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black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멤버 | 기타 | ||||||
<colcolor=#b5e51d><colbgcolor=#b5e51d> | <colcolor=#d4dafc><colbgcolor=#d4dafc> | <colcolor=#b7675b><colbgcolor=#b7675b> | <colcolor=#ED001E><colbgcolor=#b02c2c> | |||||
Dream | George | Sapnap | BadBoyHalo |
<colbgcolor=#b02c2c> BadBoyHalo | |
<nopad> | |
<colcolor=#fff> 본명 | Darryl Noveschosch (데릴 노베쇼시) |
생년월일 | 1995년 4월 2일 ([age(1995-04-02)]세) |
거주지 | |
신체 | 178cm, 58kg, 285mm |
개설 날짜 | 2012년 5월 28일 |
구독자 수 | 354만 명[기준] |
조회수 | 93,147,851회[기준] |
관련 링크 | |
1. 개요
마인크래프트 내 MunchyMC란 서버를 운영하는 어드민이자, 유튜버. 주로 드림의 영상이나 스케피의 영상에 많이 출연한다. 특히 Skeppy와는 절친이라 오랫동안 많은 영상에 함께했다. Dream이 소속된 Dream Team에 소속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들과 영상을 많이 찍어서 거의 비공식 멤버로 취급되고 있다.2. 특징
무슨 말을 하건 "Muffin"을 붙이는 특유의 화법이 특징으로, 명사로도 쓰이고 대명사로도 쓰이고 동사, 형용사로도 쓰이는 그야말로 만능어로 통한다. BadBoyHalo는 욕을 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한 유튜버기 때문에 비속어가 들어갈 자리에 주로 "Muffin"을 갖다 붙이는 편. 하필 머핀인 이유는 그냥 본인이 머핀을 좋아해서인 모양이다.[3] 본인이 욕을 안 하기 때문에 다른 유튜버들이 욕을 쓸 때도 "Language!"(말조심)이라고 주의를 주기도 한다.[4][5] TommyInnit이 Bad가 어떻게든 욕을 쓰게 하겠다고 맹세하기도 했는데, 관련 영상은 이 영상과 심지어 Bad가 욕을 쓰게 만드는데 성공했다는 이 영상이 있다.[6] [추가영상]이런 화법이나, 친한 유튜버들의 온갖 트롤링에 당하거나 할 때 보이는 큰 리액션 덕분에 Bad가 잘 흥분하는 성격이라고 오해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영어권 마인크래프트 유튜버 중 가장 유하고 다정한 축에 속해 있다. 특히 대형 합방이 낯설거나 서버 내 지인이 몇 없는 방송인들과 게임할 때 이런 성격이 많이 드러난다.[8]
영어권 마인크래프트 유튜브계에서는 남을 잘 챙겨 주는 사려 깊고 다정한 성격 덕에 믿음직스럽고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이미지가 있다. Ph1LzA와 함께 아버지 포지션이 될 때도 많다.
Skeppy와는 절친으로, Skeppy의 대부분의 영상에 항상 출연한다.
유명 마인크래프트 유튜버 Dream과도 친분이 있었다. Dream이 유튜브 스타가 되기 전 BadBoyHalo의 서버 MunchyMC에서 일했기 때문이다. 이후에 1대 1로 Minecraft Manhunt를 한 적도 있었고[11], Minecraft Manhunt 시리즈가 1대 3으로 진행되기 시작하면서 세 번째 사냥꾼으로 선정되어 Manhunt를 비롯한 추격 시리즈에서 고정적으로 출연하고 있다. 여기서도 허당끼는 여전하지만, Dream 못지 않은 지능 플레이로 사냥꾼 팀의 전략 및 브레인 담당으로 등극했다.[12]
Skeppy와 활동하면서 Skeppy에 의해 온갖 밈들이 탄생했다. 현재는 대부분 사장된 상태. 존재했던 밈들이 대부분 그를 놀리는 밈이라 한 때 유튜브 방송 제목에 "NO MEMES ALLOWED"를 강조하고 밈에 대해 극구 부인했다. 시청자들이나 서버 이용자들이 채팅, 도네이션 등으로 밈 또는 이모지[13]를 도배할 때마다 발광하는 그의 모습이 포인트. 그 밈들 중에서 닉네임에 소문자 l를 붙여 "BaldBoyHalo"로 만들어 그를 대머리로 만드는 밈은 2020년 8월, Skeppy와의 Hypixel Bedwars 내기에서 패하면서 현실화되었다.[14]
2021년 2월 이후 유튜브에 새 영상이 올라오지 않다가 11월에 CG5, HyperPotions와 함께 MUFFIN 이라는 노래를 냈다. Captain Puffy, Skeppy가 여기에 피쳐링으로 참가했고, 머핀에 대한 그의 무한한 애정을 볼 수 있다. 이 뮤직비디오는 2021년 12월 기준 채널 내 최다 조회수 영상으로 등극했다. 뮤직 비디오를 자세히 보면 피쳐링 외 다른 Dream SMP 멤버들도 볼 수 있다.[15]
Lucy(루시)라는 하얀 말티즈를 키운다. 별명은 Rat.[16]
칼 던지기 대회에서 우승한 경력이 있다. 총기 소지 면허도 있는데, 사격 대회도 우승한 전적이 있다!
