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15:36:21

GM28223

GM28223
파일:에이리언 2 GM28223 이미지 1.jpg
2179년 시점[1]
본명 'GM28223'[2]
기종 심우주 구조선
적재물 로봇 용접기
로봇 스캐너
바이오-격리 슈트
정원 승조원 4명

1. 개요2. 특징3. 승무원4. 적재물5. 작중 행적
5.1. 에일리언: 고통의 강5.2. 에이리언 2
6. 뒷이야기

[clearfix]

1. 개요

에이리언 2에서 첫 등장한 구조선이자, 57년 동안 우주를 떠돌고 있었던 USCSS 노스트로모 셔틀용 우주정 나르시서스에서 동면 중인 엘렌 리플리존스를 구조한 우주선이다.

2. 특징

나르시서스처럼 우주에서 표류하고 있는 우주선을 구조한 후 게이트웨이 우주정거장 등 우주정거장이나 우주 기지로 옮기는 일을 한다. 다만, 에일리언: 고통의 강에 의하면, 20개 이상의 민간 우주선들과 우주정거장에서 구조 활동을 한 적이 있다고 한다. 군사용 우주선에서 구조 활동을 하는 것은 불법이라고 한다.[3]

구조하려 하는 표류선에서 생존자가 아무도 없고, 파손되거나 버려진 상태면, 해당 표류선을 분리하거나 견인할 수 있는 권리를 주장할 수 있다고 한다. 나르시서스에 들어갈 때도, 구조팀이 나르시서스에 대한 권리를 주장할 생각에 기대했지만, 생존자 리플리와 존스가 있는 것을 보고 권리를 주장하지 못했다고 한다.[4]

3. 승무원

파일:에이리언 2 저니건, 랜더스, 플리트 이미지 1.jpg
위 이미지의 인물들이 바이오-격리 슈트를 착용하고 있는 저니건, 랜더스, 플리트이다.[5]

4. 적재물

파일:에이리언 2 로봇 용접기 이미지 1.jpg 파일:에이리언 2 로봇 스캐너 이미지 1.jpg
로봇 용접기 로봇 스캐너
에이리언 2

5. 작중 행적

5.1. 에일리언: 고통의 강

2179년 5월 16일, 심우주 구조선 GM28223은 코어 시스템스 지역(Core Systems Region)에서 57년 동안 떠돌고 있는 나르시서스 셔틀선을 발견한다. 선장 무어는 저니건, 랜더스, 플리트 등 3명으로 구성된 구조팀을 나르시서스에 파견한다.

5.2. 에이리언 2

나르시서스가 GM28223에 도킹한 후, 로봇 용접기로 나르시서스 출입구 문을 연다음, 로봇 스캐너로 동면 캡슐이 있는 것을 발견한다. 이후 구조팀 팀장 저니건이 이끄는 3인 구조팀이 노란색 바이오-격리 슈트(Bio-isolation suit)[6]를 착용한 채 나르시서스 안에 들어간다.[7]

동면 캡슐 안에서 동면 중인 엘렌 리플리존스의 생체 반응이 녹색인 것을 구조팀 팀장 저니건이 확인한다.
“Bio readouts are all in the green. Looks like she’s alive. Well there goes our salvage, guys.”
"생체 반응이 녹색입니다. 살아있는 것 같은데요. 구조작업을 시작하지."[8]
이후, 저니건의 구조팀은 리플리와 존스를 게이트웨이 우주정거장으로 이송한다.[9]

6. 뒷이야기



[1] 위 이미지의 작은 우주선은 USCSS 노스트로모의 셔틀용 우주정 나르시서스이며, 큰 우주선이 구조선 GM28223이다.[2] 해당 구조선의 본명은 캐넌 작품 에일리언: 고통의 강 오디오 드라마 1화에서 밝혀진다.[3] 에일리언: 고통의 강 31쪽 참고.[4] 에일리언: 고통의 강 31쪽~32쪽 참고.[5] 해당 인물들의 이름은 에이리언 2에서는 밝혀지지 않고, 캐넌 소설 에일리언: 고통의 강에서 밝혀진다.[6] 산소 탱크가 부착된 우주복 비슷한 슈트. 버려지거나 파손된 우주선에 들어갈 때 사용한다.[7] 고통의 강 오디오 드라마에 의하면 저니건의 팀이 이때 에일리언: 공허의 그림자에서 등장한 인물 크리스 후퍼의 이름 패치를 발견한다.[8] 애플 티비 에이리언 2 공식 한국어 자막의 저니건의 대사이다. 해당 대사는 고통의 강과 고통의 강 오디오 드라마에서도 저니건이 직접 언급한다.[9] 에일리언: 고통의 강 오디오 드라마 1화에서는 이때, 구조팀 대원 중 한명이 고양이 알레르기가 있어서, 존스를 깨우지 않은 채 동면 캡슐을 옮기고 싶다고 말한다.[10] 더 메이킹 오브 에이리언 2 229쪽 참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