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생체의 화학반응에 관여하는 조효소}}}에 대한 내용은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 인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 인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 인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생체의 화학반응에 관여하는 조효소: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 인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 인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 인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Noise Abatement Departure Procedure
소음 억제 이륙 절차
1. 개요
제트 항공기 시대에 들어서면서 무지막지하게 늘어난 소음을 줄이기 위해 항공기에 적용되는 절차다.2. 상세
항공기의 이착륙이 빈번한 중, 대형공항에 필수적으로 적용되어 있으며 소형공항은 지정되어있지 않은 때도 있다. 파일럿들은 지상 준비 시 기내 컴퓨터에 해당 절차를 위한 데이터를 입력해야 한다.이 절차를 따르지 않으면 무지막지한 소음 민원의 맛을 보기 때문에 필수로 지키게 되어있지만 요새 제트 여객기라는 게 엄청난 소음을 만들어내는 물건인지라 소음 민원은 여전히 끊이지 않는다.
보통 시간대별로 수행해야 할 SID(Standard Instrument Depature, 표준 계기 출항방식)와 출력 억제고도, 가속고도, 사용시간대 등이 나와 있다.
3. 종류
3.1. NADP 1
주로 유럽권내의 공항에 적용되어있는 절차로 국내공항에서도 사용한다.이륙 후 V2 속도 + 10~20kts 정도를 유지하면서 지정한 출력 억제고도에서 TO/GA 출력을 상승 출력으로 전환하고 지정한 가속고도까지 상승한 뒤 다시 가속하여 순항고도까지 상승하는 방식이다.
공항 주변에 마을 혹은 도시가 있는 경우 소음을 줄이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3.2. NADP 2
주로 미국 공항에 적용되어있는 절차이다.이륙 후 V2 속도 + 10~20kts를 유지하면서 지정한 출력 억제고도에서 TO/GA 출력을 최대 상승출력으로 전환하고 빠르게 상승하는 방식이다.
4. 활용 방식
4.1. 착륙 시 적용
이름은 소음 억제 이륙 절차지만 소음 억제 목적으로 착륙시에도 적용하여 사용하는 공항이 있다. 이럴 경우 어느 지점에서 플랩을 전개하고 어느 지점에서 랜딩기어를 내릴 지 전부 지정되어있다.4.2. 실제 적용
다음은 2015년 5월 현재 김포국제공항에서 실제로 적용되어 사용되는 절차이다. 절차 내용을 간단히 해석해보면 다음과 같다.이륙시 NADP1 절차 수행, 출력억제고도는 1000FT 내지 1500FT 착륙시 다음 절차를 수행 활주로 14L/R 사용시 1. 로컬라이저 캡처 후 랜딩기어 전개 2. 최종 접근 픽스까지 착륙 플랩의 전 단계 유지 3. 최종 접근 픽스 통과 후 착륙 플랩 전개, 최종 접근 속도로 감속 활주로 32L/R 사용시 1. 계기착륙장치에서 7nm 지점에서 기어 전개 후 착륙 플랩의 전 단계 유지, KIP VOR에서는 8nm지점 2. 최종 접근 픽스 통과 후 착륙 플랩 전개, 최종 접근 속도로 감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