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18:36:23

Ib/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ib-리메이크.png
등장인물 · 엔딩 목록 · OST · 2차 창작 · 「Ib」

1. 개요2. 주연3. 조연4. 등장 작품 일람

1. 개요

호러 게임 Ib의 등장인물을 다루는 문서.

2. 주연

파일:ib-리메이크.png
주요 등장인물
파일:이브 리메이크판.jpg
파일:게리 리메이크.png
파일:메리 리메이크.png

3. 조연

4. 등장 작품 일람

그림의 세계에 진입한 뒤에 등장하는 게르테나가 생전 만들었던 작품들로 살아 움직이며 게임에서 피해야하는 몬스터나 함정, 아니면 진행을 위한 장치로써 역할을 수행한다. 리메이크버전에서는 모든 작품을 수집하면 이 게임에서 단 하나뿐인 스팀 도전과제가 달성된다.

ⓡ은 리메이크에서 추가된 작품.

여기서부터는 2회차 부터 등장하는 장소에서 나오는 작품들이다.


[1] 사실 돌아다니다 보면 방에서 이브의 부모님이 그려진 그림으로는 나온다.[2] 최후의 무대에서 나오는 이브의 9살 생일 꿈에서 살짝 이런 모습이 나온다.[3] "인간이 마음을 쏟은 것에는 혼이 깃든다고 한다. 그렇다면 작품으로도 같은 일이 가능하지 않겠는가?'하는 생각을 늘 하고 있다. 그리고 오늘도 나는 내 혼을 나누어 담을 작정으로 창작에 몰두하고 있다." - 미술관에 있는 게르테나의 일기[4] 3층은 원래 휴게실인데 이상현상으로 인해 '상상의 세계' 그림이 걸린 공간으로 변한 것이다. 엔딩에서 탈출해서 2층으로 내려왔다가 다시 3층으로 올라가보면 상상의 세계는 없어지고 창문만 있다.[5] 다만 게르테나 개인전에 찾아온 관람객들이므로 게르테나 팬의 비율이 높을 수밖에 없다는 것은 감안해야 한다.[6] 의외로 찾다보면 꽤 많이 있긴 하지만, 여자 형태(특히 빨간색 옷)의 무개성에 비해서는 많지 않다.[7] 과거에는 제일 왼쪽 위와 제일 오른쪽 아래, 그리고 가운데 왼쪽 아래 중 한곳에 있었다.[8] 만약 게리와 함께 있는 경우라면 게리를 때린다. 계속 들추어 봐도 게리는 안 죽는다(...).[A] 이 그림도 봐야 진 게르테나전에 추가된다.[10] 리메이크판에서는 쓰러진 이브.[A] [12] 만일 길을 막는다면 말을 걸어 멈추게 하거나 재자리에 돌아가게 할 수 있다.[13] 정답은 갈색옷이다. 일단 갈색옷을 제외한 나머지 5개 중 3개는 갈색 옷을 제외한 다른 그림에 동의한다고 했고, 나머지 2개는 앞에서 말한 그림 3개의 지지를 받고 있기 때문에 진실을 말한 옷을 오직 갈색옷 뿐이다.[14] '개조심'에서 개가 입으로 바뀐 것. 원문은 '맹견주의'를 변형한 맹순(脣, 입술 순)주의로 되어있다.[15] 리메이크판에서는 5번.[16] 외형과 꼬리 모양으로 봐서는 마눌고양이로 보인다.[17] 리메이크판은 거울을 본 상태로 게리의 대화가 끝난 뒤 키를 누르면 바로 튀어나온다.[18] 리메이크판에서는 딱봐도 위험하다며 게리가 저지한다.[19] 토끼 인형, 즉 파란 인형을 처음 마주친 방에서 나오는 대사로 알 수 있는데, 게리는 이 인형들이 파란 인형으로 보이기에 혐오하고, 이브는 마음 붕괴 상태에서의 토끼 인형으로 보이기에 귀여워하지만, 메리는 마음 붕괴 상태가 아니므로, 파란 인형의 실체를 보고 진심으로 귀엽지 않냐는 대사를 한다.[20] 특이하게도 이 그림을 진·게르테나 전에 전시하기 위해서는 게리와 함께 심해의 공간으로 가서 책장을 뒤져봐야 한다.[21] 무개성도 맨 처음 출현할 때는 방문을 통과하지만 그 이후에 등장하는 개체들은 방문을 통과해오지 않는다.[22] 작품명은 일단 '게르테나'라고 되어 있으나 게리의 말에 따르면 게르테나는 자화상을 남기지 않았다고 한다. 즉 이 그림이 정말로 자화상인지는 불명.[23] 여기서 밖으로 나가면 실패작이 뒤따라서 문을 열고 나오는데 조금 기다렸다가 따라 나왔을 때를 노려 다시 들어가면 실패작을 피할 수 있다.[24] 튀어나올 때 액체가 흘러나오는 듯한 효과음이 나온다.[25] 꿈을 꾸는 도중 계속 꿈을 꿀 것인지 눈을 뜰 것인지 선택지가 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0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0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