그리고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해 방송용 책상 서랍에 권총을 넣어 둔다고 한다.[17][18]
Dream의 Minecraft Manhunt 콘텐츠에서는 예상치 못한 기습 공격으로 Dream을 골로 보내는 장면이 가끔 나온다. 기습 맨주먹 뒤치기[19]나 기습 엔드 수정 폭파 등이 있다.
Quackity의 국제 마인크래프트 서버 QSMP[20]에 참여하면서 악어, 양띵과 친분이 생겼다! 특히 양띵은 Bad에게 '비비(BB)'라는 별명까지 붙여 줄 정도로 친해졌다. Bad도 한국어를 조금 배워 양띵을 '누나'라고 부르기도 했다.[21]
이후 양띵을 비롯한 QSMP 친구들과 또 함께 방송하고 싶다며 QSMP에서 쓰이는 것과 비슷하게 트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번역기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Dream SMP와 QSMP에 함께 참여했던 Tubbo가 운영하는 The Realm이라는 서버에서 Dream SMP, QSMP 시절 만난 친구들과 함께 방송하고 있다.
Foolish Gamers와는 The Realm이 연속 3번째로 함께 참여한 대규모 RP 서버이다.[23] 거기다 Bad와 Foolish 둘 다 모든 RP 서버에서 동일한 캐릭터를 사용하기 때문에[24] QSMP 시기에 '오랜 시간 동안 세계를 돌아다니다 어쩌다 한 번씩 마주치는 사이'라는 설정이 생겨났다. 특히 Bad의 캐릭터는 악마 또는 저승사자, Foolish의 캐릭터는 반신(半神) 또는 신이기 때문에[25] RP 중 과거를 회상할 때면 엄청나게 오랜 세월이 흘렀다고 항상 말한다. 두 사람이 서버를 가리지 않고 투닥거리는지라 팬덤에서는 '우주를 초월한 사랑 아니고 앙숙'
물론 RP 중엔 서로 으르렁거려도 현실에선 아주 친한 친구 사이이다. Foolish가 방송을 하던 중 아버지에게 전화가 왔을 때, Foolish와 합방 중이던 Bad에게 '아들에게 좋은 친구가 돼 주어 고맙다'고 아버지가 직접 감사 인사를 했을 정도.
저승사자나 악마라는 설정 때문인지 (RP상) 식인종의 낌새를 보인다. RP 중 친구들에게 "네 다리를 뜯어먹으면 맛있을 것 같다"거나 "무인도에 고립된다면 널 먹어도 되냐" 등의 말을 자주 한다. Bad가 인외[26]의 존재임을 모르는 친구들의 굉장히 떨떠름한 반응도 일품. 뜬금없이 자기 살점은 닭고기 맛이 난다고 언급해서 친구들을 당황시키기도 한다. Foolish는 Bad가 이럴 때마다 꼴값 떤다며 짜증만 내지만, 주변의 필멸자들은 대부분 기겁한다.
3. 어록
You Muffin Heads!!
이 머핀 대가리들아!!
Skeppy와 Dream의 영상에 항상 나오는 그의 명대사.
이 머핀 대가리들아!!
Skeppy와 Dream의 영상에 항상 나오는 그의 명대사.
Language!
말조심!
멤버들이 욕이나 나쁜 말을 사용할 때 자주 외친다.
말조심!
멤버들이 욕이나 나쁜 말을 사용할 때 자주 외친다.
Oh my goodness!!!
오우 안돼!!!
Muffin, Language 와 함께 그가 자주 내뱉는 감탄사이자 명대사.
오우 안돼!!!
Muffin, Language 와 함께 그가 자주 내뱉는 감탄사이자 명대사.
Heal pool!
회복구역!
배드워즈 중 가장 좋아하는 업그레이드인 회복 구역을 해금할 때.
회복구역!
배드워즈 중 가장 좋아하는 업그레이드인 회복 구역을 해금할 때.
Stay on him.
(Dream을) 놓치지 마.
Minecraft Manhunt나 Hitman에서 밥먹듯이 하는 멘트. 물론 Dream의 넘사벽 실력으로 인해 하나마나 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Dream을) 놓치지 마.
