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Dream SMP는 Dream Team과 그의 친구들이 이용하던 원래 서바이벌 멀티플레이어 서버였다. 하지만 TommyInnit이 서버에 들어온 이후로 서버가 스토리가 있는 상황극 서버로 변하면서 서버가 유명해졌다.Dream이 만들고 운영하는 서바이벌 멀티 플레이 야생 서버로, 그와 친한 마인크래프트 트위치 스트리머들이나 유튜버들이 참가한다.
본인은 유튜브에 올리진 않고 트위치로만 진행한다. (다른 스트리머들은 유튜브에 올리기도 한다.) 그러나 인기가 워낙에 많아 팬들의 클립 영상, 또는 분석 영상들이 유튜브에 활발하게 올라온다.
영어를 할 줄 안다면 Dream Team Wiki를 읽는 것을 추천한다.
초반에만 해도 지인들이 모여서 노는 평범한 서버였으나 TommyInnit의 합류를 기점으로 분위기가 바뀌기 시작했고, 다른 유명 마인크래프트 스트리머들이 대규모 합류한 이후 L'Manberg라는 국가 건설을 계기로 대기업 스트리머들의 대규모 롤플레잉 컨텐츠의 무대로 탈바꿈했다. 이는 기본적인 스토리의 흐름 및 대본을 짜놓고 그 안에서 상황에 따라 임기응변하는 정도의 '상황극'의 느낌으로, 즉 이 서버에서 일어나는 굵직한 사건들은 대부분 사전에 미리 기획된 연기다. 진짜로 스트리머들끼리 서버의 영토와 아이템의 소유권을 걸고 죽일 각오로 싸우는 게 아니다(...).
2. Dream SMP 멤버
<rowcolor=#fff> 캐릭터 | 방송인 | 아이디 | 합류날짜 |
Dream DreamXD Mamacita(Girl Dream) Tom SImmons | Dream | Dream DreamXD NotDream123 | 2020년 4월 24일 |
GeorgeNotFound | GeorgeNotFound | GeorgeNotFound | 2020년 4월 24일 |
Callahan | Callahan | Callahan | 2020년 4월 24일 |
Sapnap | Sapnap | Sapnap | 2020년 4월 24일 |
Awesamdude Sam Nook | Awesamdude | awesamdude | 2020년 4월 28일 |
Ponk | DropsByPonk | Ponk | 2020년 5월 8일 |
BadBoyHalo | BadBoyHalo | BadBoyHalo | 2020년 5월 10일 |
TommyInnit | TommyInnit | TommyInnit BigManTommy | 2020년 7월 4일 |
Punz | Punz | Punz | 2020년 7월 7일 |
Tubbo | Tubbo | Tubbo | 2020년 7월 7일 |
Fundy | Fundy | Fundy ItsFundy | 2020년 7월 7일 |
Purpled | Purpled | Purpled | 2020년 7월 9일 |
Wilbur Soot Ghostbur | Wilbursoot | Wilbur Soot | 2020년 7월 12일 |
Jschlatt Glatt | Jschlatt | Jschlatt | 2020년 7월 16일 |
Skeppy | Skeppy | Skeppy | 2020년 7월 18일 |
Eret | Eret | The_Eret | 2020년 7월 19일 |
JackManifoldTV The Overseer(Other Side) The Overseer(Inbetween) | JackManifoldTV | JackManifoldTV | 2020년 8월 3일 |
Niki Nihachu | Niki Nihachu | Nihachu | 2020년 8월 6일 |
Quackity Mexican Dream | Quackity | Quackity | 2020년 8월 11일 |
Karl Jacobs | Karl Jacobs | KarlJacobs | 2020년 8월 26일 |
HBomb | HBomb94 | HBomb94 | 2020년 9월 22일 |
Technoblade | Technoblade | Technoblade | 2020년 9월 22일 |
Antfrost | Antfrost | Antfrost | 2020년 9월 23일 |
Philza | Ph1LzA | Ph1LzA | 2020년 11월 16일 |
ConnorEatsPants | ConnorEatsPants | ConnorEatsPants | 2020년 11월 16일 |
