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16:17:53

2025년 NBA 플레이오프

NBA 플레이오프에서 넘어옴
파일:NBA Playoffs 로고.svg
2024년 NBA 플레이오프 2025년 NBA 플레이오프 2026년 NBA 플레이오프


1. 개요

2025년 4월 19일[1]부터 시작되는 NBA 2024-25 시즌의 플레이오프.

각 컨퍼런스의 플레이 인 토너먼트 7시드 결정전이 열리는 것을 시작으로, 이후 7시드 결정전 패자와 9, 10위 결정전의 승자의 맞대결을 통해 이 경기의 승자가 8번 시드로서 플레이오프의 마지막 진출팀이 된다.

2. 진출팀

2.1. 동부 컨퍼런스

파일:NBA 동부 컨퍼런스 로고.svg
동부 컨퍼런스 플레이오프 진출팀
플레이오프 진출
<rowcolor=#1d428a,#fff> 1 2 3 4
파일: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로고.svg 파일:보스턴 셀틱스 로고.svg 파일:뉴욕 닉스 로고.svg 파일:인디애나 페이서스 로고.svg
CLE
(64-18)
BOS
(61-21)
NYK
(51-31)
IND
(50-32)
<rowcolor=#1d428a,#fff> 5 6 파일:NBA 동부 컨퍼런스 로고.svg
파일:밀워키 벅스 로고.svg 파일: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로고.svg
MIL
(48-34)
DET
(44-38)
플레이 인 토너먼트 진출팀
<rowcolor=#1d428a,#fff> 7 8 9 10
파일:올랜도 매직 로고.svg 파일:애틀랜타 호크스 로고.svg 파일:시카고 불스 로고.svg 파일:마이애미 히트 로고.svg
ORL
(41-41)
ATL
(40-42)
CHI
(39-43)
MIA
(37-45)

2025년 현재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가 동부 컨퍼런스 1번 시드를 확정지었고, 보스턴 셀틱스가 동부 2위, 뉴욕 닉스, 그리고 인디애나 페이서스 등이 동부 컨퍼런스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지었으며 디트로이트 피스톤즈밀워키 벅스가 5, 6번 시드를 두고 경쟁 중이다. 결국 밀워키가 5번, 디트로이트가 마지막 직행권인 6번 시드를 챙기면서 플레이오프 진출팀 경쟁이 마무리되었다.

플레이-인 토너먼트는 시카고 불스의 진출이 일찌감치 결정되었고, 나머지는 올랜도 매직, 애틀란타 호크스마이애미 히트간의 경쟁이 치열한데 결국 올랜도와 애틀랜타, 마이애미 순으로 플레이-인 토너먼트 진출팀마저 확정되었다.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 팀들 중에서는 필라델피아가 올해의 웃음후보로 확정되었다. 폴 조지 영입 등으로 윈나우를 이어가려 했으나 주전들이 줄부상에 쓰러지면서 결국 이도저도 아닌 채 허망하게 플레이오프조차도 가지 못해 필리건들에게 절망만을 안겨주었다.[2] 나머지 4팀은 그래도 리빌딩 노선이었기에 별 말은 없었지만, 워싱턴은 같은 집 식구인 워싱턴 캐피털스가 감독 교체 이후 리그 전체 1위를 놓고 경합하는 것과 비교되어 꽤나 큰 비판을 받았다.[3]

2.2. 서부 컨퍼런스

파일:NBA 서부 컨퍼런스 로고.svg
서부 컨퍼런스 플레이오프 진출팀
플레이오프 진출
<rowcolor=#c8102e,#fff> 1 2 3 4
파일:오클라호마시티 썬더 로고.svg 파일:휴스턴 로키츠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엠블럼.svg 파일:덴버 너기츠 로고.svg
OKC
(68-14)
HOU
(52-30)
LAL
(50-32)
DEN
(50-32)
<rowcolor=#c8102e,#fff> 5 6 파일:NBA 서부 컨퍼런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로고.svg 파일:미네소타 팀버울브스 로고.svg
LAC
(50-32)
MIN
(49-33)
플레이 인 토너먼트 진출팀
<rowcolor=#c8102e,#fff> 7 8 9 10
파일: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엠블럼.svg 파일:멤피스 그리즐리스 로고.svg 파일:새크라멘토 킹스 로고.svg 파일:댈러스 매버릭스 로고.svg
GSW
(48-34)
MEM
(48-34)
SAC
(40-42)
DAL
(39-43)

지난 시즌과 마찬가지로 오클라호마시티 썬더가 서부 컨퍼런스 1위를 확정지은 가운데, 오랜만에 휴스턴 로키츠가 부활해 서부 2번 시드에 올랐다. 그 뒤를 이어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덴버 너기츠, 골든 스테이트 워리어스미네소타 팀버울브스등이 각축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4] 이런 상황에서 덴버가 4월 8일 마이크 말론 감독을 경질하면서 양상이 달라질 가능성이 커졌다.