Minecraft Manhunt나 Hitman에서 밥먹듯이 하는 멘트. 물론 Dream의 넘사벽 실력으로 인해 하나마나 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기준] 2024년 4월 19일[기준] 2024년 4월 19일[3] 최근에는 'fudge'도 자주 쓴다. 오히려 머핀보다 더 많이 쓰게 된 듯하다.[4] 이것 역시 BadBoyHalo의 유행어로 자리잡았다.[5] 남 방송에선 아무 말 안 하지만 자기 방송에선 주의를 준다. Bad가 어릴 때 부모님이 비속어를 쓰는 유튜버 시청을 금지하셨는데, 자기처럼 엄격한 부모님을 둔 아이들도 눈치 보지 않고 자기 방송을 편히 볼 수 있게 해 주고 싶어서라고 한다. 욕을 자주 하는 친구들도 이를 존중해서 Bad와 합방할 때만큼은 욕을 자제한다.[6] 사실 욕이 아닌 글자를 발음하게 해서 강제로 욕을 쓰게 하는 셈이였다.[추가영상] 이 영상도 있다.[8] Skeppy나 Foolish Gamers랑 마인크래프트를 할 때는 뭔 주제든 투닥이고 싸우기 바쁘지만, 자원이 없거나 해서 쩔쩔매는 사람에게 도움을 주려고 할 때는 힐링된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훈훈한 분위기가 형성된다.[9] 사실 이건 본인들이 미는 것도 어느 정도 있는데, 특히 Skeppy는 발렌타인 시즌만 되면 항상 Bad에게 발렌타인이 되어 달라고 조르는 영상을 올린다.[10] Dream SMP 롤플레이에서는 캐릭터들끼리 소울메이트였기 때문에 연인 설정이 거의 기정사실화 수준이었다.[11] 이 게임은 엔더 드래곤에 의해 위로 띄워진 Dream이 물 낙법에 실패해서 Bad가 이겼다.[12] Dream을 지속적으로 추적하는 전략을 세우거나, 엔드 스폰 바로 위에 용암을 깔아놓아 Dream을 죽이거나, 기습 공격으로 Dream의 허를 찌르거나, 엔드 수정으로 엔더 드래곤을 회복시키는 전략을 내놓거나, 기습적으로 엔드 수정을 설치해 Dream을 사살하는 등 시리즈 내에서 Bad가 은근 활약하는 부분이 많다.[13] 도네이션 대사에 나레이션이 붙는데, 이모지의 이름도 일일이 읽는지라 방송 내내 나레이션 목소리가 나오는 카오스한 상황이 나온다. 그 중 압권은 이름이 매우 긴 🔰나 🔍, 🔎.[14] 대신 머리를 다 밀면 Skeppy가 1만 달러를 도네이션하기로 했고, 실제로 1만 달러를 도네해서 약속을 지켰다.[15] 사실 뮤비 흐름상 멤버들보다는 Dream SMP의 RP 캐릭터들이라고 보는 게 더 정확할 것이다. Technoblade에게 죽빵 맞는 Tubbo[16] Lucy라고도 부르고 Rat이라고도 부르는데, 덕분에 Quackity는 Rat이 본명인 걸로 오해하기도 했다.[17] 팬덤에서는 Bad의 집에 강도가 들어도 오히려 '이 머핀이 우리 집에서 뭐하는 거지?'라는 말이 들려오는 것을 마지막으로 강도가 의식을 잃을 것 같다며 농담 반, 진담 반으로 말한다.[18] 실제로 미국은 주거침입을 생명에 위협을 가한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총을 쏘아도 법적 제재를 받지 않는다.[19] 당시 Dream의 남은 HP가 1이었기 때문에 그대로 즉사했다.[20] 사실 Dream SMP를 포함해서 마크 서버는 대체로 다양한 국적의 멤버들이 참여하기 때문에, 엄밀히 따지면 대부분의 마크 서버가 국제 서버이다. 하지만 QSMP 이전에는 모두 단일 언어(주로 영어)를 사용했고, QSMP는 최초로 다국어 번역 기능을 지원했기 때문에 '국제' 칭호가 붙는다.[21] 배드가 QSMP의 한국인들을 잘 챙겨 주어서, 악어와 양띵이 유튜브에 업로드한 QSMP 영상 댓글창을 보면 '왜 이름이 Bad냐, 배드보이 말고 굿보이라고 불러야 하는 것 아니냐'는 댓글이 수두룩하다.[*] 2025년 1월 기준[23] 처음은 Dream SMP, 그 다음엔 QSMP, 그 다음은 The Realm.[24] 대부분의 스트리머들은 타 서버의 본인 캐릭터와 이름만 같고 외형, 성격 등은 약간씩 다른 캐릭터라는 설정을 잡는다. RP 서버들을 평행우주 취급하는 것. 그런데 Bad와 Foolish는 각 서버를 오랜 시간이 지났을 뿐인 동일 시간선상으로 취급한다. 물론 남의 RP에까지 영향을 주지는 않는 선에서 미는 설정이다.[25] 둘 다 일부러 자신의 명칭 언급을 피하는 듯하다.[26] 수인, 요정 등 인간에 근접한 종족은 인외에 포함되지 않는다. 해외 쪽 마인크래프트 RP에서는 캐릭터들의 종족이 대부분 스킨 디자인을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완전한 인간은 몇 없다. 그렇기 때문에 수인이나 요정 등의 경우 신체 조건으로 인한 특성, 습성은 가지고 있으나, 특이취급을 받는 것은 신이나 천사 같은 천상의 존재와 연이 있다고 언급되는 캐릭터들뿐이다. 천계/마계와 연이 있음을 보인 Bad나 죽음의 천사 Ph1LzA가 대표적인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