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1B1921><tablebgcolor=#1B1921>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hite Side | |||
<rowcolor=#FEFCF8> 트랙 | 곡명 | 러닝타임 | ||
<colcolor=#000,#000> 1 | <rowcolor=#000>Procession | 1:12 | ||
2 | <rowcolor=#000>Father to Son | 6:14 | ||
3 | <rowcolor=#000>White Queen (As It Began) | 4:34 | ||
4 | <rowcolor=#000>Some Day One Day | 4:23 | ||
5 | <rowcolor=#000>The Loser in the End | 4:02 | ||
Black Side | ||||
<rowcolor=#FEFCF8> 트랙 | 곡명 | 러닝타임 | ||
1 | <rowcolor=#000>Ogre Battle | 4:10 | ||
2 | <rowcolor=#000>The Fairy Feller's Master-Stroke | 2:40 | ||
3 | <rowcolor=#000>Nevermore | 1:17 | ||
4 | <rowcolor=#000>The March of the Black Queen | 6:33 | ||
5 | <rowcolor=#000>Funny How Love Is | 2:50 | ||
6 | <rowcolor=#000>Seven Seas of Rhye | 2:50 | ||
관련 트랙 | ||||
<rowcolor=#FEFCF8> 트랙 | 곡명 | 러닝타임 | ||
1 | <rowcolor=#000>See What a Fool I've Been | 4:32 | ||
|
Father to Son | |
<colcolor=#FEFCF8><colbgcolor=#1B1921> 발매일 | 1974년 3월 8일 |
수록 앨범 | |
작사/작곡 | 브라이언 메이 |
러닝 타임 | 6:14 |
프로듀서 | 로이 토마스 베이커, 퀸 |
1. 개요
록밴드 퀸의 노래. 2집인 Queen II에 수록되었으며 그들의 가장 긴 노래들 중 하나이다.왕과 태자에 관한 내용. 왕이 아들에게 왕가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노래이다. 1번 트랙인 Procession에서 이어지며, 다음 트랙인 'White Queen'과도 이어진다. 이 곡의 아웃트로가 서서히 페이드 아웃되고 White Queen의 인트로가 들어온다. 여담으로 이 곡의 일부는 메이가 디콘이 만들어 준 앰프를 이용하여 녹음했다. 존 디콘 문서에서도 설명되어 있는 앰프가 바로 이 곡에서 쓰인 것. 또한 존 디콘이 일부 어쿠스틱 리듬 기타를 연주하기도 하였다. 곡 초반의 리프는 원래 메이의 기타 소리이지만, 이 리프와 더불어 리듬 기타가 들어오기 때문에 라이브에서는 주로 녹음본을 틀어서 처리하고, 1976년 일본 투어에서만 예외적으로 프레디가 피아노로 연주하였다.
2. 가사
Father to 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