플레이-인 토너먼트는 동부 컨퍼런스에 비해 상황이 좀 복잡한데, 시즌 마지막 날까지 치열한 순위 경쟁이 예정되어 있다. 유타와 뉴올리언스는 일찌감치 진출 실패를 확정지었고, 정규시즌을 3경기 남겨둔 시점에서 피닉스까지 진출 실패가 확정됨에 따라 새크라멘토 킹스댈러스 매버릭스의 최종전 진출이 걸린 단판 승부가 확정되었다.

동부에서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가 웃음후보가 되었다면 서부에서는 피닉스가 브래들리 빌을 영입하는 강수를 둠에도 불구하고 몰락하면서 웃음후보가 되었으며, 샐러리 캡마저 위험해지면서 팀의 미래가 심각하게 어두워졌다. 포틀랜드는 천시 빌럽스 감독의 지휘 하에 리빌딩이 어느 정도 잘 이루어지고 있고, 샌안토니오는 비록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크리스 폴 영입으로 그렇잖아도 강력했던 빅터 웸반야마가 스텝업하는 성과가 있었던 시즌이었다. 뉴올리언스는 작년 시즌 중후반부터 맞은 하락세에 브레이크를 걸지 못해 올해는 무너졌고[5], 유타는 리빌딩이 계속되고 있으니 참작의 여지는 있다.

3. 플레이 인 토너먼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NBA 플레이오프/플레이 인 토너먼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NBA 플레이오프/플레이 인 토너먼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NBA 플레이오프/플레이 인 토너먼트#|]][[2025년 NBA 플레이오프/플레이 인 토너먼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191919> 파일:NBA 소파이 플레이인 토너먼트 로고.png2025 NBA 플레이오프
플레이 인 토너먼트 대진표
}}} ||
<rowcolor=#fff> 7·8위 / 7시드 결정전 9·10위 결정전 8시드 결정전
Eastern Conference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Eastern #7 (2025.04.15 19:30)
ATL
8위
파일:애틀랜타 호크스 로고.svg 95
ORL
7위
파일:올랜도 매직 로고.svg 120
승리팀 7번 시드로 PO 진출
패배팀 8시드 결정전 진출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10 vs #9 (2025.04.16 19:30)
MIA
10위
파일:마이애미 히트 로고.svg 109
CHI
9위
파일:시카고 불스 로고.svg 90
승리팀 8시드 결정전 진출
패배팀 탈락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Eastern #8 (2025.04.18 19:00)
MIA
10위
파일:마이애미 히트 로고.svg 123
ATL
8위
파일:애틀랜타 호크스 로고.svg 114
승리팀 8번 시드로 PO 진출
패배팀 탈락
}}}
Western Conference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Western #7 (2025.04.15 22:00)
MEM
8위
파일:멤피스 그리즐리스 로고.svg 116
GSW
7위
파일: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엠블럼.svg 121
승리팀 7번 시드로 PO 진출
패배팀 8시드 결정전 진출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10 vs #9 (2025.04.16 22:00)
DAL
10위
파일:댈러스 매버릭스 로고.svg 120
SAC
9위
파일:새크라멘토 킹스 로고.svg 106
승리팀 8시드 결정전 진출
패배팀 탈락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Western #8 (2025.04.18 21:30)
DAL
10위
파일:댈러스 매버릭스 로고.svg 106
MEM
8위
파일:멤피스 그리즐리스 로고.svg 120
승리팀 8번 시드로 PO 진출
패배팀 탈락
}}}

4. 플레이오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1f2023> 파일:NBA Playoffs 로고.svg2025 NBA 플레이오프
대진표
}}} ||
<rowcolor=#fff> 1라운드 컨퍼런스 세미파이널 컨퍼런스 파이널 파이널
Eastern Conference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미정
Eastern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미정
Western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2025.??.??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MIA
No.8
파일:마이애미 히트 로고.svg 0
CLE
No.1
파일: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로고.svg 1
2025.04.20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미정
No.-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미정
No.-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2025.??.??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미정
No.-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미정
No.-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2025.??.??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MIL
No.5
파일:밀워키 벅스 로고.svg 0
IND
No.4
파일:인디애나 페이서스 로고.svg 2
2025.04.19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ORL
No.7
파일:올랜도 매직 로고.svg 0
BOS
No.2
파일:보스턴 셀틱스 로고.svg 1
2025.04.20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미정
No.-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미정
No.-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2025.??.??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DET
No.6
파일: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로고.svg 1
NYK
No.3
파일:뉴욕 닉스 로고.svg 1
2025.04.19 ~ 2025.??.??
}}}
Western Conference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MEM
No.8
파일:멤피스 그리즐리스 로고.svg 0
OKC
No.1
파일:오클라호마시티 썬더 로고.svg 2
2025.04.20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미정
No.-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미정
No.-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2025.??.??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미정
No.-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미정
No.-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2025.??.??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LAC
No.5
파일: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로고.svg 1
DEN
No.4
파일:덴버 너기츠 로고.svg 1
2025.04.19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GSW
No.7
파일: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엠블럼.svg 1
HOU
No.2
파일:휴스턴 로키츠 로고.svg 0
2025.04.20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미정
No.-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미정
No.-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2025.??.??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MIN
No.6
파일:미네소타 팀버울브스 로고.svg 1
LAL
No.3
파일: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엠블럼.svg 1
2025.04.19 ~ 2025.??.??
}}}