CaptainPuffy | CaptainPuffy | CaptainPuffy | 2020년 11월 16일 |
Vikkstar | Vikkstar123 | Vikkstar123 | 2020년 11월 23일 |
LazarBeam | LazarBeam | LazarCodeLazar | 2020년 11월 23일 |
Ranboo Boo | Ranboo | Ranboo | 2020년 11월 27일 |
Foolish Gamers | Foolish Gamers | FoolishG | 2021년 1월 16일 |
Hannahxxrose | Hannahxxrose | hannahxxrose | 2021년 1월 18일 |
Charlie Slimecicle | Slimecicle | Slimecicle | 2021년 1월 22일 |
Michael Mcchill | Michaelmcchill | Michaelmcchill | 2021년 5월 16일 |
Eryn Cyberonix | Erynstreams | Eryn | 2021년 10월 22일 |
TinaKitten[1] | TinaKitten | TinaKitten | 2021년 10월 23일 |
BoomerNA | BoomerNA | BoomerNA | 2021년 10월 19일 |
3. 스토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ream SMP/스토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ream SMP/스토리#|]][[Dream SMP/스토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위키의 해당 문서 내에 모든 스토리가 명확히 작성되어 있지 않기에, EvanMCGaming 이라는 유튜브 채널에서 Dream SMP의 스토리를 매우 높은 퀄리티로 정리한 영상을 올리고 있는 중이니 영어가 가능하다면 스토리를 보는데 큰 참고가 될 것이다. 다만, 영상 제작이 오래 걸리다 보니 갱신이 느려서 최근 스토리까지 도달하기에는 아직 멀었다. 현재는 시즌 2로 바뀌어 새로운 서버가 열렸다.
4. 설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ream SMP/설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ream SMP/설정#|]][[Dream SMP/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기록
6. 여담
- 한국 팬덤에서는 주로 '드셈피'로 불린다
- 서버의 스토리를 로어(lore)라고 부른다.
- 2022년 들어 서버의 활동이 줄어들기 시작했고 특히 Dream Smp의 멤버 중 하나인 유튜버 Technoblade가 사망한 후 서버는 활동이 점점 둔해지기 시작했다.
- 2022년 11월 시즌 1을 마무리하고 곧 시즌 2를 시작한다고 발표는 했지만, 아무래도 안 되겠다고 판단했는지 2023년에 서버를 그냥 종료했다. 서버 멤버들 중 불화가 생긴 경우도 있고[2], 천차만별인 시차 등으로 인한 소통 문제[3], 스토리 비중이 어느 한 쪽으로 쏠려 버리는 문제 등이 많아 이미 시즌 1부터 내부적으로는 운영이 어려운 상태였다고 멤버 여럿이 각각 밝혔다. Dream SMP에 늦게 초대된 경우(특히 L'Manberg 스토리라인이 끝난 뒤 들어온 경우) 맡을 수 있는 역할이 없었기 때문에 공기 신세가 되어 버린 사람도 있고[4] 스토리를 짰는데도 함께 진행해 줄 사람이 없거나[5] 충돌되거나 연결하기 애매한 이야기가 먼저 진행되어 버려서 사장된 사례[6][7]도 있다.
- Dream SMP의 팬덤이 인터넷상에서 유독 미움을 많이 받기도 한다. 이유는 주로 서버 멤버중에 문제가 있는 행동을 한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8], 그냥 팬덤이 오글거린다는 이유이다. 반대로 서버의 멤버들을 싸잡아서 욕하는 경우도 있다.
- Dream SMP 캐릭터나 설정 등을 일부 반영한 2차 창작물도 인기가 있다. 가장 유명한 작품으로는 Passerine[9]이 있다. 이외에도 TommyInnit's Unbeatable Method Of Avoiding Sudden Death[10], Stay Underneath My Wing[11] 등이 있다.
