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미합중국 해군 의 함상 미사일 발사기. 영문으로는 단순하게 유도 미사일 발사 시스템(Guided Missile Launching Systems, GMLS)라고 호칭하며 전부 Mk 제식명이 달려있다.2. 목록
2.1. Mk 1
RIM-2 테리어 미사일을 시험 발사하기 위한 발사대에 달린 제식번호. 양팔형 발사기.2.2. Mk 4, 9, 10
초창기에 실전배치된 RIM-2 테리어용 발사기. 왜 이름이 3가지가 있냐면 각각 미사일 보관고가 수직인지 수평인지를 구분해서 다른 이름을 달았기 때문으로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1]- Mk 4: 미사일이 발사대 아래에 수직으로 보관되어 있다
- Mk 9: 미사일이 수평으로 보관되는데 모든 미사일이 갑판 상부에 보관되어 있다
- Mk 10: 미사일이 수평으로 보관되는데 실제 미사일 저장고는 갑판 아래에 위치한다.
2.3. Mk 7
RIM-8 탈로스용 발사기.2.4. Mk 13
RIM-24 타터와 스탠더드 계열 미사일, RGM-84까지 발사 가능한 단장 미사일 발사기. 발사기 하부에 리볼버식 탄창이 있어 총합 40발의 미사일을 보관이 가능했으며 스탠더드 대공미사일은 매 8초마다, 하푼 미사일은 22초마다 발사가 가능했다.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에 주력무장으로 탑재되었으며 이외에도 냉전기 미국의 주요 동맹국 호위함/구축함등에도 다수 탑재되었다.
파생형으로는 하부 미사일 저장고의 용량을 16발로 대폭 줄여[2] 작은 함선용으로 만든 Mk 22발사대가 있다.
2.5. Mk.26 GMLS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k.26 GML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k.26 GML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6. Mk.29 런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k.29 런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k.29 런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7. Mk.41 VLS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k.41 VL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k.41 VL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8. Mk.48 VLS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k.48 VL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k.48 VL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9. Mk 49
RIM-116 RAM 용 21발짜리 발사대.2.10. Mk 56
Mk.48 VLS 항목 참조2.11. Mk 57
줌왈트급 구축함에서만 사용하는 전용 VLS. 기존 MK 41보다 더 큰 미사일을 수납 가능하계 설계되어 있으나 이를 사용한 줌왈트급 구축함의 프로젝트 자체가 위태로운지라 줌왈트급 이외의 장착함정은 없다.2.12. Mk 112
RUR-5 ASROC 전용 발사대.2.13. Mk 141
4연장 하푼미사일 발사대.[1] 관련사항을 설명한 문서(10페이지)[2] MK 13의 하부덱은 2열로 되어있는데 24발의 미사일을 저장하는 외부 림과 16발의 미사일을 저장하는 내부 림으로 구분되는 것 중에서 내부 림만 남겨놓은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