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31 17:52:30

Houdini(에미넴)


파일:Eminem logo.png
[ 정규 음반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fff><width=25%>
파일:Infinite.webp
||<width=25%>
파일:SSLP.jpg
||<width=25%>
파일:EminemMMLPclean.jpg
||<width=25%>
파일:EMTES.jpg
||
Infinite
1집

1996. 11. 12.
The Slim Shady LP
2집

1999. 2. 23.
The Marshall Mathers LP
3집

2000. 5. 23.
The Eminem Show
4집

2002. 5. 26.
파일:EMEncore.jpg
파일:EMRelapse.jpg
파일:EMRecovery.jpg
파일:EMMMLP2.jpg
Encore
5집

2004. 11. 12.
Relapse
6집

2009. 5. 19.
Recovery
7집

2010. 6. 18.
The Marshall Mathers LP2
8집

2013. 11. 5.
파일:EMRevival.jpg
파일:EMKamikaze.jpg
파일:EMMTBMB.jpg
파일:24UMGIM76442.rgb.jpg
Revival
9집

2017. 12. 15.
Kamikaze
10집

2018. 8. 31.
Music To Be Murdered By
11집

2020. 1. 17.
[ EP & 싱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fff><width=100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minem_-_The_Slim_Shady_EP_CD_cover.jpg
||<width=25%>
파일:EminemCS.jpg
||<width=25%>
파일:Ekillshot.png
||<width=25%> ||
Slim Shady EP
EP

1997. 12. 6.
<color#2f3895>
Campaign Speech
싱글

2016. 10. 19.
Killshot
싱글

2018. 9. 14.
[ 콜라보레이션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fff><width=1000>
파일:suot.png
||<width=25%>
파일:soulint.png
||<width=25%>
파일:220px-Soul_Intent_(EP).jpg
||<width=25%>
파일:바닥ep.png
||

[[Soul Intent|
as Soul Intent
]]
1990. 3. 3.

[[Soul Intent|
as Soul Intent
]]
1992. 10. 14.

[[Soul Intent|
as Soul Intent
]]
1995. 2. 25.
The Underground EP

[[D12|
as D12
]]
1997. 7. 10.
파일:디트기다려.png
파일:악마의밤.png
파일:한정판믹테.jpg
파일:D12세상.jpg
Detroit, What!

[[D12|
as D12
]]
2000. 11. xx.

[[D12|
as D12
]]
2001. 6. 19.
Limited Edition Mixtape

[[D12|
as D12
]]
2003. xx. xx.

[[D12|
as D12
]]
2004. 4. 27.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minem_Presents_the_Re-Up.jpg
파일:BMEHTS.jpg
파일:리턴오브더도즌2.png
파일:셰이디엑스브이.jpg

as Shady Records

2006. 12. 5.

[[Bad Meets Evil|
as Bad Meets Evil
]]
2011. 6. 14.
Return of the Dozen Vol. 2

[[Bad Meets Evil|
as Bad Meets Evil
]]
2011. 8. 12.

as Shady Records

2014. 11. 24.
[ 기타 음반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fff><width=1000>
파일:8milealbum.png
||<width=25%>
파일:220px-The_Singles_(Eminem_album).jpg
||<width=25%>
파일:EMCurtainCall.jpg
||<width=25%>
파일:셰이디클래식스믹스테입.jpg
||

[[8 마일(영화)|
8마일 사운드트랙
]]
2002. 10. 29.

싱글 컴필레이션

2003. 12. 23.

히트곡 컴필레이션

2005. 12. 6.
Shady Classics

컴필레이션

2014. 11. 22.
파일:EMTheVinylLPs.jpg
파일:싸우쓰포.jpg
파일:EMV.jpg
파일:커튼콜2.webp
The Vinyl LPs

컴필레이션

2015. 3. 22.

[[사우스포|
사우스포 사운드트랙
]]
2015. 7. 24.

[[베놈(영화)|
베놈 사운드트랙
]]
2018. 9. 21.