[1] 한국계 미국인 스트리머이다.[2] 대표적으로 Tubbo와 Ranboo가 절친이었다가 어느 순간 연을 끊어 버렸다. 서로 이외의 친구 관계는 좋게 유지한 것으로 보아 어느 한쪽이 크게 잘못한 건 아닌 모양이지만, 무슨 일이 생겼는지 짐작조차 가지 않는 상황에 팬들은 '실례이니 물어보진 않겠지만, 너무 궁금해서 미칠 것 같다'고 평했다. 심지어 Dream SMP에서 둘이 자식까지 있는(Michael이라는 아기 좀비 피글린이었다.) 부부 사이였기 때문에, 서로 언급조차 하지 않는 상황에 시즌 1 말기에는 둘의 롤플레이 스토리가 조금 부자연스러웠다.[3] 디스코드 채널별 내용 정리가 잘 안 된 문제도 있었다고 한다.[4] 대표적으로 TinaKitten. 자신의 캐릭터가 달고 있는 고양이 귀가 사실 털이 달린 뿔이라며 트위터에 악마 떡밥을 흘렸지만, 결국 흐지부지되었다. Tina는 이후 위장한 악마 스토리를 QSMP 롤플레이에 썼다.[5] Michael Mcchill은 마이클의 생일 파티 스토리를 기획하고 참여해 줄 멤버를 구했지만, 아무도 답해 주지 않아 결국 생일 파티를 혼자 진행했다.[6] Wilbur Soot는 캐릭터 Ranboo가 마지막 목숨을 잃을 사건으로 자신의 캐릭터와 Quackity의 캐릭터의 분쟁을 필두로 이야기를 짰지만, 그전에 Technoblade의 탈옥 스토리가 진행되어 Ranboo의 캐릭터가 죽어 버렸다. Wilbur는 자기가 쓴 이야기를 대신 ao3에 alt 스토리 격으로 업로드했다.[7] TommyInnit과 현실에서 어릴 적부터 친구였던 Eryn은 캐릭터 Tommy와 캐릭터 Eryn도 유년기 친구였고, Eryn이 오해로 Tommy의 트라우마를 자극해 갈등이 생긴다는 스토리를 짰다. 하지만 Tommy는 자기 캐릭터가 얽힌 스토리가 너무 크고 많아서 장기적으로 진행되는 롤플레이는 피하고 있었던지라, 유년기 친구 설정만 남고 갈등 스토리는 사장되었다.[8] 이것 중에는 오래 전에 한 행동, 해결 된 것, 그냥 오해도 많다[9] 해외 팬픽 사이트인 Ao3에 올라온 작품으로, 유명한 만큼 조회수와 댓글 수, 좋아요 수도 매우 많다. 얼마나 인기가 많은지 유튜브에 해당 소설을 애니메이션화한 영상이 올라오며 사실상 Dream smp 공식 애니메이터인 sad-ist 채널에도 애니가 올라오는 것은 물론, 해당 작품에 등장하는 스트리머들까지 passerine의 존재를 알고 있거나 몇몇은 읽어보기도 했다.[10] 기본적 스토리는 그저 평범한, 오히려 약간 개연성이 떨어지는 수준의 슈퍼히어로 개그물이지만, 마지막 챕터에서 소름 돋는 반전으로 모든 것을 설명함과 동시에 이야기를 엄청나게 슬프게 바꾸어 버렸다. 개연성 오류마저도 전부 의도된 것이었기에 마지막 챕터 이후 오히려 작가의 필력이 칭찬을 듣게 되었다. 그렇지만 '진짜 마지막 챕터인 작가의 설명을 읽어야 이해할 수 있었다'며, '이야기의 마지막 챕터까지만 읽어서는 혼란스럽기만 한데 작가의 필력이 좋은 것 같지는 않다'는 평도 있다.[11] 팬덤 내에서 유명한, SBI(TommyInnit, Technoblade, Philza, Wilbur Soot)를 주 소재로 삼는 팬픽 작가 sircantus의 작품이다. 좀비 아포칼립스물인데, 따뜻한 가족애가 좋다며 호평을 받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