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8-22 13:37:06

BPM: BULLETS PER MINUTE/보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BPM: BULLETS PER MINUTE
파일:BPM_Game_logo.png
BPM: BULLETS PER MINUTE
<colcolor=#fff> 게임 진행 <colbgcolor=#fff,#333><colcolor=#000,#fff> 게임 방법 · 지역 · · 제단 · 챌린지
아이템 목록 무기 · 어빌리티 · 아이템 · 상자 · 스탯
발키리 & 몬스터 발키리 · 몬스터 · 보스


1. 개요2. 미니보스3. 메인보스

[clearfix]

1. 개요

BPM: BULLETS PER MINUTE[1]에 등장하는 미니보스와 메인보스들의 등장 지역, 체력, 공격 패턴을 서술한다.

보스들의 체력 중 빨간색 글씨는 헬리쉬 난이도에만 적용되는 체력이며, 나머지 난이도에서는 그 앞의 체력이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헬리쉬 난이도에서의 체력은 일반 체력의 150%이다.
보스를 포함한 모든 적들의 공격의 피해량은 프랙티스 난이도에서는 절반, 헬리쉬 난이도에서는 2배가 된다.[2] 모든 적들의 대부분의 공격은 피해량이 25이며, 25가 아닌 공격에 한해 피해량을 별도로 기록하였다.

또한 초중반에 나온 대부분의 보스들은 헬하임 I의 일반 방에서 약화된 버전으로 등장할 수 있다. 일부 극초반 미니보스들은 스바탈프하임에서도 등장한다.

2. 미니보스

미니보스는 지정된 지역의 특정 방에서 반드시 등장한다. 그러나 이 방은 미니맵 상에 별도의 아이콘으로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언제 마주하게 될지 알 수 없다. 애초에 반드시 만나서 처치해야 다음 층으로 넘어갈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일반적으로 미니보스 방은 깊숙한 곳에 있기 때문에 출발지점으로부터 멀어졌다면 곧 등장할 수 있음에 대비하자. 미니보스 방에는 더 깊은 곳으로 연결되는 방이 없다.

또한 미니보스는 각각에 지정된 지역의 2개 층(I, II) 중 랜덤으로 한 곳에 한 명씩 한 번씩만 등장한다.[3] 예를 들어 Big Bat이 아스가르드 I에 등장했다면, 아스가르드 II에는 무조건 Igneous Red가 출현한다.
<colbgcolor=#5e0321> Big Bat
대왕박쥐
파일:BPMBigBat.png
<colcolor=#d4b08a> 등장지역 아스가르드 I, II 중 한 곳
체력 800 / 1200
미니보스 방에 진입하면 천장에 매달려 있거나 제자리에서 날고 있는 상태로 마주하게 된다.
플레이어를 인식하면 시야를 언제나 플레이어에게 고정하기 때문에 언제든지 정면으로 날아올 투사체에 대비하여 거리를 충분히 벌려야 한다.
대신 대왕박쥐는 무빙을 안 치기 때문에 잡기는 쉽다.
대왕 박쥐는 맨 처음 공격을 시작할 때 리듬바에 닷지 인디케이터가 생기며, 이후 공격은 보이지 않는다.

공격 패턴
<colbgcolor=#5e0321> Igneous Red
불타는 레드
파일:BPMIgneousRed.png
<colcolor=#d4b08a> 등장지역 아스가르드 I, II 중 나머지 한 곳
체력 500 / 750
웬만해선 처음으로 보게 되는 인간형 적이다.[4] 치명타 판정 역시 머리에 있다.

공격 패턴
<colbgcolor=#5e0321> Corrupted Heiðrún
타락한 헤이드룬
파일:BPMCorruptedHeidrun.png
<colcolor=#d4b08a> 등장지역 아스가르드 크립트, 헬헤임 II
체력 1000 / 1500
본디 헤이드룬이 발할라에서 꿀술을 생산하는 산양 혹은 염소였듯, 염소 뿔이 달린 투구를 쓰고 있다.
기본적인 등장 지역은 아스가르드 크립트이지만, 헬헤임 II 최후의 전투에서 1라운드에 확률적으로 또 등장하기도 한다.

공격 패턴
<colbgcolor=#5e0321> Kraken
크라켄
파일:BPMKraken.png
<colcolor=#d4b08a> 등장지역 바나헤임 I, II 중 한 곳
체력 2000 / 3000
크라켄이 등장하는 미니보스 방은 발목 높이로 물이 차 있다. 이동에는 지장이 없지만, 바닥을 통한 공격이 잘 안 보일 수 있으니 크라켄의 무빙을 항상 주시하자.
특이사항으로, 적의 수를 2배로 늘리는 매니아 시련이 적용되지 않으며, 처치해도 열쇠만 주고 클리어 상자는 주지 않는다.

