도면 끝난다. 데스매치같은 경우에는 시간제한이 있고, 예외로는 맵에 따라서 30~40분은 기본에 심하면 1~2시간까지 가는 경우도 있다.[3]
유저가 점점 줄고 있다. 2014년 초까지만 해도 동시접속자가 1500명, 피크가 2000명이었으나 유저가 점점 떨어져나가더니 급기야 2015년 11월 현재 평일 동접이 고작 100명대, 피크가 약 400~500명대를 유지하는 정도까지 왔다.[4]
2016.3.27일자 1.9 업데이트 이후 PVP 시스템이 많이 바뀌었다.
2016년 8월 말, 즉 서비스 종료하기 직전에는 동접이 100명을 넘는 것을 보기 힘들 정도로 많이 쇠퇴했다.
2016.9.5일자로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하였으나참고, 갑작스럽게 모바일 서버를 운영하던 라이프보트가 서버를 인수하게 되었다.
2016년 9월경 인수 후 얼마 후 서버 이름이 Lifeboat Network로 바뀌었다.
2017년 1월 Lifeboat Network가 인수한 OCN은 2017년 1월 31일자로 us.oc.tc인 PGM 서버를 폐쇄한다. (OCN 폐쇄)
그러던 1월 29일, 셧다운 3일 전 토너먼트가 진행되고 있을 때 Lifeboat 서버를 관리하고 있던 관리자가 잘못된 커뮤니케이션으로 서버를 꺼버렸다. 호스트였던 Beastnode와 Lifeboat 둘 다 복구에 집중했지만 결국 30일 0시 경 서버 복구가 힘들게 되었고, 그렇게 Lifeboat Network는 막을 내리게 된다.
2019년, 서버가 닫힌지 2년만에 다시 Overcast Community라는 이름으로 부활했다. 사람이 다소 적고 이전과 달리 단일 채널로 바뀐 것만 제외하면 이전의 Overcast Network와 거의 동일하다.
2. 상세
2.1. 모드
맵에 따라 모드는 다음과 같이 나뉜다.- DTC
Destroy The Core의 약자로 코어를 파괴하는 맵이다. 정확히는 코어를 파괴하여 내부에 있는 용암이 흘러내리게 하면 된다.[5] 용암이 일정 높이까지 흘러내려야 판정이 있기 때문에 코어가 파괴되어도 용암이 흘러내리기 전에 블록으로 막아버리면 세이프. 2014년 6월 17일 패치 전에는 코어 조각 하나만 부수어도 인정 되었지만 이제 용암이 흘러내린것이 완전히 확인되어야 인정이 된다.이거때문에 코어만 먹는 외국인 대다수가 사라졌다 카더라코어는 주로 옵시디언으로 되어있으며 일부 맵은 금블록 같은 것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시간이 경과하면 코어가 옵시디언→금블록→유리 순[6]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점점 파괴되기 쉬워져서 수비가 힘들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처음부터 코어가 금블록인 경우는 시간이 경과하면 바로 유리로 된다.
- DTM
Destroy The Monument의 약자로 기념물을 파괴하는 맵이다. 기념물은 어떤 맵은 옵시디언, 어떤 맵은 스폰지, 어떤 맵은 레드스톤광석 또는 에메랄드광석, 기타 등등 식으로 맵마다 다르며 어떤 맵은 전부 파괴해야하고 어떤 맵은 75% 이상 파괴해야하는 식으로 부셔야하는 정도도 다르다.DeskTopMusic과 헷갈리지 말자.
- DTE
Destroy The Everything의 약자로 DTM과 비슷하지만 맵 자체에 있는 조형물이 목표다. 조형물은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누구나 이 맵을 플레이하면 오브젝트을 쉽게 끝낼 수 있다. 심지어 블럭 한 조각만 부수고 팀이 이겼을 때 오브젝트 획득이 가능하다.후원자가 아닌 한 오브젝트을 끝낼 확률은 50:50.이 모드의 맵이 끝나면 맵이 아수라장이다.한때는 별개의 게임모드로 분류되었으나 15년 현재, DTM과 같은 게임모드로 분류되었다.
