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버
- Lobby
로비 서버로 Overcast Network 서버에 접속하게 되면 오게 되는 서버. 팻말이나 로비 내에 있는 포탈을 이용하여 다른 서버로 이동이 가능하다. 다른 서버에서 이 서버로 돌아올 땐 /lobby 혹은 /hub 명령어를 치면 된다.로비서버에서 다른 사람을 클릭하면 그 사람은 하늘로 솟구치면서 폭죽처럼 터진다.이제 아이템을 구매해야 사용 가능하게 바뀌었다.
- Project Ares
Overcast Network로 이름이 바뀌기 전에 있던 서버들. 목록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현재는 Alpha, Beta를 제외하고 모두 새로운 서버로 교체가 되었다.
- Alpha, Mini, Capture, Control, CTF
서버들마다 맵 순환순서가 다르다. 평범한 서버들. 이중 Capture는 오직 CTW만 지원하며 Control은 TDM과 KotH를 지원하며 CTF는 말 그대로 CTF만 지원한다.
- Destroy
예전에 업데이트로 사라졌다가 8월 11일 업데이트로Primed를 제물로 바쳐다시 살아난 서버.
- Nostalgia
옛날 맵들로만 이루어진 서버.
- Primed
TNT 맵들로만 이루어진 서버. 가장 인기가 많은 듯 하다. 테러가 일어나도 상관 없는[1] 유일한 서버이며 두개밖에 없는 DTE 맵이 돌아가는 서버이기도 하나 8월 11일 업데이트로 역사 뒷편으로 사라졌다.
- Blitz
목숨이 1개뿐인 맵들만 돌아가는 서버들. 물론 예외는 있어서 목숨이 3개인 경우도 있다. 대부분은 상대방을 전멸시키는 것이 목표나 일부 맵은 양모를 가져오는 부가적인 목표가 있는 경우도 있다.
- Rage
Blitz/TDM 맵 중에서 원샷 원킬인 맵들만 돌리는 서버. 말 그대로 적을 툭치면 억하고 죽는 맵들이다.
- Ghost Squadron
모든 플레이어에게 투명상태 5분짜리가 걸려있어서 적이 보이지 않는다. 여러 개의 클래스가 준비되어있으며 클래스를 선택해서 적을 전멸시키는 맵들을 돌리는 서버들이다. 가장 마이너한 서버들이라서 사람들도 많이 없고 많아봤자 10명 정도밖에 모이지 않는다. 일반적인 서버들이 적어야 10명 이상, 많으면 50명도 모이는 걸 생각해보면 아이러니한 일. 사람이 하도 없어서 순수 1대1 대결을 하고자 하는 유저들이 자주 찾는 서버이기도 하다.
2. 명령어
명령어는 옵저버 모드일 때 들고 있는 가이드북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자주 쓰이는 일부만 소개한다.- /join - 가장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로 게임에 참가한다. 참가되는 팀은 랜덤으로 결정된다.
- /join obs - 게임에서 이탈하여 옵저버로 전환한다.
기부자가 팀 바꾸기 전에 거치는 단계다.현재는 '/join o'가 불가능하다. - /join (팀이름) - 기부자만 사용가능한 명령어로 특정 팀으로 게임에 참가한다. 예시로 Blue팀에 참가하려면 '/join blue', Red팀에 참가하려면 '/join red' 이런식. 색의 앞글자만 따서 '/join b', '/join r', '/join c', '/join p', '/join y', '/join g' 같은 식으로도 가능하다. 각각 Blue, Red, Cyan, Purple, Yellow, Green팀을 뜻한다. 단 Orange팀의 경우 o가 옵저버로 쓰이고 있기 때문에 '/join o'로는 참가가 불가능하다. 대신 '/join or'로 참가가능.
- /rot (페이지번호) - 현재 서버에서 맵이 순환되는 순서와 다음 맵이 무엇인지 확인한다.
- /nextmap - 다음 맵을 확인할 수 있다.
- /g (메시지) - 현재 서버에 접속한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는 채팅을 한다. 예를 들어 전체가 볼 수 있도록 gg 라고 칠때는 '/g gg' 이런 식. 평소처럼 그냥 평범하게 입력할 경우는 같은 팀만 볼 수 있다.[2]
- /t (메시지) - 그냥 /g를 쳐서 기본 채팅이 전체 채팅으로 바뀐 경우. /t (메시지)로 팀챗을 하거나 /t 로 기본 채팅을 팀 채팅으로 바꿀 수 있다.
- /report (아이디) (사유) - 해당 유저를 관리자에게 신고한다. 신고하는 사유는 주로 핵 또는 팀킬 같은 것.
