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5 17:45:31

DNG


🖼️ 그래픽 포맷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555>비트맵<colbgcolor=#555>손실 압축JPEGAVIF▶Lα · BPG▶α · FLIF▶α · HEIF · WebP▶α ·RAW · DDS▶Lα · PSD▶Lα
무손실
압축
APNG▶α · DNG · EXRα · GIF · PCX · PNGα · RGBEα · TGAα · TIFF
무손실 무압축BMPα
벡터AI · CDR · SVG
▶: 애니메이션 지원 / L: 다중 레이어 지원 / α: 알파 채널(투명도) 지원
관련 틀: 그래픽 · 오디오 · 비디오
}}}}}}}}}

1. 개요2. 필요성
2.1. CinemaDNG
3. 특징
3.1. 단점
4. 관련 도구
4.1. DNG SDK4.2. Adobe DNG Converter

1. 개요

Adobe DNG (Adobe Digital NeGative)는 어도비가 개발한 TIFF 컨테이너를 기반으로 한 RAW 미디어 포맷이다. 확장자는 *.dng 이다.

2. 필요성

2000년대 필름 촬영을 대체하는 디지털 영상 장비가 뜨기 시작하면서 업계 전문가를 위한 RAW 촬영이 큰 화두로 떠올랐다. RAW 포맷은 영상기기 제조사 별로 독자적인 포맷(CR2, NRW, ARW 등)을 쓰고 각 제조사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통해서만 JPEG 등 상용 이미지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는 RAW 포맷의 파편화를 야기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영상 관련 소프트웨어에서 지배적인 점유율을 지닌 어도비는 모든 영상기기에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RAW 포맷인 Adobe DNG를 개발했다.

2010년대부터 스마트폰 카메라가 개선되면서 핸드폰도 RAW 촬영 및 저장 기능을 탑재하기 시작했다. 전문가용 카메라처럼 독자적인 RAW 파일을 사용하는 회사도 있었지만 모바일 OS를 개발하는 구글Apple 등 모바일 기기 진영에서는 공통적으로 DNG 포맷을 RAW 포맷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단 Apple의 경우는 DNG포맷을 그대로 쓰되 'Apple ProRAW'라는 별도의 프로필 및 기술이 적용된 형식을 띄고 있다.

2.1. CinemaDNG

시네마 카메라들의 RAW를 저장하는 포맷. 줄여서 cDNG 라 부른다. DNG 와 마찬가지로 센서 후처리가 가해지지 않은 RAW를 저장하는 범용 영상 RAW 포맷이나 규격 자체는 DNG표준에 영상매체에서 사용하는 몇가지 정보 (프레임레이트, 타임코드 등)을 규격화 한게 전부라 DNG파일을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면 cDNG파일을 읽는것도 가능하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cDNG는 MXF컨테이너 안에 DNG Payload를 담거나 개별 프레임을 디렉터리에 저장하는 방식 모두 표준이다. 그러나 MXF 먹싱 없이 디렉터리에 저장하는 방식이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기에 이 경우 24프레임으로 1분을 촬영하면 각 푸티지 디렉터리 안에 최소 1440개의 파일이 저장되기 때문에 관리가 불편하다.

3. 특징

3.1. 단점

RAW 파일 규격을 DNG로 통일하자는 본래 목적을 전혀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4. 관련 도구

4.1. DNG SDK

Digital Negative (DNG)
Adobe에서 제공하는 DNG SDK. C++로 작성되어 있다.

4.2. Adobe DNG Converter

카메라 제조사들의 전용 RAW 파일들을 DNG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는 도구.
압축/무압축을 선택할 수 있으며 해당 과정은 베이어 패턴을 단순 복사하는 특성상 센서 데이터의 손실은 없다. 하지만 원한다면 손실 압축이나 RAW 리사이징을 할 수 있다.
다만 원본 RAW파일이 손실압축으로 되어 있는 경우 변환 과정에서 추가적인 손실이나 용량이 증가한다.

이 외에도 DNG파일 내에 변환 전의 원본 파일을 포함시킬 수 있는 기능도 있다.

다만 새로운 카메라가 새로운 RAW 포맷을 만들 때마다 DNG Conveter 도 별도로 신형 RAW 포맷 추가 지원을 해야 한다. 그래도 어도비가 부지런히 RAW 지원 목록을 채워주고 있긴 하다. 보통 Camera RAW 플러그인이 업데이트 되면 같이 지원이 된다고 봐도 무방하다.
[1] 어도비 라이트룸 모바일 버전에서 HDR 촬영을 통해 16비트 부동소수점 색상의 DNG RAW 파일을 얻을 수 있다.[2] 속칭 "컬러 사이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