- CTW
Capture The Wool의 약자로 양모를 가져오는 맵이다. 쉽게 말하면 깃발 뺏기. 맵에 따라 적진에 있는 양모방에 들어가서 2종류 또는 3종류의 양모를 가지고 아군 진영으로 복귀하여 지정된 자리에 양모를 배치하면 승리. 양모방은 배드락으로 되어있으며 양모방에는 수비진영은 입장할 수 없으며 내부에는 양모와 생존용 물품, 돌파용 물품이 배치되어있다. 목표물만 파괴하면 끝나기 때문에 적진 수비라인을 편도로 돌파하면 되는 DTC, DTM과는 달리 CTW는 적진의 수비라인을 왕복으로 돌파해야하기 때문에 돌파하는 난이도가 DTC, DTM보다 높다.[7] 그리고 반대로 양모방에 진입해서 양모를 획득하는 것은 목표물을 파괴하는데 시간이 걸려서 추격자가 있으면 실패할 가능성이 큰 DTC, DTM보다 난이도가 낮다.
- CTF
Capture The Flag의 약자로 깃발을 가져오는 맵이다. 윗 CTW처럼 깃발 뺏기인데, 원래 Overcast Network가 1.8 전용으로 서버업데이트되기 전(1.7 버전이 사용 가능했던 당시)에 Broken이라는 1.8 전용 서버 안에서 처음 나왔는데, 서버 전체가 1.8로 변형되면서 CTF라는 서버로 바뀌었다.
CTW와는 달리, 깃발이 있는 방에 들어갔다 나왔다 할 수 있으며, 깃발이 상자에서 꺼내거나 스포너에서 스폰되는게 아닌 언제나 같은 자리에 그대로 있다. 깃발을 가져오는 방법은 간단하다. 적군의 기지에 들어가 깃발방에 들어가다가 다굴당해서 쥬금 빼애애액에서 깃발과 접촉을 하기만 하면 머리에 깃발이 씌워진다. 그리고 스폰으로 돌아와 아군 팀의 깃발 스폰 장소에 들어가기만 하면 점령 성공.
- TDM
Team DeathMatch의 약자로 제한 시간동안 스코어를 많이 획득하는 맵이다.[8] 일부 맵에선 골대도 존재하며 골인하면 일정량의 스코어를 획득한다.[9] 적을 죽이면 팀 스코어가 1점이 올라가며, 팀킬을 하거나 자살을 했을 때는 1점이 깎인다. 가급적 죽지 않도록 하고 적을 많이 잡는 것이 포인트. 골대가 존재하는 맵의 경우는 골인하는 것도 스코어 획득에 도움을 준다. DTC, DTM, CTW 와는 달리 수비하느라 머리아픈 일이 없고 또 공격가느라 머리 아픈 일도 없이 그냥 치고박고 싸우면 되는 맵이다보니 TDM 맵들은 인기가 좋은 경우가 많다.[10]
- KOTH
King Of The Hill의 약자로 점령지를 점령하여 스코어를 일정 수치만큼 획득하는 맵이다. 점수는 750점(Green Hill Zone, The Hill, Storm), 3000점(Cos(tnt), Titan) 등이 있으며, Cos(tnt)같은 예외적인 맵을 제외한다면 일반적으로 양 진영과 가까운 점령지를 먼저 먹고 중앙을 향해 달려가기 때문에, 중앙에서 다수대 다수 싸움이 자주 펼쳐진다.[11]
- Blitz
TDM과 비슷하지만 목숨이 제한된 모드. 게임 참가도 매치 시작 전에만 가능하며 매치 시작 후에는 참가가 불가능하다. 참가 중인 플레이어는 목숨이 모두 떨어지면 옵저버로 전환된다. 죽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고 되도록 오래 생존해야 하는 모드. 목숨이 하나 뿐이니 TDM과는 달리 스릴이 넘치며 죽으면 매치가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하므로 귀찮은 면도 있다. 당연한 거지만 아군이 죽어나갈 수록 엄청나게 불리해진다.[12] 단 적들 하나하나가 개개인들이다보니 아직 아군이 남아있다면 같이 다니면서 하나씩 각개격파한다면 역전의 가능성도 있긴 있다. 참고로 한 팀이 1명 남고 한 팀은 4명 남은 상태에서 3명을 각개격파하며 무승부로 끝난[13] 사례도 있다. 이 모드로 돼있는 맵들만 별도로 돌리는 서버가 따로 존재한다.[14]
- Rage
모든 무기가 일격사 시킬수 있는 무기[15]로 바뀐다. 여담으로 Blitz, CTF 등의 일부 맵에서 RAGE와 같이 적용된 맵이 존재한다. 심지어 가끔 과거 망하기전 Overcast Network 로비 맵에서 rage를 한다. - Hide N Seek
보통 마크에서 숨바꼭질하면 블럭으로 변하지만 여기는 PvP 서버 답게 그런거 없다. 투명화 포션 몇 개 주는거 가지고 그냥 살아남아야 한다.
