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5900><tablebgcolor=#ff5900> | Fnatic 역대 시즌 |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11 ★★ | 2012 ☆☆ | 2013 ★★ | 2014 ★☆☆ | 2015 ★★ |
| 2016 ☆ | 2017 ☆ | 2018 ★★★☆ | 2019 ★☆ | 2020 ☆☆ | |
| 2021 ☆ | 2022 | 2023 ☆ | 2024 ☆☆☆ | 2025 |
| Fnatic의 역대 시즌 | ||||
| 창단 | → | 2011 시즌 | → | 2012 시즌 |
1. 개요2.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1 챔피언십
1. 개요
Fnatic의 2011년에 대해 서술한 문서.2.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1 챔피언십
| | ||||||
| Fnatic | ||||||
| | ||||||
| 로스터 | ||||||
| TOP | xPeke ]] | wewillfailer | ||||
| JGL | Cyanide FI | |||||
| MID | Shushei ]] | |||||
| BOT | LaMiaZlt | |||||
| SPT | Mellisan | |||||
[1] 이 당시엔 현 정글러의 갱킹을 담당하는 '로머'가 있었고 원거리 딜러를 단독으로 라인에 보내는 경우가 많았다. 도타 등에서 캐리 영웅을 솔로 라인을 보내던 것에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Fnatic이 현재의 5포지션을 기반으로 한 EU 스타일로 시즌 1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면서 이것이 지금에 들어서는 여러 다변화가 이뤄졌으나 여전히 정석의 골자로써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