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2:11:56

Eternal Towers of Hell

Juke's Towers of Hell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이 게임의 후속작에 대한 내용은 Tower of Hell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이 게임의 후속작:
Tower of Hell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파일:EToHnewlogo.png
타워
구역 선택창
Purgatorio The Great Inferno Spatial System 서브 구역
기타
게임 내 정보 설정
아이템 난이도
챌린지 이벤트
타워 제작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Roblox 아이콘.svg

파일:Eat Toe.webp

Eternal Towers of Hell
Juke's Towers of Hell
파일:1px 투명.svg

파일:Roblox 플레이 단추.svg
 파일:1px 투명.svg
제작 날짜
{{{#000 최근 업데이트 날짜
}}}
{{{#000 최대 플레이어 수
1명(구역 선택창) 20명(본게임/추정)
}}}
{{{#000 플랫폼
#!wiki style="margin-top:2px''
[[PC|{{{#000 PC}}}]] / [[휴대 전화|{{{#000 모바일}}}]] / [[콘솔|{{{#000 콘솔}}}]]
}}}
{{{#000 커뮤니케이션
#!wiki style="margin-top:2px''
[[파일:Roblox 마이크 아이콘.svg|width=15]] 마이크
}}}
{{{#000 장르
오비 및 플랫폼 / 타워 오비
}}}
{{{#000 수위
최소[1]
}}}
SNS

1. 개요2. 시스템3. 게임 내 정보4. 설정5. 타워6. 구역 선택창7. 난이도8. 아이템9. 챌린지10. 이벤트11. 문제점 및 비판
11.1. 음원 저작권 문제11.2. 입문자들에게 불친절한 시스템11.3. 저열한 문화의 팬덤
12. 논란 및 사건 사고13. 타워 제작14. 15. 여담1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Roblox타워 오비 게임이다.

그 유명한 Tower of Hell의 원작이자 모든 타워 오비 게임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게임이다. Tower of Heaven에서 영감을 받은 게임으로, Tower of Hell과는 달리 상당히 높은 수준의 오비 실력을 요한다.[2]

예전에는 게임의 이름이 Kiddie's Towers of Hell이었다. 이 시절 게임의 소유자는 지금의 Tower of Hell 공동 제작자인 ObrenTune이었고, 과거 ObrenTune의 닉네임이 Kiddie_Cannon이었기 때문. 그러나 ObrenTune이 정신적인 이유로 게임 개발을 그만두고 게임을 엎어버려서 게임이 삭제되는 우여곡절을 겪었으나, 당시 공동 개발자인 Jukecallaa가 이어 받고 이름도 Juke's Towers of Hell로 변경 됐었다. 현재는 Jukecallaa가 후술할 논란으로 인하여 소유자 자리에서 물러난 뒤 aetrnalisGammattor가 그 자리를 이어 받았고, 이름이 지금처럼 변경 되었다.

2. 시스템

이 게임의 개념은 다른 타워 오비 게임과는 좀 다른데, 보통 1개의 타워만 있는 다른 타워 오비 게임과는 다르게 이 게임은 The Great Inferno, Spatial System이라는 2개의 월드로 나뉘어 있다. 각 월드에는 여러 개의 구역들이 있으며,[3] 보통 하나의 구역 당 10개 이상의 타워들이 모여 있다. 또한 각 구역마다 최소 1개 이상씩 상위 구역과 연결된 서브 구역이 존재한다.[4][5]

타워 1개를 깰 때마다 긍정 에너지를 수여하며, 이 긍정 에너지는 다음 구역으로 넘어가기 위한 열쇠로 작용하게 된다.

3. 게임 내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ternal Towers of Hell/게임 내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ternal Towers of Hell/설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타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ternal Towers of Hell/타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구역 선택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ternal Towers of Hell/구역 선택창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 Purgatorio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ternal Towers of Hell/구역 선택창/Purgatorio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The Great Inferno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ternal Towers of Hell/The Great Inferno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Spatial System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ternal Towers of Hell/Spatial System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4. 서브 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ternal Towers of Hell/서브 구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난이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ternal Towers of Hell/난이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아이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ternal Towers of Hell/아이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챌린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ternal Towers of Hell/챌린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이벤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ternal Towers of Hell/이벤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문제점 및 비판

11.1. 음원 저작권 문제

로비 음악부터 시작해서 타워 음악, 구역 선택창 노래까지 이 게임에 쓰인 대부분의 노래가 전부 불펌한 노래들이다.

마리오 시리즈, 포켓몬스터, 별의 커비 시리즈, 테라리아 등 매우 유명한 비디오 게임의 OST[6], 유명한 작곡가들의 곡 등 정말 셀 수 없이 많은 양의 노래를 그대로 쓰고 있다.

원작자의 허락을 받지 않고 음원을 사용한 것부터 상당히 큰 문제이지만, 원작자가 이를 알아채고 EToH 측에 이의 제기를 할 수 있다는게 더 심각한 문제로 다가온다.