2.2. 서버
Overcast Community로 재오픈 한 뒤로 서버는 하나다.맵은 과거에 있던 모든 모드와 대부분의 맵들을 로테이션 돌거나 투표로 뽑는다.
2.3. 명령어
- /join (팀이름)
- /bp : 배틀패스 메뉴
- /leave
- /fx : 몸 주변에 파티클 효과를 부여한다.
- /firework
- /tools
- /lobby
- /report
2.4. 기타
이전과 달리 거의 상시로 관리자들이 접속해있고 평균 접속 인원은 5~60명 정도이다. 가끔씩 인원이 많아지면[16] 축소된 맵 인원 때문에 못들어가서 옵저버가 많아진다. 처벌 규정도 관대하게 바뀌었다. Block glitch는 그냥 대놓고 쓴다. 욕설도 그냥 막 쓴다. 옛날에는 킥할만한 사안도 그냥 채팅으로 하면 안된다고 말로 먼저 한다. 핵 정도만 바로 밴하고 있는 듯하다.소규모 서버로 바뀌어서 그런지, 친목질이 굉장히 심하다. 서버가 한 번 망해버려서 지금은 전세계에서 들어오는 사람만 들어오기 때문인데, 끼리끼리 놀아서 팀 밸런스가 안맞는 경우가 많다. 자동으로 팀 밸런스를 맞춰주지 않는다. 안그래도 인원이 적은데 그러니 인원 쏠림 현상이 매우 심해졌다. 관리자가 한쪽 팀에 들어가기라도 하면 그 팀에 모두 쏠리고, 대게 그 팀이 이긴다.
그리고 티밍이 허용이다. 갑자기 집을 짓는다거나 서로 안싸우고 놀기만하는 병맛짓도 가끔 볼 수 있다. 관리자가 가끔 심심하면 월드에딧으로 맵에 블럭을 전부 스펀지로 바꿔버리거나 팀이름을 바꾸기도 한다(...)
사이트에 포럼이나 플레이어 연동 관련 기능은 싹다 사라졌다. 모든건 디스코드로만 가능하다.
사람이 적은 시간대[18]에는 맵 투표 없이 자동 로테이션을 돈다. 한국 새벽-아침 시간대에는 사람이 그나마 많다.
PGM 소스는 한글화가 되어있으나 서버 시스템 전체가 지원되지 않는다. 이전과 달리 배틀패스가 생겨서 업적을 달성하면 보상이 있다.