하지만 이 명령어로 관리자가 오는걸 본 적이 없는건 함정 - /staff - 현재 온라인인 관리자를 볼 수 있다. 스태프 멤버가 Vanish중일 경우 표시되지 않는다.
- /match - 현재 매치가 진행된 시간, 각 팀의 인원수, 각 팀의 스코어 같은 정보를 확인한다.
- /msg (플레이어이름) (메시지) - 플레이어에게 귓속말을 보낸다.
- /servers - 서버 목록을 본다.
- /server (서버명) - 해당 서버로 이동한다.
3. 용어
우선 이 항목을 참고하자. 그중에서도 griefer, brb, afk,위 항목에 쓰이지 않은 용어들을 나열해보면
- (Block) Glitch : 블록 설치 또는 파괴가 금지된 맵에서 블록을 놓거나 파괴하여 뭔가를 하는 것들. 예를 들면 블록 설치 및 파괴가 금지된 맵이나 지역에서 점프하면서 발 밑에 블록을 놓으면서 2단 점프를 한다던가 높이가 2인 벽에서 2번째 블록을 부수면서 2칸 높이를 올라간다던가 칼로 거미줄을 부수면서 거미줄을 빠르게 통과하는 행위들을 말한다. 기본적으로 이 서버는 Block Glitch를 금지하고 있으며 적발시
경고[3], 킥 또는 밴을 당한다. 영구밴을 당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상습범이면 영구밴까지 가능. Block glitch가 자주 일어나는 그리고 자주 적발돼서 처벌당하는 사람이 종종 나오는 대표적인 맵으론 BlockBlock(골대의 거미줄을 칼로 파괴하면서 골인)과 Rift(나뭇잎을 칼로 파괴하면서 나무 위로 올라가기[4])가 있다. 한때 예외적으로 Block glitch가 허용되는 맵이 있었는데 바로 Glacial Impact. 이 맵은 제작자가 처음부터 Block glitch 사용 허용을 전제하에 만들었다. 언젠가부터 이 맵도 비허용으로 바뀌었다.그리고 사라졌다 - Spleef : 마인크래프트 미니게임중 하나인 그 스플리핑이 맞다. 공중전이 벌어졌을 때, 아군 플레이어가 서있는 블럭을 부셔서 그 플레이어를 그 아래로 떨어지게 하는 비매너 행위를 말한다. 당하면 대부분 낙사 아니면 공허로 떨어진다. 이 행위를 하는 비매너 플레이어를 Spleefer라고 한다. 징계 사유이므로 절대로 하지 말자. 상대가 당해보면 격렬한 분노를 느끼게 된다. 물론 아군을 떨어뜨리는 것만 비매너고 적군이 서있는 발판 부셔서 떨어뜨리는건 합법(?)이다.
- Rush : DTC나 DTM 등의 맵에서 경기가 시작하자마자 닥돌(...)해서 상대방의 코어나 기념물을 빠르게 부숴버리는 행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허용되지만, 사람에 따라서 비매너 행위라고 보는 사람도 있는 듯 하다.
- Killsteal : 일명 막타. 하지만 비매너 행위라고 보기에는 PVP서버의 특성상 킬스틸이 발생할 수밖에 없으니 아는 사이라면 사과하고 모르는 사이면 그냥 플레이하면 된다.
하지만 대개 뺏긴 쪽이 아는 사이든 모르는 사이든 화낸다. - Targetting : 말 그대로 한두 사람만 계속 죽이는 것. 보통 매우 유명한 사람이나 무개념한 사람이 당하게 된다. 전자는 일반 플레이어들이 자기도 저 플레이어 한번 죽여보고 싶다고 유명한 플레이어들을 타겟팅하는 경우고, 후자는 무개념인들이 실력이 있는 플레이어한테 당하는 경우. 또한, 타겟팅 자체에 상당한 실력이 요구된다.(기본적으로 2대 1정도는 해야 가능하다.)
- Dying With Team Supplies : 말 그대로 팀의 물품을 들고 자살/적에게 사살당하는 것. 스폰창고가 별로 없는 맵에서 활만 싹 들고 죽는다던가, 양털방의 양털을 다 들고 죽는다던가..
