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2:09:13

Annihilate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사운드 볼텍스 수록곡}}}에 대한 내용은 [[侍Annihilate!!]]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侍Annihilate!!#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侍Annihilate!!#|]]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사운드 볼텍스 수록곡: }}}[[侍Annihilate!!]]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侍Annihilate!!#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侍Annihilate!!#|]]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튜토리얼 Corrupted · Chronos · Milky Ways · Logic Gatekeeper · Long Live The New Fresh
낙원 New Game
The Art of War · Termination Shock · Sevcon · Cascade · Barracuda
화산 Dubwoofer Substep · Cheat Codes · Clash · Lycanthropy
공장 Cool Friends · The Lunar Whale · Spectra · Unlocked · Close To Me
Into The Zone · Vindicate Me · Try This · Final Boss · Annihilate · Till It's Over
로스트 챕터 Airborne Robots · Interlaced · Last Tile 海底撈月 · Born Survivor · Spider Dance
엑스트라 기본 해금 Creatures Ov Deception
대시 횟수 Legacy · Wicked · Deadlocked
구조 횟수 First Crush · Yokuman Stage · Granite
도전 완료 횟수 Paper Dolls · Commando Steve · Houston · Lightspeed
보유 비트포인트 HYPE · Tokyo Skies · Dance Of The Incognizant · FOX · Core · Crystal Tokyo · On The Run · Mortal Kombat · Katana Blaster
삽질 기사 Strike the Earth! · Flowers of Antimony · La Danse Macabre · In the Halls of the Usurper }}}}}}}}}


1. 개요2. 소개3. 구간별 공략
3.1. 하드코어 모드
4. 여담

1. 개요

이전 곡 현재 곡 다음 곡
보스전
Final Boss
Nitro Fun
보스전
Annihilate (Original Mix)
Destroid
보스전
Till It's Over
Tristam


Just Shapes & Beats의 수록곡이자 보스 스테이지.
시작부터 비명을 연상시키는 기괴한 스크래치가 들려오고얼핏 들어보면 쿠파주니어가 연상된다 가사 내용도 섬뜩한데다가 드롭 구간도 아비규환 그 자체인, 상당히 뒤틀려 있지만 매우 강렬한 존재감을 발산하는 독특한 곡.
참고로 시작 구간의 스크래치는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에 등장하는 대요정의 웃음소리를 샘플링한 것이라고. 원본도 상당히 소름끼친다. # 이 영상의 40초에서 원본을 들을수 있다.

2. 소개

파일:JS&B_7_1.png
▲ 보스 게임플레이
▲ 원곡 Excision & Far Too Loud - Destroid 8 Annihilate


Final Boss를 클리어 하면 해금되는 보스전. 노래 제목은 전멸, 말살을 의미한다. 장르는 컴플렉스트로. 주인공이 정화하려는 마지막 삼각형을[1] 자기 머리에 박고 형태가 변화한 모습이다. [2]진행하면 할수록 형태가 기괴해진다.
마지막 보스전답게 난이도가 상당하며,[3][4] 유일하게 가 묘사된 스테이지다.

이 스테이지 막바지에는 주인공이 보스에게 잡아먹혀서 결국 쓰러져 게임 오버 이벤트가 뜬다. 이후의 행적은 Till It's Over 참조.

3. 구간별 공략

모든 시간 표시는 위 게임플레이 동영상을 기준으로 한다.
종양들이 보스 입의 옆까지 다 채우기 전에 보스의 입에 들어가 씹히면 피해를 입는다.[7] 그러므로 종양들이 화면을 완전히 채울 때까지 기다려 주다가 보스에게 잡아먹혀 주자. 아니면 종양들 사이에 들어가거나 보스와 종양 사이 공간, 또는 보스 턱 아래 맨 밑에서 대기하고 있으면 종양들 사이에 아슬아슬하게 붙으며 보스에게 잡혀먹지 않고 깰 수 있다. 이 구간 외에도 다른 구간도 꽤 있다.