2.5. 랭크
등급 | 가격 | 혜택 |
<colbgcolor=#252525> 일반 | - | - |
* (서포터) |
팀 선택
다음 지도를 선택할 때 이중 투표
/fx를 사용하여 네가지 관찰자 효과 접근
전용 반려동물, /pets 사용
빗방울 승수 1.25배
슈퍼투표 2표 ||
+ (스폰서) | $19.99 | * (서포터) 사용자의 모든 혜택 +삼중 투표 +/스폰서를 사용하여 다음 투표에 지도 추가하기 +여덟가지 관찰자 효과 접근 +/nick를 사용하여 다른 플레이어로부터 자신을 숨기기 +빗방울 승수 1.5배 +슈퍼투표 10표 |
2.6. 칭호
Administrator
어드민Developer
디벨로퍼Map Developer
맵 디벨로퍼 : OCN에서는 Developer와 Map Developer를 합쳐 Developer로 칭하였으나, Community에서는 분리되어 있다.Event Manager
이벤트 매니저 : OCN에서의 Event Coordinator.Moderator
모더레이터 : 통칭 모더. 일반 관리자이며, 모든 직책 중 인원이 가장 많다.2.7. 기부
매달 10달러와 30달러 기부를 할 수 있고, 30달러 기부는 다음 맵 투표에 원하는 맵을 넣을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진다2.8. 맵
Overcast Community/맵 참고.3. 과거 Overcast Network
4. 사건사고
4.1. 서비스 종료와 Lifeboat Network 인수
2016년 7월 중순에 다음과 같은 내용의 글이 올라왔다.안녕하십니까,
유감스럽게도, 오버캐스트가 다음 달하고 보름 후에 문을 닫습니다. 9월 5일에, 마인크래프트 서버들은 닫힐 것이고 웹사이트는 아카이브 모드로 돌입할 것입니다. 지난 4년 반 동안은 저와 스티브가 듀트로이드 라이브스트림을 같이 시청하고 오버캐스트를 2012년에 시작할 때 계획한 것 보다 길었습니다. 2년 전부터, 스티브와 제가 대학에 가 있었기 때문에 오버캐스트의 운영이 게을러 졌었습니다. 우리는 항상 서버가 살아 있기를 원했고 그것을 위해 노력했습니다. 지난 2년간 서버 커뮤니티의 이용자 수가 줄어드는 것을 보면서 고통스러웠습니다. 우리는 더 이상 개발자를 고용하고, 서버를 광고하고, 커뮤니티를 키울 능력이 없습니다. 이제 서버를 닫을 시간입니다.
만약 이분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오버캐스트는 없었을 겁니다. 저는 Cubist님께 수석 개발자와 기술 관리자로써 지금까지 헌신하여 열심히 일해주셔서 감사하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khazhyk, Plastix, H0bie, YukonAppleGeek, CacklingPanda, McSpider, 그리고 McYukon님께 많은 웃음과 도움을 주신 것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Brett, Torn_Ares, Martin, Brottweiler, Pbat, Parkway, 그리고 ElectroidFilms님의 엄청난 리더십과 끈기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수십 명의 맵 개발자님들의 끝없는 혁신과 창의력에 감사드립니다. 이벤트 진행자님들께 많은 재미있는 이벤트를 준비해 주신 것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모든 모더레이터, 번역가, 건축가, 관리자, Refs(?), 그리고 커뮤니티 이용자님들이 주신 기억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서버 종료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서버 종료 FAQ 게시글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모든 것에 대해 거듭 감사드립니다.
Apple과 Anxuiz
(중략)
서버 종료 FAQ
우리는 더 많을 질문들을 추가할 예정입니다.
* 오버캐스트가 왜 문을 닫나요?
** 우리는 이제 때가 됐다고 결정하였습니다. 인원수가 2년동안 감소하고 있고 더 이상 버틸 수가 없습니다. 부족한 유저 수와 돈은 우리가 더 이상 서버 운영비를 감당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 왜 다른 서버에게 팔지 않나요?
** 우리는 서비스 종료 준비 전에 [email protected] 로 보내진 진지한 사업 메일들을 맞이할 것입니다.
*** 오버캐스트를 개인 취미로 돌릴 생각은 하지 마세요. 운영 비용이 너무 비쌉니다.
* 왜 서버를 유지하기 위한 기부를 받지 않나요?
** 우리는 처음에는 기부를 받았지만, 충분하지 않았습니다. 새로운 운영진들이 들어왔을 때 우리는 이것을 고려해 보았지만, 충분하지 않을 것입니다.
* 구매한 것들은 환불될 수 있나요?
** 7월 1일 이후로 구입된 것들은 환불될 것입니다. 그 전에 구입된 것들은 환불 될 것 같지 않지만, 혹시 모르니 [email protected] 여기로 메일을 보내셔도 됩니다.
* 마인크래프트 서버는 언제 닫히나요?
** 마인크래프트 서버들은 9월 5일 이후로 접속이 불가능할 것입니다.
* 웹사이트는 언제 닫히나요?