4.1. 1라운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NBA 플레이오프/1라운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NBA 플레이오프/1라운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NBA 플레이오프/1라운드#|]][[2025년 NBA 플레이오프/1라운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파일:NBA Playoffs 로고.svg2025 NBA 플레이오프
1라운드 대진표
}}} ||
Eastern Conference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MIA
No.8
파일:마이애미 히트 로고.svg 0
CLE
No.1
파일: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로고.svg 1
2025.04.20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MIL
No.5
파일:밀워키 벅스 로고.svg 0
IND
No.4
파일:인디애나 페이서스 로고.svg 2
2025.04.19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ORL
No.7
파일:올랜도 매직 로고.svg 0
BOS
No.2
파일:보스턴 셀틱스 로고.svg 1
2025.04.20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DET
No.6
파일: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로고.svg 1
NYK
No.3
파일:뉴욕 닉스 로고.svg 1
2025.04.19 ~ 2025.??.??
}}}
Western Conference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MEM
No.8
파일:멤피스 그리즐리스 로고.svg 0
OKC
No.1
파일:오클라호마시티 썬더 로고.svg 2
2025.04.20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LAC
No.5
파일: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로고.svg 1
DEN
No.4
파일:덴버 너기츠 로고.svg 1
2025.04.19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GSW
No.7
파일: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엠블럼.svg 1
HOU
No.2
파일:휴스턴 로키츠 로고.svg 0
2025.04.20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MIN
No.6
파일:미네소타 팀버울브스 로고.svg 1
LAL
No.3
파일: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엠블럼.svg 1
2025.04.19 ~ 2025.??.??
}}}

4.2. 컨퍼런스 세미파이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NBA 플레이오프/컨퍼런스 세미파이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NBA 플레이오프/컨퍼런스 세미파이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NBA 플레이오프/컨퍼런스 세미파이널#|]][[2025년 NBA 플레이오프/컨퍼런스 세미파이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1f2023> 파일:NBA Playoffs 로고.svg2025 NBA 플레이오프
컨퍼런스 세미파이널 대진표
}}} ||
Eastern Conference
Western Conference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미정
No.-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미정
No.-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2025.??.??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미정
No.-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미정
No.-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2025.??.??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미정
No.-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미정
No.-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2025.??.?? ~ 202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미정
No.-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미정
No.-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0
2025.??.?? ~ 2025.??.??
}}}

4.3. 컨퍼런스 파이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NBA 플레이오프/컨퍼런스 파이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NBA 플레이오프/컨퍼런스 파이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NBA 플레이오프/컨퍼런스 파이널#|]][[2025년 NBA 플레이오프/컨퍼런스 파이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NBA 파이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NBA 파이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NBA 파이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NBA 파이널#|]][[2025 NBA 파이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여담


[1] 미국 현지 시간 기준으로 플레이 인 토너먼트 시작일이다.[2] 특히 조엘 엠비드의 유리몸화가 심화되면서 팀의 내구성을 더 악화시키고 있다.[3] 더불어 캐피털스는 프랜차이즈 선수알렉산드르 오베치킨웨인 그레츠키를 제치고 NHL 통산 골 신기록을 경신하는 겹경사까지 있었다. 물론 캐피털스는 플레이오프 진출 단골로는 NHL에서 꽤 알려져있는 팀이었던데다, 오베츠킨이 입단하기 이전인 90년대 후반~00년대 초반까지도 당시 같은 남동부 지구였던 탬파베이/플로리다/애틀랜타/캐롤라이나가 약체 신세를 벗어나지 못했던 탓에 지속적으로 플레이오프 진출은 이루어내던 팀이었다. 아이러니하게 03-04 시즌에 워싱턴이 몰락하고 나서야 같은 해 탬파베이가, 파업 이후 시즌인 05-06 시즌에 캐롤라이나가 스탠리컵 우승을 했다.[4] 놀랍게도 이 팀들은 서로간의 승차가 불과 1, 2경기 내외인지라 순위 경쟁이 치열하다.[5] 특히 확실한 프랜차이즈 스타감으로 여겨 영입한 자이언 윌리엄슨먹튀로 퇴화하면서 팀의 기대를 배신한 결과가 됨에따라 확실한 프랜차이즈 스타의 영입이 절실해진 상황이다.[6] 21년도 드래프트 1픽인 케이드 커닝햄의 플레이오프 데뷔 무대이기도 하다. 재밌는 점은 앞서 언급한 휴스턴의 에이스이자 동년 드래프트 2픽인 제일런 그린 역시 플레이오프 데뷔를 앞두고 있다. 이 둘의 플레이오프 데뷔는 현지에서도 흥미롭게 바라보는 관전 포인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