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2:12:22

Failnaught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원래 의미와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페일노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페일노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페일노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원래 의미와 동음이의어: }}}[[페일노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페일노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페일노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p.eagate.573.jp/201808_sv_11.jpg

1. 개요2. 사운드 볼텍스
2.1. 채보 상세

1. 개요

「네가 앞으로 나아가겠다면, 나는 그 장벽을 없앨 뿐・・・
이 활은 그것을 위해・・・설령 그것이 패도라 할지라도.」

- "이레이저" 츠마부키 레후토
[1]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의 수록곡으로, 작곡가는 xi. 곡명인 Failnaught는 페일노트를 뜻한다.

2. 사운드 볼텍스

||<tablewidth=480px><tablealign=center><bgcolor=#6600FF><tablebordercolor=#6600FF> 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
ΩDimension Phase 5 (2018.08.09)
The 7th KAC 오리지널 악곡 콘테스트 당선자의 신곡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wiki style="margin: -15px -10px;"<tablewidth=100%>
Made In Love 해금 후 출현
파일:p.eagate.573.jp/201808_sv_18.jpg
파일:p.eagate.573.jp/201808_sv_16.jpg
파일:p.eagate.573.jp/201808_sv_21.jpg
인연
水簾ノ調
붕괴
탐구
파일:p.eagate.573.jp/201808_sv_20.jpg
{{{#!wiki style="margin: -12px -8px;"
파일:p.eagate.573.jp/201808_sv_09.jpg
사랑
}}}
파일:p.eagate.573.jp/201808_sv_15.jpg
고혹
원환
파일:p.eagate.573.jp/201808_sv_19.jpg
파일:p.eagate.573.jp/201808_sv_17.jpg
파일:p.eagate.573.jp/201808_sv_14.jpg
비분
우수
オニユリ
충족
}}}
{{{#!wiki style="margin: -15px -10px;"
ΩDimension Phase 5+
Phase 5 전 9곡 해금 후 출현
파일:p.eagate.573.jp/201808_sv_13.jpg
숙원
Fly Like You
파일:p.eagate.573.jp/201808_sv_11.jpg
헌신
Failnaught
파일:p.eagate.573.jp/201808_sv_12.jpg
지배
12곡 해금 후 출현
파일:p.eagate.573.jp/201808_sv_10.jpg
불굴
Xronièr
}}}
다른 ΩDimension 회차들 둘러보기
1 · 2 · 3 · 4 · 5 · 6 · 7 · 8
}}}}}}}}} ||


ΩDimension Phase 5를 통해 해금할 수 있다.
<colbgcolor=white,#1f2023>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난이도 NOVICE <colcolor=orange,#dd0> ADVANCED <colcolor=red> EXHAUST <colcolor=dimgray,darkgray> MAXIMUM
자켓 파일:failnaught nov.jpg 파일:failnaught adv.jpg 파일:failnaught exh.jpg 파일:failnaught mxm.jpg
레벨 07 14 17 19
체인 수 0828 1553 2174 2550
일러스트 담당 揺るぎなき《献身》を貫くAI- 嬬武器烈風刀[2]◆スティンガー それが君の覇道を阻むのならば-《献身》- 嬬武器烈風刀[3]◆スティンガー たとえ総てを敵に回そうとも-《献身》- 嬬武器烈風刀[4]◆スティンガー ただ、かの者のために――天に弓引く-《献身》- 嬬武器烈風刀[5]◆スティンガー
이펙터 TEK-A-RHYTHM
수록 시기 IV 51 (2018.08.09)
BPM 220

2.1. 채보 상세


MXM 손배치 포함 PUC 영상

그 동안 TEK-A-RHYTHM이 제작해온 채보들과 마찬가지로 고속 폭타와 트릴, 연타 처리력을 요구하는 패턴. 중반에는 까다로운 원핸드 및 손 교차를 요구하는 구간도 있다. 특히 곡 전체에 걸쳐 여러 번 나오는 3버튼 계단 형태의 원핸드가 처리하기 굉장히 어렵다. 또 지속노브의 비중이 높은 편이고 그 지속노브가 난해하게 꼬이므로 자칫 잘못하면 게이지가 뭉텅 깎여나갈 수 있다. FX칩이 포함된 12비트 연타 구간 역시 220이라는 빠른 BPM으로 인해 스코어링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전반적인 클리어 난이도는 19레벨 상위권으로, 특히나 회복구간이 적고 킬링패턴이 자주 등장하기 때문에 해금 난이도는 19레벨 최상위권인 Dyscontrolled Galaxy, Ghost Family Living In Graveyard 다음가는 수준이다. 대신 스코어링 난이도는 ΩDimension Phase 5의 19레벨 중 가장 많은 체인수, 다소 반복성이 있는 패턴 등으로 인해 쉬워지는 편.


EXH 손배치 포함 PUC 영상

MXM 패턴의 열화판이지만 뼈대가 되는 박자는 비슷하며 중간중간 빠른 계단이 등장한다. 또한 간간히 멜로디에 맞춰서 등장하는 16비트 BT 원핸드와 버튼낚시에 주의할 것,
[1] 업데이트 예고 이미지에 적힌 문구.[2] 흔들림 없는 《헌신》을 꿰뚫는 AI-츠마부키 레후토[3] 그것이 의 패도를 막는다면-《헌신》-츠마부키 레후토[4] 설령 모든 것을 적으로 돌린다 해도-《헌신》-츠마부키 레후토[5] 오로지, 그 사람을 위해―하늘을 배반하는-《헌신》-츠마부키 레후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