** 9월 5일에, 우리는 웹사이트를 아카이브 상태로 돌릴 것입니다. 더 이상의 포럼 게시글, 요청, 신고, 혹은 다른 행동은 금지될 것입니다. 웹사이트는 9월 5일부터 한동안 오프라인 상태로 놔둘 것입니다. 우리는 언제 웹사이트를 완전히 종료할지 정하지 않았습니다. 만약 정확한 날짜가 정해지면, 우리는 공지를 할 것입니다.
* 언제 코드가 공개될 것인가요?
** 우리는 소스코드를 가지고 뭘 할지 아직 결정하지 않았습니다. 그것에 관해서 결정이 내려지면, 우리는 공지를 할 것입니다.
* 다음 번 토너먼트에서는 뭐가 일어나죠?
** 더 많은 정보가 여기에 있습니다.
* 마인크래프트 서버 마지막 날에는 뭐가 일어나나요?
** 아마도 노스탈지아 이벤트를 마인크래프트 서버가 내려가기 전에 할 것입니다. 계획이 만들어지면, 우리는 여기다가 추가할 것입니다.
공식 홈페이지에 공지로 올라온 내용
줄어드는 서버 인원에 서버 운영비를 감당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한다.유감스럽게도, 오버캐스트가 다음 달하고 보름 후에 문을 닫습니다. 9월 5일에, 마인크래프트 서버들은 닫힐 것이고 웹사이트는 아카이브 모드로 돌입할 것입니다. 지난 4년 반 동안은 저와 스티브가 듀트로이드 라이브스트림을 같이 시청하고 오버캐스트를 2012년에 시작할 때 계획한 것 보다 길었습니다. 2년 전부터, 스티브와 제가 대학에 가 있었기 때문에 오버캐스트의 운영이 게을러 졌었습니다. 우리는 항상 서버가 살아 있기를 원했고 그것을 위해 노력했습니다. 지난 2년간 서버 커뮤니티의 이용자 수가 줄어드는 것을 보면서 고통스러웠습니다. 우리는 더 이상 개발자를 고용하고, 서버를 광고하고, 커뮤니티를 키울 능력이 없습니다. 이제 서버를 닫을 시간입니다.
만약 이분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오버캐스트는 없었을 겁니다. 저는 Cubist님께 수석 개발자와 기술 관리자로써 지금까지 헌신하여 열심히 일해주셔서 감사하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khazhyk, Plastix, H0bie, YukonAppleGeek, CacklingPanda, McSpider, 그리고 McYukon님께 많은 웃음과 도움을 주신 것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Brett, Torn_Ares, Martin, Brottweiler, Pbat, Parkway, 그리고 ElectroidFilms님의 엄청난 리더십과 끈기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수십 명의 맵 개발자님들의 끝없는 혁신과 창의력에 감사드립니다. 이벤트 진행자님들께 많은 재미있는 이벤트를 준비해 주신 것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모든 모더레이터, 번역가, 건축가, 관리자, Refs(?), 그리고 커뮤니티 이용자님들이 주신 기억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서버 종료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서버 종료 FAQ 게시글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모든 것에 대해 거듭 감사드립니다.
Apple과 Anxuiz
(중략)
서버 종료 FAQ
우리는 더 많을 질문들을 추가할 예정입니다.
* 오버캐스트가 왜 문을 닫나요?
** 우리는 이제 때가 됐다고 결정하였습니다. 인원수가 2년동안 감소하고 있고 더 이상 버틸 수가 없습니다. 부족한 유저 수와 돈은 우리가 더 이상 서버 운영비를 감당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 왜 다른 서버에게 팔지 않나요?
** 우리는 서비스 종료 준비 전에 [email protected] 로 보내진 진지한 사업 메일들을 맞이할 것입니다.
*** 오버캐스트를 개인 취미로 돌릴 생각은 하지 마세요. 운영 비용이 너무 비쌉니다.
* 왜 서버를 유지하기 위한 기부를 받지 않나요?
** 우리는 처음에는 기부를 받았지만, 충분하지 않았습니다. 새로운 운영진들이 들어왔을 때 우리는 이것을 고려해 보았지만, 충분하지 않을 것입니다.
* 구매한 것들은 환불될 수 있나요?
