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2 14:39:16

Joy-Con 2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e60012> 파일:Nintendo Switch 2 로고 화이트.svgNintendo Switch 2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px 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5px 0px +5px"
파일:닌텐도 스위치2 모델_임시.png
Nintendo Switch 2
관련 문서

출시 전 정보 · Nintendo Switch Online
Nintendo Classics(NES · SNES · N64 · MD · GB · GBA · GC)
논란 및 사건사고
공식 컨트롤러

Joy-Con 2 · Pro-Con · Nintendo Classics 전용 컨트롤러
게임 목록

2025년
닌텐도 관련 문서
}}}}}}}}} ||
파일:joyCon_switcher_img01.png
1. 개요2. 특징
2.1. 전면2.2. 후면2.3. 측면2.4. 스펙2.5. 기타 기능
3. 파지법4. 액세서리5. 기타

1. 개요

Nintendo Switch 2의 기본 게임패드. 여러모로 게임계에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Joy-Con의 후신이다.

가격은 ₩109,800 / ¥9,980 / $89.99으로 ₩79,800이었던 Joy-Con에 비해 3만원 상승했다. 구매 시 Joy-Con 2 (L), Joy-Con 2 (R), Joy-Con 2 스트랩 2개가 동봉된다.

2. 특징

전반적으로 Joy-Con과 대동소이하다. Joy-Con과의 변경점은 볼드체로 표기한다.

2.1. 전면

파일:조이콘2정면.png

2.2. 후면

파일:조이콘2후면.png

2.3. 측면

파일:조이콘2측면.png

2.4. 스펙

2.5. 기타 기능

3. 파지법

Joy-Con의 그립 방식을 전부 사용할 수 있지만, 일부 IR 센서를 활용한 파지법은 IR 센서의 삭제로 인해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마우스 파지법이 추가되었으며, 충전 그립에 부착해서 사용할 경우 그립 후방에 있는 GL/GR 버튼까지 사용할 수 있다. GL/GR 버튼은 기본적으로 아무런 기능이 할당되어 있지 않으며 플레이어가 원하는 버튼을 할당할 수 있다.

4. 액세서리

5. 기타



[1] 다만, 공식적으로는 쏠림문제와 관련된 언급은 전혀없이 '스틱을 바닥부터 재설계했다'거나 '내구성이 향상되었다'정도만 언급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인터뷰를 통해 홀센서 스틱이 아니라고 밝혔기 때문에 Joy-Con의 최대 문제점이었던 쏠림 문제가 개선되었는지는 출시전에는 알수없을것으로 보인다.[2] 스위치 프리젠테이션 이후 인터뷰에 따르면 사실은 스위치에도 자석 결합방식을 도입하려 했으나, 플레이도중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서 차선책으로서 비슷한 느낌을 주지만 더 확실한 슬라이딩 방식을 채택한것이었다고 한다.[3] 체험회 초반에 전시용 모형을 가지고 자석 결합 방식을 체험해볼수있게 해주는데, 참여한 유튜버 중 한명이 분리버튼을 안쓰고 떼어내는데 성공하긴 했으나, 이사람은 팔에 알통이 살짝 보일정도로 팔힘이 강한편이었고 이사람도 쉽게 떼어낼 수 있을것 같지는 않다고 평했다. #[4] 일반그립에는 GL/GR 버튼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