공격 패턴
<colbgcolor=#5e0321> Wild Mage
광폭한 마법사
파일:BPMWildMage.png
<colcolor=#d4b08a> 등장지역 바나헤임 I, II 중 나머지 한 곳
체력 2400 / 3600
사슴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뿔이 달린 투구를 쓰고 있으며, 공중에 떠다닌다.

공격 패턴
<colbgcolor=#5e0321> Minotaur
미노타우로스
파일:BPMMinotaur.png
<colcolor=#d4b08a> 등장지역 스바르트알파헤임 I, II 중 한 곳
체력 3400 / 5100
흔히 아는 그 미노타우로스 비주얼의 적이다. 워낙 배경이 붉어서 잘 못 알아볼 수도 있지만.

공격 패턴
<colbgcolor=#5e0321> Black Knight
암흑 기사
파일:BPMBlackKnight.png
<colcolor=#d4b08a> 등장지역 스바르트알파헤임 I, II 중 나머지 한 곳
체력 4800 / 7200
공격 패턴이 하나뿐이라 후반부 미니보스치고는 오히려 대응하기 쉬운 편이다.

공격 패턴
<colbgcolor=#5e0321> Servant of Darkness
암흑의 하수인
파일:BPMServantOfDarkness.png
<colcolor=#d4b08a> 등장지역 헬헤임 I
체력 4800 / 7200
사무라이를 연상케 하는 일본식 갑옷을 입고 있다. 이 때문에 유저들 사이에서의 별칭 또한 사무라이.

공격 패턴

3. 메인보스

메인보스 또한 지정된 지역의 특정 방에서 등장한다. 메인보스의 방은 해골 아이콘으로 표시되며, 출입문이 격하게 반짝거리기 때문에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다.
미니보스와 달리, 메인보스는 처치하지 않으면 다음 층으로 이동하는 포탈이 열리지 않아 진행이 불가능하다.

또한 최종보스인 니드호그를 제외한 메인보스들은 일정 확률로 난이도를 올리는 변형이 적용된다. 변형의 목록은 아래와 같다.
낮은 확률로 여러 개의 변형이 적용되며, 정말 운이 없으면 너댓 개까지도 걸린다. 일반적으로 선택한 난이도가 높을수록 변형이 걸릴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헬리시 난이도라면 기본적으로 하나씩은 무조건 걸린다고 생각하는 게 편하며, 2개 이상이 적용되는 경우도 의외로 많다.
동일 효과가 있는 변형이 동시 적용되면, 그 수치는 곱연산된다.[8]
<rowcolor=#fff> 원문 명칭 명칭 해석 설명
<colbgcolor=#5e0321><colcolor=#fff> Burning <colbgcolor=#d4b08a,#000><colcolor=#000,#d4b08a> 불타는 보스의 주변에 화염 오라가 생기며, 지나치게 근접하면 피해를 입는다.
Champion 챔피언 보스의 체력이 50% 증가한다.
Cloned 쌍둥이 동일 보스가 두 명 등장한다. 각각이 체력을 반씩 나눠 가지며, 둘 다 처치해야 한다.
Crazed 광폭한 보스의 행동 속도가 2배로 빨라진다.
Dwarf 난쟁이 보스의 몸이 작아지고 이동 속도가 빨라진다. 체력은 변동 없음.
Electric 번개 보스의 주변에 전기장이 형성되어 주기적으로 번개가 내리친다. 지면에 하얀 점으로 위치가 표시된다.
Giant 거대한 보스의 몸이 커지고 체력이 2배로 증가한다.
Hidden 투명한 보스가 투명해지는 대신, 보스 주변에 일렁이는 효과가 나타난다. 체력은 30% 감소한다.
Lethal 치명적인 보스의 공격력이 상승하며 특수 패턴을 훨씬 자주 사용한다.
Poisonous 맹독 보스의 주변에 검은 오라가 생기며, 피격 시 추가 지속 피해를 입는다.
Vengeful 복수의 보스를 공격할 때마다 보스가 플레이어를 향해 탄막을 발사한다.