** 7월 1일 이후로 구입된 것들은 환불될 것입니다. 그 전에 구입된 것들은 환불 될 것 같지 않지만, 혹시 모르니 [email protected] 여기로 메일을 보내셔도 됩니다.
* 마인크래프트 서버는 언제 닫히나요?
** 마인크래프트 서버들은 9월 5일 이후로 접속이 불가능할 것입니다.
* 웹사이트는 언제 닫히나요?
** 9월 5일에, 우리는 웹사이트를 아카이브 상태로 돌릴 것입니다. 더 이상의 포럼 게시글, 요청, 신고, 혹은 다른 행동은 금지될 것입니다. 웹사이트는 9월 5일부터 한동안 오프라인 상태로 놔둘 것입니다. 우리는 언제 웹사이트를 완전히 종료할지 정하지 않았습니다. 만약 정확한 날짜가 정해지면, 우리는 공지를 할 것입니다.
* 언제 코드가 공개될 것인가요?
** 우리는 소스코드를 가지고 뭘 할지 아직 결정하지 않았습니다. 그것에 관해서 결정이 내려지면, 우리는 공지를 할 것입니다.
* 다음 번 토너먼트에서는 뭐가 일어나죠?
** 더 많은 정보가 여기에 있습니다.
* 마인크래프트 서버 마지막 날에는 뭐가 일어나나요?
** 아마도 노스탈지아 이벤트를 마인크래프트 서버가 내려가기 전에 할 것입니다. 계획이 만들어지면, 우리는 여기다가 추가할 것입니다.
공식 홈페이지에 공지로 올라온 내용
FAQ에서 서버를 사겠다고 요청하면 진지하게 고려해본다고는 했지만 2016년 8월 26일 현재까지 서버를 사겠다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 것을 보면 그대로 망할 듯.
9월 1일에 포켓에디션 서버 라이프보트가 이 서버를 인수하며, 서버는 닫히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리고 2017년 1월, 라이프보트도 이 서버를 포기하고 DTC나 CTW등 인기있는 몇 모드만 가져가기로 결정했다. 공식 포럼에서 서술되어 있다.
4.1.1. 이후 파생 서버 목록
PGM 플러그인이 오픈 소스가 된 이후 몇몇 서버가 PGM을 사용하고 있다.[19]여기는 현재 PGM을 이용하거나 이 서버에서 파생된 서버들을 정리했다.
현재 서비스가 종료된 서버는
- 추가 시 ABC,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세요.
Avicus Network[20]
해외에서 인지도가 높았던 서버.
2018년 1분기에 서비스 종료되었다. 그러나 후에 Zildith Network가 이어가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밑에 후술.
Japan Minecraft PvP
웹사이트 주소
일본에 위치한 PGM 서버. 운영진이 혐한이라서 그런지[21] 한국 IP로는 접속이 막히지만[22], VPN으로 접속이 되니 그래도 플레이하고 싶다면 VPN을 사용하자. 다만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한국어를 사용하진 말자. 실수로라도 한국어 사용했다간 서버에서 차단당할 수 있다. 2022년 기준으로 서버 문을 닫은 것으로 보인다.
- Stratus Network
Lifeboat Network가 문을 닫은 이후 PGM 서버중 가장 인지도가 높은 서버로, 전 Lifeboat Network 운영진 ShinyDialga가 새롭게 만든 PGM서버이다.
국내에서 인지도가 높으나, 렉으로 인해 플레이를 별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한국인들은 렉을 감수하고도 플레이하기도 한다.
게다가 이 서버의 특유 장점은 1.8.X 버전을 지원한다! 게다가 기존 PGM보다 다른점은 게임이 끝날때 MVP 플레이어를 보여준다. 현재는 Overcast Community가 다시 생겨 여려 유저가 이탈했지만 2022년 기준으로 여전히 서버가 열려있는 건재함을 보여준다.
ThunderstormPvP
과거에 Lifeboat 서버를 플레이한 유저 Apple[23]이 세운 서버이다. 인지도는 Stratus 서버보다 거의 낮다.