3.1. 하드코어 모드

▲ 공략 및 노멀과 비교 영상

노말과 하드코어의 갭이 상당하다

초반의 작은 종양 탄막의 수가 많아진다. 초반 안에서 일반보다 한 번 더인 4번이 나온다.

그 다음 지네 파트에서 종양 탄막이 추가로 계속 나온다. 다만 일반에서랑 나오는 지네 순서는 같으므로 이를 기억하면 간섭을 덜 받으면서 피할 수 있다. 더하여, 위쪽에 붙어 있으면 상대적으로 매우 덜 오는 것을 참고하면 좋다.

변신 후 보스에게서 박자 맞춰 나오는 종양들이 일반에서는 엇갈리지 않고 나오지만, 하드코어에서는 엇갈려 나오기 때문에 난도가 일반에 비해 올라가는 충분한 이유가 될 듯하다. 처음 하면 정말 피하기가 헷갈리고 다른 패턴과 엮여 나오기 때문에 익숙해지기 어렵다. 위아래로 지속적으로 움직이며 함께 나오는 다른 패턴을 피하는 길을 찾고 연습하자.

4. 여담

이 곡을 잘 들어 보면 이런 노랫말이 들린다.[8]
The towns. (destroyed)
The cities. (destroyed)
The farms. (destroyed)
The villages. (destroyed)
The governments. (destroyed)
Communications. (destroyed)
Society. (destroyed)
You have been destroyed.

이를 종합해보면 처음에는 동네(town)이, 다음엔 더 큰 도시(cities), 점점 더 큰 단위로 파괴(destroyed)된다는 것으로 보아 도시고 마을이고 사회고 뭐고 다 전멸(annihilate)시키는 듯한 가사다.[9]

도전 모드에서 스테이지 투표를 할 때나 재생목록에서 노래를 선택할 때 각자 대표 파트가 잠깐 나오는데, Annihilate는 혼자 "You have been destroyed" 하는 목소리를 대표 파트로 내놓고 있다.

Destroid는 Excision과 Far Too Loud의 합작 명의로, 현재는 유닛이 해체되었다.

[1] 오염된 삼각형이여서 붉은 색을 띈다.[2] 스테이지에 들어가기 전엔 눈이 검고 NUW GAME 에서의 보스의 뿔,삼각형이 박힌 모습이 보이지만,스테이지 안에선 눈이 붉어지고,머리 장식들이 전부 생략되어 있다.[3] 정규 스테이지 중에서는 개인에 따라 Close To MeInto The Zone이 더 어렵다는 사람도 있다. 엑스트라까지 포함하면 Paper Dolls, Tokyo Skies, Core(Just Shapes & Beats), Mortal Kombat(Just Shapes & Beats) 등 Annihilate는 명함도 못 내밀 초 고난이도 스테이지가 기다리고 있지만.[4] 의외로 많이 하다 보면 쉬워진다.[5] 자세히 보면 맨 마지막으로 나오는 지네 두마리중 밑의 한마리를 보면 이미 깨진 알에서 나온다. 쌍란[6] 정황상으로도 그렇고, 상황으로도 그렇고 '너를 파괴할 것이다', 혹은 진작에 너를 파괴해버렸어야 했다 정도가 어울리나, 문법상 의미로는 저 뜻이 맞다. 이 곡을 포함해서 수록곡들 대부분이 이미 예전에 발매된 곡들을 재활용한 것이라 어쩔 수 없는 듯. 하지만 너는 이미 죽어 있다같은 의미로 "이미 넌 파괴된 거나 마찬가지다"같은 뜻으로 말한거라면 꽤 그럴듯해진다.[7] 이빨 사이 안 맞는 자리로 잘 들어가면 입는 피해 없이 잠수를 탈 수 있다.[8] 후렴구가 시작하기 직전 부근. 스테이지에선 드롭구간 직전 부분이다.[9] 소도시, 대도시, 농장, 마을, 정부, 의사소통, 사회(세계)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