어떤 변형이 적용되었는지는 보스 방에 들어가면 클로즈업과 함께 보스의 이름을 띄워줄 때 이름 앞에 적힌 것으로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무것도 없는 드라우그는 그냥 DRAUGR라고만 뜨고, 난쟁이 챔피언 드라우그는 DWARF CHAMPION DRAUGR라고 뜬다.[9]

메인보스의 체력을 모두 없애면 보스가 기절 상태로 들어가며 박자 인디케이터가 없어진다. 이 상태에서는 박자를 무시하고 사격할 수 있으며, 보스를 때릴 때마다 일렉기타와 드럼이 한 음씩 해당 지역의 BGM에 어울리는 피날레를 연주한다.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다섯 발에 걸쳐 피날레를 연주한다.[10] 피날레 연주가 끝나면 박자 인디케이터가 다시 활성화되며 포탈이 열린다.
<colbgcolor=#5e0321> Draugr
드라우그
파일:BPMDraugr.jpg
<colcolor=#d4b08a> 등장지역 아스가르드 I, 헬헤임 I·II
체력 3000 / 4500
처음으로 마주하게 되는 메인보스이지만, 모든 메인보스를 통틀어 최종보스와 함께 유이하게 날아다니는 메인보스 이다. 때문에 첫 보스치고는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한 패턴을 종료할 때마다 플레이어를 스쳐 지나가며 빠르게 날아간다. 불타는 변형이 적용된 것이 아니라면 스쳐 지나가는 것으로 인한 피해는 없다.

헬헤임 I의 일반 방에서 낮은 확률로 등장하며, 헬헤임 II 최후의 전투에서 1라운드에 반드시 등장하는 적이다.

공격 패턴
<colbgcolor=#5e0321> Ymir
이미르
파일:BPMYmir.png
<colcolor=#d4b08a> 등장지역 아스가르드 II, 헬헤임 I·II
체력 3600 / 5400
키가 상당해 히트박스가 상당히 큰 메인보스이다. 거기다 걸어다니며 이동해 맞히기도 쉬운 편.
대신 체력이 뒤따라오는 두 보스들보다도 높으며, 공격들이 모두 유도 패턴이라 회피로 인한 딜로스를 수시로 유발한다.

헬헤임 I의 일반 방에서 낮은 확률로 등장하며, 헬헤임 II 최후의 전투에서 2라운드에 반드시 등장하는 적이다.

공격 패턴
<colbgcolor=#5e0321> Fafnir
파프니르
파일:BPMFafnir.png
<colcolor=#d4b08a> 등장지역 아스가르드 C
체력 2800 / 4200
OVERDRIVE UPDATE로 추가된 아스가르드 크립트에서 등장하는 메인보스. 범위 공격을 많이 활용한다.

공격 패턴
<colbgcolor=#5e0321> Vétt
베트
파일:BPMVett.png
<colcolor=#d4b08a> 등장지역 바나헤임 I, 헬헤임 I
체력 3600 / 5400
악기를 둘러메고 춤을 추는 듯한 모습의 메인보스. 체력이 높은 편이지만 몸이 뚱뚱해 수평 히트박스가 넓고, 때문에 맞히기 쉽다.
전체적으로 투사체형 공격이기 때문에 멀리 있으면 장땡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마법진이 걸렸을 때 너무 멀리 있으면 아무리 대시를 써서 들어가려고 해도 한 대 피격 확정이니 거리는 적당히 둬야 한다.

헬헤임 I의 일반 방에서 낮은 확률로 등장한다.

공격 패턴
<colbgcolor=#5e0321> Gullveig
굴베이그
파일:BPMGullveig.png
<colcolor=#d4b08a> 등장지역 바나헤임 II, 헬헤임 I
체력 3200 / 4800
이 게임에서 매우 까다로운 보스. 최종보스인 니드호그보다 상대하기 더 어렵게 느끼는 사람이 많다. 스팀 커뮤니티에서도 가장 많이 구설수에 오르는 보스.
체력이 바로 앞의 베트보다 조금 낮아져서 잡기 쉽겠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몸이 매우 얇아서 공격을 맞추기가 어렵고 플레이어를 좁은 범위에 가두고 공격하기 때문에 피하기도 까다롭다. [15]
대신 굴베이그는 공격 패턴 특성상 움직임이 매우 적기 때문에 이 점을 살려 공격해야 한다.

헬헤임 I의 일반 방에서 낮은 확률로 등장한다.

공격 패턴
<colbgcolor=#5e0321> Alvis
알비스
파일:BPMAlvis.png
<colcolor=#d4b08a> 등장지역 스바르트알파헤임 I
체력 4000 / 6000
스바르트알파헤임에 등장하는 메인보스들은 대체적으로 좌우 히트박스가 넓어 맞히기 쉽다. 베트와 거의 비슷하지만, 당연히 체력은 이쪽이 더 높기 때문에 잡는 데에는 더 오래 걸린다.

공격 패턴
<colbgcolor=#5e0321> Mistcalf
미스트칼프
파일:BPMMistcalf.png
<colcolor=#d4b08a> 등장지역 스바르트알파헤임 II
체력 6500 / 9750
공격 패턴의 난이도를 버리고 고체력을 취한 탱커형 보스이다. 양손에 채찍을 하나씩 들고 있으며, 이 쌍채찍을 이용한 공격이 주 패턴이다.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거인들이 만든 진흙 거인인 모쿠르칼피 (Mokkurkalfi) 의 또다른 이름인 안개 송아지 (Mist calf) 에서 따온것으로 보인다.