2018년 2분기 중에 서비스를 종료하겠다고 선언했고 결국 2018년 5월 말에 운영이 종료되었다.
- VectorMC
서버 웹사이트
공식 디스코드
Zildith Network가 Pagoda Network와 합병되어 탄생한 PvP 서버이다.
기존의 PGM 미니게임과팩션,[24] 스카이블럭 등을 추가시킨 서버였으나 스카이블럭과 팩션등을 모두 버리고 PGM 서버로만 열겠다고 공지했다.[25]
버전은 1.7~1.12.2를 지원하고, 2018년 6월 3일[26]에 정식 오픈하였으나...
인지도가 낮다는 이유로 한국 시간 기준 2018년 7월 14일 목요일[27]에 다시 출시하였다. 두번째 출시 이후부터는 Atlas 플러그인으로 교체하였다.
현재도Zildith Network를 계승한건지동접률이 매우 낮다...
Zildith Network
Avicus Network가 닫힌 후에, Zildith Network가 그 뒤를 이어나갔다.[28]
여담으로, 이 서버는 Atlas 대신 PGM 플러그인을 사용한다!
지원 버전은 현재 1.9 ~ 1.11만 지원했었으나 4월 15일 이후로 1.8 ~ 1.12.2까지 지원을 시작했다.
현재 2018년 3월 2일 이후로 베타 테스트가 진행중이었으나 인지도가 낮다는 이유로 운영이 종료되고 결국 Pagoda Network(현 VectorMC[29])와 병합하게 되었다. 그런데 2020년에 Avicus 공식 디스코드에서 해당 커뮤니티가 다시 부활할 예정이라는 소문이 돈 적이 있었다.
아르카 네트워크의 Daydream
아비스 전 관리자인 ChemistryX(케미스트리)가 제작한 전 아케이드 미니게임 서버. 11월 5일 이후로 Daydream이라는 서버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간단하게 즐길 수 있는 맵들을 모아놓았던 서버였으나, 현재는 아비스와 동일한 팀 기반 PvP 서버로 아비스에 있던 맵들을 모아놓았다. 하지만 2019년 12월 20일을 기점으로 낮은 인지도로 인해 결국 운영이 종료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아비스 네트워크
한국에서 인지도가 높았던 팀 기반 PvP 서버. 당시 Overcast Network를 모티브로 제작한 서버였으며, PGM은 사용하지 않으나 자체 제작 플러그인을 사용했다. 안타깝게도 2019년 2월 22일부로 서버 운영이 종료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 참고. 현재는 위에 상술한 Daydream이라는 이름으로 운영을 재개하였지만 Daydream마저 서버 운영이 종료되었다.
- 하이픽셀의 Capture the Wool[30]
자세한 내용은 하이픽셀/Prototype 문서 참고.
4.2. 새로운 시작, Overcast Community로 부활
2019년 12월 23일, PGM 공식 디스코드에서 Overcast Community라는 이름으로 재출시된다고 공지했다! 덕분에 기존에 파생 서버에서 플레이하던 유저들이 오버캐스트로 복귀하기 시작했다. 덕분에 유저들은 환호하는 중.기존에 접속이 되지 않던 웹사이트는 다시 Overcast Community로 이름을 바꿔 다시 공개되었다.
여담으로 웹사이트 개발 중 일부는 전 데이드림 서버 운영자인 ChemistryX가 맡았다.[31]
전 Overcast Network와 비교했을 때 변경점은 유저 동접수가 충분하고 맵이 끝나면 다음 맵을 유저들이 직접 투표할 수 있고, 이전에는 서버 버전 기반이 1.9 이상이었다면 이번에는 다시 PvP의 근본인 1.7.2로 회귀했다는 점이 있다. 다만 1.7.2로 접속할 경우 1.9 이상부터 추가된 블럭이 보이지 않으니 유의하자.