히트곡 컴필레이션

2022. 8. 5.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102b><tablebgcolor=#00102b>
파일:tdossa.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rowcolor=#fff> # 곡명 러닝타임
1 Renaissance 1:38
2 Habits 4:58
3 Trouble 0:41
4 Brand New Dance 3:27
5 Evil 3:50
6 All You Got (skit) 0:24
7 Lucifer 4:22
8 Antichrist 5:14
9 Fuel 3:34
10 Road Rage 3:38
11 Houdini 3:47
12 Breaking News (skit) 0:37
13 Guilty Conscience 2 5:26
14 Head Honcho 3:55
15 Temporary 4:58
16 Bad One 4:30
17 Tobey
4:45
18 Guess Who's Back (skit) 1:03
19 Somebody Save Me 3:50
}}}}}}}}} ||
<colcolor=#41d4e9> {{{+1 'Houdini'}}}
수록: The Death of Slim Shady (Coup De Grâce)
파일:houdini후디니.jpg
<colbgcolor=#941d3b> 아티스트 Eminem
싱글 발매 2024년 5월 31일(스트리밍 서비스)
녹음 2024년
장르 코미디
길이 3:47
프로듀서 Eminem, Luis Resto
레이블 Aftermath, Shady, Interscope
파일:빌보드 로고 흰색.svg 2위
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 1위2주
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 447,807,747회 2024년 10월 21일 기준
파일:유튜브 로고.svg 170,460,424회 2024년 10월 21일 기준
1. 개요2. 상세3. 뮤직비디오4. 가사5. 성과 및 반응


1. 개요

에미넴의 12번째 정규 앨범 The Death of Slim Shady (Coup De Grâce)의 선공개 싱글.

2. 상세

3. 뮤직비디오

4. 가사

Houdini
🅴 Eminem • 3:47
[ 가사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5. 성과 및 반응

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파일:오피셜 차트 로고 핑크.svg
오피셜 싱글 차트 역대 1위 노래
Espresso
Sabrina Carpenter
Houdini
Eminem
(2주)
Please Please Please
Sabrina Carpenter

[1] 박명수의 2인조 듀오 언밸런스의 싱글 Over Man에도 샘플링된 곡.[2] 에미넴이 PC화가 된 2018년에도 faggot이라는 단어를 가사에 썼다가 논란이 되고 에미넴이 이례적으로 사과를 한 적이 있다.[3] 과거에 gay는 ’쾌활한, 유쾌한‘ 이란 뜻을 가지고 있었다. 대표적인 예로 쾌걸 조로 시리즈 중 “Zorro: the Gay Blade”(쾌활한 검객 조로)라는 1981년작 영화가 있다. 즉 "요즘 세상 돌아가는 게 존나 게이같아. 아니, 내 말은 해피하다고!" 이렇게 뒷수습(?)하는 유머 뉘앙스.[4] 도입부에서 앨범을 들어봤는데 감당이 안 된다며 손절치는 것으로 등장하는 폴이 이 사람이다.[5] 닥터 드레와 함께 에미넴을 발굴해내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드레가 처음 에미넴의 곡을 들었던 장소가 아이오빈의 저택이었다.[6] 물론 앨범이 컨셉 앨범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도 대중적인 편은 아니라서 이 노래가 앨범에선 가장 대중적인 곡이라 봐도 무방하다.[7] 또 요즘 나오는 힙합 히트곡들중 거의 유일하게 트랩 장르가 아닌곡인점도 눈여겨볼점이다.[8] 목록에 없는 The Real Slim Shady크리스티나 아길레라 디스같은 사례와 비교해봐도... 옛날엔 리한나보고 자기 오줌도 먹어라고 했으니 이번 건은 수위가 낮다 못해 디스라고 볼 수가 없는 수준이다. 덕분에 슬림 셰이디 시절부터 들었던 에미넴 팬들은 젠Z 애들이 리즈시절 에미넴을 이제서야 들어보다니!라는 식으로 반응했다. 심지어 에미넴과 메건 디를 모두 좋아하는 팬들은 shout out이라고 받아들이기도 한다. 실제로 두 래퍼는 서로 리스펙트 한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