당하면 나가버리고 싶다처벌 사유이니 제발 하지 말자. - Combat/Void Logging : 싸움 도중/공허로 떨어지는 도중 게임을 나가거나 옵저버로 전환하여 데스를 늘리지 않는 행위. 당연히 신고 사유이며, 처음 온 뉴비들이 자주 쓰고, 당하면 기분이 매우 좋지 않기 때문에 항상 플레이 화면을 녹화하는 것도 좋은 대처 방법. 이제는 Tracer 플러그인 업데이트로 자동으로 감지된다.[5]
- Spawn Kill : 스폰 지역에서 방금 리스폰된 유저들을 죽이는 것. 주로 리스폰 직후의 장비 및 아이템과 맵에서 얻을수 있는 장비의 차이가 매우 클때(대표적으로 Hot Dam, Full Salvo, 노스탈기아 서버의 대부분의 맵[39]) 발생하며, 대처법은 한번 죽었다면 Title Screen으로 나가버리는 것 외엔 대처 방법이 없다. 리스폰되어 봤자 늘어나는건 당신의 데스 수 뿐이니 최대한 빨리 게임을 나가는 게 좋다. 최근에 만들어지는 맵들은 거의 모두 스폰 킬에 대한 보호 조치 (저항/힘 버프)가 되어있으니 안심해도 된다.
몇몇 인성 더러운 보라색 배지 단 플레이어들이 갑옷 풀셋 맞춘 다음 단체로 3,4명씩 스폰에 와서 계속 스폰킬하면서 죽인 플레이어들로 부터 황금사과를 얻어 거의 무적 상태로 갑질하는 경우도 많다실제로 당해본 사람들은 깊은 빡침을 안다요즘 들어 Lifeboat Network에서 파생된 서버들 일부는 스폰 킬을 비허용하고 있으며 처벌 대상이다. Spawn Camping / Spawn Shooting 전부 동일한 의미이다. - Team Grief : 팀에 피해를 끼치는 행위. 특히나 TNT가 존재하는 맵에서 매우 많이 발생한다. 자신 팀의 기지를 터트린다던지, 아군의 TNT 대포, 구조물 등을 망가뜨리는 행위 등등이 있다.
TNT만 보면 발광한다.Nostalgia 서버에서 특히 많이 발생하므로, 플레이 전에 녹화를 해두는 것도 좋다. - Carpet Bombing : 옵시디언 코어(또는 TNT로 터지지 않는 특정 구조물) 위로 TNT를 계속하여 떨어트리는 것. Airship Battle, Sky Traffic 등의 맵에서 특히 많이 보이므로, 주의하자. 대처 방법은 활로 어떻게든 떨어뜨려 보는 것이 있다.
단, Overcast Community로 재오픈 한 뒤로는 핵만 아니면 위의 행위들은 도를 넘지 않는 이상 거의 처벌하지 않지만 세부적인건 접속하고 있는 관리자 재량으로 처리한다.
4. 칭호
Overcast Community 이전 칭호 목록Staff 스태프 - 게임 내에서 닉네임 옆에 ❖가 붙으며, 이외의 칭호들은 모두 별(*)이 붙는다.
Administrator
어드민Map Developer
맵 디벨로퍼 → Developer
디벨로퍼Lifeboat PE
라이프보트 PE : Lifeboat Network에 인수되면서 OCN 관리 직책도 병행하게 된 Lifeboat 측 관리자.Senior Moderator
시니어 모더레이터. 모더로서 활동 경력이 길고 내역이 많을 경우 모더에서 승진되는 직책이다.Level Designer
레벨 디자이너Event Coordinator
이벤트 코디네이터Translator
트렌스레이터 : 서버 내의 번역을 총괄한다.Moderator
모더레이터Junior Moderator
주니어 모더레이터 : 견습 관리자. 나무위키 내에서 감독 관리 기간이 진행 중인 관리자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Builder
빌더 : 맵 건축가.Official
오피셜 : 공식 계정.Marketing
마케팅 : 마케팅 담당자.Referee
레프리 → Ref
레프 : 토너먼트 개최 시에 심판의 자격을 가진다.Supreme Overlord
수프림 오버로드 : Lifeboat Network의 인수 이후 기존의 몇몇 Administrator들이 어드민에서 물러나고 가지게 된 직책. 나무위키 내 namu의 위치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토너먼트 관련 - 토너먼트에 입상하여 얻은 칭호. 다음 토너먼트 개최 시 제거됨.