[1] 과거 이름 Overcast Network[2] 또는 인벤토리에 가죽 투구를 눌러 팀을 선택할 수 있다.[3] 장기전이 잘 나오는 대표적인 맵으로 The Nile이 있다. 40초 또는 1~2시간이 나오는 맵. 4시간 나온적도 여러번 있다고 한다. 이렇게 오래 걸리는 이유는 바로 모뉴먼트가 있는 자리가 거의 뻥 뚫린 평야이기 때문. 그렇기 때문에 초반에 디펜스를 구축하기가 쉽다. 하지만 이때를 틈타 모뉴먼트를 먹으면 40초도 안 걸려 끝난다.[4] OCN이 이렇게까지 사람이 줄어든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중 못해도 80%를 차지한다고 해도 될만한 이유로는 "다이나믹 업데이트"라는 업데이트 때문인데, 사람이 적은 서버는 대기어버리기 때문에 인기있는 맵을 하지 못하는 경우 사람들이 줄어들고, 서버는 계속해서 닫히는 악순환 때문에 인원이 계속해서 줄어들었다.[5] 즉 코어 위쪽을 파괴하는건 소용없기 때문에 보통 아래나 옆을 파괴한다.[6] 매치 시작 15분뒤에 금블록, 20분뒤에 유리로 바뀐다. 물론 예외인 맵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 Astro라는 맵은 20분 뒤에 금블럭으로 바뀐다.[7] 참고로 진입할 때보다 복귀할 때 난이도가 더 낮다. 이유는 수비라인의 적들은 보통 전방을 신경쓰지 후방까지 신경쓰는 경우는 드문데다가 복귀 중인 적을 발견했을 땐 이미 도망친 뒤인 경우가 많기 때문.[8] 4분에서 25분까지 제한 시간이 다양하다.[9] 2~10점.[10] 물론 인기가 없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Ozone 같은 TDM 맵은 인기가 없다고 한다.(뭐?) 그리고 Rotation에서 빠졌다.[11] Titan의 경우에는 점령지가 중앙에 있지는 않으나 중앙에 주민과 거래하여 추가적인 무기를 얻을 수 있는 아이템인 금이 스폰되는 장소가 있기 때문에 이 때문에 중앙에서 싸움이 자주 일어난다.[12] 스타크래프트로 비유하자면 저글링 50 vs 50으로 싸웠는데 한쪽 저글링이 20마리 죽고 다른 쪽 저글링은 10마리 죽고 20마리 부상 당한 상태로 퇴각한 상태를 떠올려보면 된다. 잠시 뒤 저글링들 피가 다 회복된 상태로 다시 붙고 퇴각하고를 반복하다보면 누가 유리해질지는 뻔하다.[13] 제한 시간 초과로 무승부[14] Blitz 서버[15] 활, 검 등[16] 주로 한국 새벽시간대[17] 이렇게 변한 이유는 홈페이지 내의 Staff 페이지에서 볼 수 있듯이 Overcast Community로 재출시된 이후로 스태프 팀이 대부분 팀을 떠나거나 교체되었기 때문. 현재는 남아있는 소수의 스태프들 빼고 전부 신인들이다.[18] 한국 오후 시간대[19] 서버들 중에 PGM 이외에도 서버 자체 플러그인이 이용되기도 하지만, 이들은 파생된 서버에 포함하므로 여기에 서술한다.[20] 이 서버는 PGM 플러그인은 사용하지 않지만, 대신 비슷한 Atlas라는 플러그인은 사용한다.[21] 자세한 이유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혐한이라 한국 IP를 차단했을 가능성이 크다.[22] 다만 한국이 아닌 다른 해외 국가는 접속이 가능하다.[23] 현재 Overcast Community의 운영진 중 한 명이다.[24] 지금은 없어졌다.[25] 출처: VectorMC 디스코드[26] 한국시간은 6월 4일로 예상됨.[27] 정확하게는 7월 13일 수요일이다.[28] ...라고 하긴 하지만 인지도가 처참히 낮다. 이로 인해 서버 운영이 종료된 결정적인 이유.[29] Zildith Network 병합 후 새로운 이름으로 변경되고 로고가 바뀌었다. 그러나 Pagoda Network 당시의 로고가 사용되기도 한다.[30] 이 서버 역시 해당 서버의 Capture the Wool에서 모티브를 얻어 제작된 서버이므로 이곳에 서술한다.[31] 서버 상태, 해당 맵 이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