대표적 예시로 기존의 Tower of Keyboard Yeeting의 2 ~ 3층에서 The Living Tombstone이 작곡한 It's Raining Men의 MR 버전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저작권 신고를 받고 다른 노래로 대체되었다. 그나마 음원 삭제로 끝나서 망정이지, 원작자가 제대로 신고하면 EToH 자체가 로블록스에서 삭제 되는건 그리 어려운 일도 아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EToH 측에서도 이러한 문제를 인지 한것인지 로비에 자체 OST를 작곡하여 넣는 등 문제를 고칠려고 노력은 하고 있다. 타워 제작자들도 OST를 직접 만들어서 본인의 타워에 넣는 경우도 가끔씩 있다.[7] 하지만 이러한 노력으로는 현재 인게임에 있는 모든 불펌한 곡을 커버 치기는 역부족하다.

11.2. 입문자들에게 불친절한 시스템

EToH은 평상시 사람들이 하던 다른 오비 게임들과는 전혀 다른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입문자들이 이런 시스템을 알아가려면 튜토리얼은 기본인데, 문제는 이 게임에는 튜토리얼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Tower of Annoyingly Simple TrialsTower of Zero Disturbances라는 튜토리얼 타워가 2개나 존재하는데 뭐가 문제냐는 의견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둘은 그저 타워에 쓰이는 메카닉들만 알려줄 뿐이지, 여전히 게임 상의 시스템은 전혀 알려주지 않는다.

게임을 처음 시작하면 구역 선택창이 나오는데, 화면도 복잡하고 이해하기도 어려운 인터페이스들만 잔뜩 있으며 입문자를 위한 설명은 정말 단 1개도 존재하지 않는다. 설령 Enter를 누르고 게임에 들어갔다 해도 긍정 에너지나 다른 요소들의 설명은 없고 무작정 타워만 깨라고 한다.

이 게임이 타워만 주구장창 깨는 게임인건 맞지만, 더 많은 타워를 깨려면 다음 구역을 해금하고 서브 구역까지 방문해야 하는데 유저가 다음 구역을 해금했는지는 구역 선택창에 돌아가서 확인하는 것밖에 없고 서브 구역으로 가는 길을 찾는 방법은 Forgotten Ridge를 제외하고 인게임에서 단 하나의 안내도 없다. 비록 구역 선택창 튜토리얼 업데이트로 일부분이 해결되었지만, 아직도 서브 구역에 대한 설명과 입문자들에게 불친절한 시스템이 남아있다.

하지만 개발자들도 이 문제를 알고 있는지, 다음 구역으로 가는 방법과 서브 구역의 위치를 알려주고, 초보자를 위한 구역인 Purgatorio를 제작중이다.

11.3. 저열한 문화의 팬덤

EToH의 팬덤은 친목질뇌절이 넘쳐난다.

당장 디스코드 서버의 #tower-development 채널만 봐도 원래 주제인 타워 개발과 관련된 주제는 잘 보이지 않고 다른 주제로 대화를 하며 친목질을 하는 사람들이 훨씬 더 많다.

이에 후술할 Lightsynth의 폭로 이후 많은 사람들이 EToH 커뮤니티에서 EToH 서브 커뮤니티로 이동했다.[8]

현재는 게임의 상황이 많이 진정되어서 다시 EToH 커뮤니티로 돌아오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12.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ternal Towers of Hell/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타워 제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ternal Towers of Hell/타워 제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ternal Towers of Hell/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여담