Tournament WInner
: 토너먼트 우승자Tournament Finalist
: 토너먼트 준우승자기부
Imperator
임퍼레이터Praetor
프레이터Dux
덕스Centurion
센츄리온Optio
옵티오Decanus
데카누스 : 원래 Optio 아래 5달러 패키지였으나 너무 비효율적이라 삭제되었고, 이후 토너먼트 3위권 안에 들면 얻을 수 있는 칭호로 바뀌었다. 단 이 경우 30일 뒤에 만료된다.기타
Internet Famous
인터넷 페이머스 : 인터넷 유명인. 본인의 소셜 미디어 계정으로 신청할 수도 있지만 굉장히 유명한 경우 관리자 측에서 직접 붙여준다. 후에 유튜브 아이콘으로 완전히 대체되었다.YouTube
5. 기부
- Optio ($10 - 60 일)
프리미엄 액세스, 게임 내에서 녹색 별
- Centurion ($25 - 180 일)
프리미엄 액세스, 게임 내에서 노란 별, 웹사이트에서 노란 뱃지
- Dux ($50 - 무기한)
프리미엄 액세스, 게임 내에서 보라 별, 웹사이트에서 보라 뱃지
- Praetor ($75 - 무기한)
프리미엄 액세스, 게임 내에서 청록 별, 웹사이트에서 청록 뱃지
- Imperator ($100 - 무기한)
프리미엄 액세스, 게임 내에서 빨간 별, 웹사이트에서 빨강 뱃지
- ※프리미엄 액세스
꽉 찬 서버에 참가가능
팀 선택 가능
꽉 찬 팀에 선택 참가가능 (팀 제한인원의 20%까지만 가능)
로비에서 Fly (비행) 가능
2013년 3월 26일 기부 시스템이 개편되면서 그 이전 기부자는 기부금액에 따라 다음과 같이 등급이 바뀌었다.
$5 ~ $14.99 → Optio
$15 ~ $29.99 → Centurion
$30 ~ → Dux
예를 들어 Dux의 경우 $50를 기부해야하지만 26일 이전에 $30를 기부하면 Dux 등급이 가능하며 또 이미 $10를 기부한 기부자의 경우 $20를 추가로 기부해서 $30를 채워도 Dux 등급이 된다.
2013년 3월 26일 이전에 기부했던 사람들은 게임 상에서는 이후 기부자들과 차이가 없으나 포럼에서는 빨간색 하트가 붙게 된다.
6. 기타
서버마다 맵이 순환되는 순서나 설정된 맵이 다르다. 만약 주로 하는 서버에 있는 맵들이 질렸다면 다른 서버도 가보자. 못보던 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Nostalgia 서버에선 다른 서버에선 설정되지 않은 맵들만 설정되어 있다.[7]Project Ares에서 플레이를 하다보면 한국인도 자주 볼 수 있고 한글로 채팅하는 사람들을 자주 볼 수 있다. 모든 언어를 허용하고 있으니 다른 외국 서버와는 달리 한국어 쓴다고 제발 뭐라 하지 말자. 하지만 역대 외국 서버중 한글화가 가장 잘 되어 있는 서버중 하나다.
킬을 하거나 기념물 파괴, 양모 획득 등을 하면 행동에 따라 "Raindrop"을 일정 수량 얻을 수 있는데, 이것으로 로비에서 사용가능한 여러 가지
£OvercastNetwork에는 비공식이긴 하지만 전용 모드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Undercast를 참고하자.
1.9를 기점으로 더 이상 업데이트 되어지지 않는다.
2016년 1월, 사이트가 해킹되어 700만 개 이상의 유저 정보가 유출되는 사건이 있었다. 유출된 자료는 유저 닉네임, 이메일 주소, MD5 해시 형태의 비밀번호이다.
[1] 티엔티를 사용하는 서버이기 때문에 스폰도 테러당하고, 심지어 창고나 다이아몬드 블럭에 설치해서 상대팀이 어떤 아이템도 가지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런 일이 자주 일어나는 맵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노스탈지아 맵 중 하나인 Spaceship Battles. 가끔 티엔티로 자기 팀을 테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때만 제제를 당한다.[2] 일부 파생된 서버의 경우 전체 채팅이 기본 채팅으로 되어있다. Overcast Community부터는 아예 전체 채팅이 기본 채팅으로 변경되었다.[3] 경고는 영구밴과 같이 꽤 드물다.[4] 해당 맵 룰을 보면 나무 위로 올라가는 것을 아예 금지하고 있다.[5] 예시로 Player2가 Player1를 공허에 떨어뜨리고 Player1이 죽는 순간에 나갈 경우 Player1 knocked out to void by Player2 (predicted)라고 표시되고 이전엔 킬로 인정이 안됐지만 이제는 킬로 인정되며, 킬 보상도 받는다.[39] 앞의 두 맵은 다이아 블럭이 존재하며 스폰시 갑옷이 없는 상태로 스폰되고, 노스탈기아 서버의 모든 맵은 노갑에 칼도 없이 스폰된다![7] 옛날 맵들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