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주파수 도약}}}에 대한 내용은 [[주파수 도약]]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주파수 도약#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주파수 도약#|]]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주파수 도약: }}}[[주파수 도약]]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주파수 도약#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주파수 도약#|]]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
Dual Tone Multiple Frequency. 이중 톤 다중 주파수(약어로 DTMF라고 하여 보통 약어가 더 자주 쓰인다.)는 유선전화기에서 사용되던 신호 방식[1]으로 흔히 유선 전화에서 들을 수 있는 다이얼 소리가 바로 DTMF다.이 DTMF를 쓰는데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번째로 저주파와 고주파의 톤을 혼합하는 수단이기 때문에 최소한의 회로로 16개의 신호(단순 전화 패드라면 12개)를 전부 조합할 수 있다는 점, 두번째로 인간의 성대가 따라하지 못하게[2] 동시에 저주파와 고주파를 병행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다만 혼자서만 따라 하지 못할 뿐이지, 최소 두 명 이상이 함께하거나 몽골의 창법인 흐미처럼 한 사람이 동시에 두 대역의 소리를 낼 수 있다면 가능하긴 하다. #
구형 유선전화기에서 번호를 누름과 동시에 수화기에 대고 큰 소리로 떠들면 정확한 번호를 입력했음에도 DTMF음을 인식하지 못해 번호 인식이 불가능했다. 반대로 유선전화기의 수화기에다 대고 DTMF음을 재생하면[3] 번호를 누른 것으로 인식해 전화가 걸렸다. [4] 이 원리를 이용한 것이 전화선 포트가 없는 공중전화를 위한 휴대용 어쿠스틱 커플러이다.[5]
과거에는 전화국간의 통신에도 DTMF가 쓰였지만, 모두 SS7로 교체되었다. 현재는 유선전화기와 전화국간의 통신을 제외하고는 신호 방식으로서 DTMF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휴대전화의 경우에는 아직도 숫자 버튼을 누르면 DTMF 소리가 나지만 전화 걸 때 다이얼링 번호 인식으로는 기능하지 않고 그냥 사용자의 버튼 입력에 피드백을 주는 역할을 하는 UI음에 불과하다. 단, ARS에서는 어떤 버튼을 눌렀는지 인식하는 신호 기능을 한다.[6]
2. 신호의 종류
크게 전화기의 숫자 패드를 누를 때 나는 소리와 이외의 소리(통화중, 통화 대기, 통화 끊김)로 구분할 수 있다.Hz | 1209Hz | 1336Hz | 1477Hz | 1633Hz |
<colbgcolor=#f5f5f5,#2d2f34>697Hz | 1 | ABC 2 | DEF 3 | A |
770Hz | GHI 4 | JKL 5 | MNO 6 | B |
852Hz | PQRS 7 | TUV 8 | WXYZ 9 | C |
941Hz | * | oper 0 | # | D |
신호음 종류 | 주파수[Hz] | 단속비[cadence] | 출력[dBm] |
<colbgcolor=#f5f5f5,#2d2f34>발신음(Dial Tone) | 350 + 440 | 연속 | -10 ±5 |
호출음(Ringback) | 440 + 480 | 1초속 ~ 2초단 | -15 ±5 |
화중음(Busy Signal) | 480 + 620 | 0.5초속 ~ 0.5초단 | -20 ±5 |
중계선 폭주음 (Reorder Tone/Toll Congestion) | 480 + 620 | 0.3초속 ~ 0.2초단 | -20 ±5 |
대기음 | 350 + 440 | 0.25초속 ~ 0.25초단 ~ 0.25초속 ~ 3.25초단 | -10 ±5 |
보류음(Holding Tone) | 440 + 480 350 + 440 | 0.5초속 ~ 0.5초단 ~ 0.5초속 ~ 2.5초단 | -10 ±5 |
가로채기음 | 350 + 440 | 0.5초속 ~ 0.25초단 ~ 0.125초속 ~ 1.5초단 | -10 ±5 |
특수발신음 | 392/494/587 350 + 440 | "0.5초속 ~ 0.5초속 ~ 1.5초속"을 2회 후 발신음 | -10 ±5 |
확인음 | 392/494/587 | 0.5초속 ~ 0.5초속 ~ 1.5초속 | -10 ±5 |
송·수화기 방치음 | 1400 + 2060 + 2450 + 2600 | 0.1초속 ~ 0.1초단 | 0 ±2 |
3. 참고
- http://www.mykit.com/kor/ele/dtmf.htm
- http://blog.naver.com/shypoo8/220255708680
- http://blog.naver.com/shypoo8/140075184823
- http://blog.naver.com/tyjeoung/149896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