===# 용어 #===
인게임 용어
EToH 게임의 이름인 Eternal Towers of Hell의 약어
SC Insane 이상의 난이도를 뜻하는 Soul Crushing의 약어
TGI 1번째 세계인 The Great Inferno의 약어
SS 2번째 세계인 Spatial System의 약어
TFS The Great Inferno의 마지막 구역으로 추정되는 구역인 The Final Stretch의 약어
R#(1-9) The Great Inferno의 구역인 Ring #(1-9)의 약어
Z#(1-10) Spatial System의 구역인 Zone #(1-10)의 약어
To??? Tower of ???의 약어
So??? Steeple of ???의 약어
Co??? Citadel of ???의 약어
Po??? 매년 크리스마스 이벤트 때 나오는 Present of ???의 약어
F# Floor #의 약어
AF20YY 만우절 이벤트의 약어
HE20YY 할로윈 이벤트의 약어
CE20YY 크리스마스 이벤트의 약어
Softlock
소프트락
타워 내에서 떨어지면 탈출 가능성 없이 갇히는 곳
Corner Flip
코너 플립
로블록스의 패치로 인해 사라진 Corner Clip을 Juke's Towers of Hell에서 구현한 기능
VM 4,999 로벅스의 가격을 가진 Vertical Mobility라는 게임 패스의 약어
BP 타워 내에서 버튼을 누른 후 이전 구간으로 떨어졌을 때 버튼의 영향으로 해당 구간의 일부 혹은 전체를 스킵할 수 있는 진행도를 뜻하는 Button Progress의 약어
PU 보통 Intense 혹은 Remorseless 난이도 분포를 가진 Psychologically Unsafe Towers의 약어
DC Disconnect 로블록스 게임이 튕기는 현상
Difficulty Chart 각 구역 로비에 있는 난이도 차트
OS 타워에서 외부로 나가는 구간인 Outside Section의 약어
Winpad
윈패드
타워의 마지막에 있고 질감과 색깔이 지속적으로 바뀌며 터치하면 최종적으로 타워가 깨지는 파트
TR 한 구역의 Soul Crushing 타워를 제외한 모든 타워를 깨야하는 Tower Rush의 약어
타워 제작 용어
Z-Fighting 파트가 서로 겹쳐보이는 현상
KB 닿으면 플레이어의 체력이 다는 파트인 Killbrick의 약어
CO 플레이어마다 각각 다르게 보이거나 플레이어에게 영향을 주는 개체인 Client Object의 약어
CCO Juke's Towers of Hell 타워 제작 키트에 없는 클라이언트 개체인 Custom Client Object의 약어
Purism
순수주의
클라이언트 개체가 없는 타워 스타일
CCT 충돌 가능한 파트인 Can Collide True의 약어
CCF 충돌이 불가능한 파트인 Can Collide False의 약어
VB 타워 제작 실력이 뛰어나 Juke's Towers of Hell의 직원에게 직접 검증받은 제작자인 Verified Builder의 약어
Curator
큐레이터
제출된 타워를 직접 검토하는 사람
GP 주로 타워의 장애물과 점프를 뜻하는 Gameplay의 약어
커뮤니티 용어
GG 보통 플레이어가 타워를 깼을때 사용하는 말인 Good Game의 약어
GL 보통 플레이어가 타워의 후반부 혹은 어려운 파트에 있을때 사용하는 말인 Good Luck의 약어
PB 타워에서 자신의 최고기록을 뜻하는 Personal Best의 약어
EO 오비 실력이 뛰어난 사람들을 일컫는 Elite Obbyist의 약어
Etard EToH와 지체자를 뜻하는 retard의 합성어
주로 유튜브 노래 영상에 찾아 가서 Eternal Towers of Hell을 언급하는 성가신 플레이어를 뜻하는 용어
GBJ Softlock의 다른 이름인 Gay Baby Jail의 약어[11]
Coiler 아이템 중 Coil을 사용해서 타워를 깨는 사람을 지칭하는 모욕적인 말
VMer 아이템 중 Vertical Mobility를 사용해서 타워를 깨는 사람을 지칭하는 모욕적인 말
VM Mosquito
VM 모기
Vertical Mobility를 사용하여 사람들을 따라다니는 사람을 칭하는 말
Fluke
플루크
타워의 특정 구간에서 한번에 Winpad까지 가서 타워를 깨는 것
Loopfail 타워에 있는 안전망 구간에서 지속적으로 떨어지는걸 반복하는 것을 일컫는 말
Chainfail 타워에서 연속적으로 떨어져서 빠르게 진행 상황을 잃는 것을 일컫는 말
RNG Random Number Generator의 약어
JToH에선 주로 운에 맡겨야 하는 점프를 뜻함
Cheese 타워의 허술한 점을 이용하여 대규모 스킵으로 타워를 깨는 것을 칭하는 말
Skill Issue
기술 문제
오비 실력이 낮음을 뜻하는 말
Canon
정식
게임에 존재하여 타워를 클리어하면 배지 또는 긍정 에너지를 주는 타워의 카테고리
Non-Canon
비정식
게임에 존재하지만 클리어해도 배지 또는 긍정 에너지를 주지 않는 타워의 카테고리

16. 관련 문서


[1] 유혈 (비현실적/경미함), 폭력 (가벼움/때때로)[2] 로블록스 오비 게임 중 인간이 가능한 선에서 사실상 제일 어려운 게임이다. 물론 이는 천상계 유저들 이야기로, 초보자를 위한 쉬운 타워들도 많다.[3] The Great Inferno는 Ring으로 불리고, Spatial System은 Zone으로 불린다.[4] 서브 구역 안에 서브 구역이 있을 수도 있다. Event Realm과 그 안에 중첩된 여러 구역들이 그 사례.[5] 현재 Ring 6, Zone 3의 서브 구역까지 완성되었다.[6] 굳이 유명하지 않더라도 이미 엄청나게 많은 양의 비디오 게임 OST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7] 대표적인 예시가 Tower of Icy AdventureTower of Yore.[8] another's towers of stupidity, Caleb's Soul Crushing Domain, EToH XL Project 등. Tower Creator 커뮤니티도 유명하지만 그쪽은 EToH 커뮤니티보다 친목질이 더 심하다(...).[9] 실제로는 반대로 EToH가 원작이고 ToH가 공식 후속작이다.[10] 심지어 2023년 만우절 이벤트에선 Rainbow Tower라고, 한국의 양산형 타워들을 패러디한 타워도 나왔다.[11] 뜻이 상당히 안좋아서 대부분 위의 소프트락이라는 말을 더 많이 쓰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