공격 패턴
<colbgcolor=#5e0321> Surt
수르트
파일:BPMSurt.png
<colcolor=#d4b08a> 등장지역 헬헤임 I
체력 7500 / 11250
최종보스 니드호그를 만나기 전 마지막으로 만나는 메인보스. 양손에 도리깨를 하나씩 들고 있다.
전체적으로 이전의 보스들이 쓰던 공격 패턴을 거의 그대로 가져왔기 때문에 높은 체력만 빠르게 갈아버릴 수 있다면 오히려 쉽다.
UI 상단의 체력 바를 보면 절반을 기준으로 나눠져 있으며, 체력의 절반(3750(5625))을 잃으면 전반전에서 후반전으로 넘어간다.

전반전 공격 패턴
후반전 공격 패턴 후반전에 돌입하게 되면 몸이 거대해지며, 도리깨를 떨어뜨린다.
<colbgcolor=#5e0321> Nidhogg
니드호그
파일:BPMNidhogg.png
<colcolor=#d4b08a> 등장지역 헬헤임 II
체력 10000 / 15000
최후의 격전지로 가면, 정면에 니드호그가 대기하고 있다. 그러나 니드호그는 플레이어를 공격하지 않고, 플레이어 또한 니드호그를 공격할 수 없다.[18]
대신 그 앞에는 그동안 도전의 방에서 봤던 레버가 있으며, 이 레버를 세 번 당겨 3라운드의 전투를 먼저 완료해야 한다.

1라운드 조합 각 라운드별로 두 조합 중 랜덤으로 하나가 등장한다. 볼드체는 기존에 등장했던 메인보스.
2라운드 조합
3라운드 조합
3라운드의 사전 전투를 마치면 본격적으로 니드호그와의 전투가 시작된다.
니드호그 역시 수르트처럼 체력의 절반(5000(7500))을 잃으면 후반전으로 넘어간다.

전반전 공격 패턴 전반전 중에는 니드호그가 쉼없이 날아다닌다.
후반전 공격 패턴 후반전에 돌입하게 되면 니드호그가 부상을 입고 땅에 내려와 앉으며, 이 때부터 니드호그는 움직이지 않는 고정 표적이 된다.


[1] 이하 BPM이라 서술[2] 단, 처음부터 체력 개념이 없는 Odr와 Sanngriðr, 코인의 수가 곧 체력인 Herfjötur에게는 배수가 적용되지 않는다.[3] 헬하임은 예외로, 헬하임 II는 최후의 전투만을 위해 설계된 곳이기 때문에 미니보스 방이 없다.[4] 하드~헬리쉬 난이도에서는 이지에서 후반에나 나오던 적들이 초반부터 나오기 때문에 아닐 수도 있다.[5] 반드시 타이밍 맞춰 점프해야 하는 건 아니고, 이미 점프한 상태이거나 비행 중이라면 알아서 피해진다.[6] 파일:BPMKrakling.png[7] 애초에 아스가르드 크립트가 OVERDRIVE UPDATE로 나중에 추가된 스테이지이다.[8] 예를 들어 거대한 챔피언 보스는 몸이 커지고 체력이 3배로 증가한다. 쌍둥이 챔피언의 경우, 각각 75%씩의 체력을 가지고 시작한다.[9] 너무 많이 적용되면 인트로 표기에서 일부가 나오지 않는다. "복수의 광폭한 챔피언 쌍둥이 난쟁이 이미르"(...)가 VENGEFUL CHAMPION YMIR라고만 표시됐다는 제보가 있다.[10] 예외적으로 스바르트알파헤임 I에서는 여섯 발, 헬헤임 II에서는 아홉 발이다.[11] 첫 번째 장벽은 눈에 보이게 나타나지만, 두 번째부터는 안 보인다.[12] 항상 공격 직전 플레이어의 좌측이나 우측에 생성이 된다.[13] 대시가 없어도 이동속도가 충분하다면 인디케이터 방향으로 걸어서 피할 수도 있다.[14] 발키리 Odr는 활강 패시브 때문에 공중에선 피하기가 힘들다.[15] 굴베이그의 맵 가장자리가 낭떠러지이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16] 비행 상태이거나 트리플 점프 혹은 하이 점프가 가능하다면 머리 위로 쏘는 것도 점프로 피할 수 있다.[17] 보스의 키가 크지 않기 때문에 더블 점프로 피할 수 있다.[18] 무기를 발사할 순 있지만 니드호그가 반응하지 않으며, 피해도 가해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