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8 16:05:52

2027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예선/최종예선/B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7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예선/최종예선
2027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최종예선
A조 B조 C조 D조 E조 F조


1. 개요2. 순위3. 각 팀간 전적4. 경기 진행
4.1. 1차전
4.1.1. 1경기4.1.2. 2경기
4.2. 2차전
4.2.1. 1경기4.2.2. 2경기
4.3. 3차전
4.3.1. 1경기4.3.2. 2경기
4.4. 4차전
4.4.1. 1경기4.4.2. 2경기
4.5. 5차전
4.5.1. 1경기4.5.2. 2경기
4.6. 6차전
4.6.1. 1경기4.6.2. 2경기
5. 총평

1. 개요

2027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의 최종예선 B조 경기를 정리한 문서.

2. 순위

순위 국가 경기 수 득점 실점 득실 차 승점 비고
1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4 2 1 0 11 0 11 10 본선 진출
2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4 1 2 0 11 0 11 8 탈락
3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4 1 0 2 2 8 -6 3
4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4 0 1 2 2 4 -3 1

레바논이 1위에 가장 가까울 것으로 전망되며 예멘이 이에 도전하는 형국이 예상된다. 다만 레바논이 근 10여년 간 복병으로 활약했을 당시의 주축 선수들이 대부분 은퇴한 상황이고, 이들의 뒤를 이을 젊은 선수들 발굴에 애를 먹는다는 것은 변수로 작용할 만 하다. 실제로 지난 2023 아시안컵에서 노쇠화의 영향을 그대로 드러내며 레바논은 단 1승도 거두지 못하고 조별리그에서 패퇴했다. 예멘 역시 딱히 탄탄한 전력이라고 볼 수는 없으나 아라비안 걸프컵 등의 국제 대회에서 항상 상위 랭커 팀들의 발목을 잡는 역할을 해내는 등 의외의 한 방이 있어 레바논의 유력 경쟁자로 꼽히는 반면 B조 2약인 부탄과 브루나이는 최하위를 피하기 위한 싸움에 만족해야 할 듯 하다.

3. 각 팀간 전적

4. 경기 진행

4.1. 1차전

4.1.1. 1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1차전 1경기
2025년 3월 26일(수) 03:30 (UTC+9)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카타르, 도하)
주심: 베니카테시 라마찬드란 (인도)
관중: 282명
파일:레바논 대표팀 로고.png
5 : 0
파일:Brunei_FA_logo.png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rowcolor=#373a3c,#dddddd> 5', 28' 말렉 파크로 (A. 5' 모하마드 사프완, 28' 후세인 제인)
21' 사미 메르헤그 (A. 모하마드 사프완)
33' 후세인 차크룬 (A. 마제드 오스만)
90' 모하마드 하이다르 (A. 말렉 파크로)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말렉 파크로 (레바논)
레바논이 최근에 하락세라지만 레바논은 레바논이었고 홈(인데 정세불안으로 인해 카타르에서 치름)에서 브루나이를 가볍게 격파했다.

4.1.2. 2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1차전 2경기
2025년 3월 25일(화) 21:00 (UTC+9)
창리미탕 스타디움 (부탄, 팀푸)
주심: 토리크 알카티리 (인도네시아)
관중: 4,700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hutan_FA.png
0 : 0
파일:예멘 대표팀 로고.png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예멘은 최약체 부탄상대로 한골도 넣지 못하고 0:0 무승부를 거두면서 레바논과의 경쟁이 힘들어졌다.

4.2. 2차전

4.2.1. 1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2차전 1경기
2025년 6월 10일(화) 21:15 (UTC+9)
술탄 하사날 볼키아 스타디움 (브루나이, 반다르세리베가완)
주심: 몽콜차이 페치스리 (태국)
관중: 3,158명
파일:Brunei_FA_logo.png
2 : 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hutan_FA.png
<rowcolor=#373a3c,#dddddd> 29' 나지루딘 (A. 하니프 파르한 아즈만)
63' 카르마 셰트림 (OG)
파일:득점 아이콘.svg 90+2' 다와 체링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브루나이는 부탄을 잡으면서 첫승을 챙겼다.

4.2.2. 2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2차전 2경기
2025년 6월 11일(수) 02:30 (UTC+9)
술라이비캇 경기장 (쿠웨이트, 쿠웨이트 시티)
주심: 살림 알 마자라피 (오만)
관중: 1,512명
파일:예멘 대표팀 로고.png
0 : 0
파일:레바논 대표팀 로고.png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예멘은 두경기 연속 무득점 무재배라는 좋지 않은 모습을 이어나갔다.

4.3. 3차전

4.3.1. 1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3차전 1경기
2025년 10월 9일(목) 17:00 (UTC+9)
술탄 하사날 볼키아 스타디움 (브루나이, 반다르스리브가완)
주심: 응오 두이 란 (베트남)
관중: 1,529명
파일:Brunei_FA_logo.png
0 : 2
파일:예멘 대표팀 로고.png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24' 압둘와세아 알 마타리
36' 나세르 알 가흐와시 (A. 오마르 알다히)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예멘이 전반에 터진 2골로 무난히 승리하며 이번 3차 예선 첫 승을 거두며 전반기를 마쳤다. 브루나이는 부탄을 제외한 나머지 팀에게 패배하며 탈락 위기에 놓였다.

4.3.2. 2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3차전 2경기
2025년 10월 10일(금) 01:00 (UTC+9)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카타르, 도하)
주심: 모르테자 만수리안 (이란)
관중: 366명
파일:레바논 대표팀 로고.png
2 : 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hutan_FA.png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rowcolor=#373a3c,#dddddd> 63' 왈리드 쇼우르
90+4' 지하드 아유브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나름 3차예선 최강급에 속하는 레바논이 사실상의 홈 경기에서 부탄 상대로 전반에 1골도 못넣는 졸전을 치루고야 말았다. 후반이 되어서야 두골을 추가하며 승리를 거두게 되었다. 만약 다음 일정이 그대로 고산지대에 위치한 부탄 원정 경기로 치러졌으면 매우 아찔했을 대목.

4.4. 4차전

4.4.1. 1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4차전 1경기
2025년 10월 15일(수) 02:00 (UTC+9)
자베르 알-아흐마드 국제 경기장 (쿠웨이트, 쿠웨이트 시티)
주심: 진징위안 (중국)
관중: 755명
파일:예멘 대표팀 로고.png
9 : 0
파일:Brunei_FA_logo.png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rowcolor=#373a3c,#dddddd> 14', 27', 51', 54', 73' 나세르 알가와시 (A. 12' 압둘아지즈 마스놈, 27', 73' 오마르 알골란, 54' 오마르 알다히)
28', 65' 오마르 알다히 (A. 28' 압둘와세아 알마타리)
62' 압둘아지즈 마스놈
90+2' 압둘 사바라 (A. 나와프 압둘라흐)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브루나이 축구 역사상 최악의 참패로 남을 경기중 하나라 볼 수 있는 수준의 대패를 당했다. 비록 전력상 한 수 이상 위지만 아찬가지로 아시아에서 약체에 속하는 예멘에 9점차 대패를 당했다. 이 패배로 예선 탈락 확정은 덤.

한편 예멘은 브루나이에게만 무려 2경기 11골을 쏟아부으며 골득실에서 레바논을 따라잡게 되며 완벽한 한달을 보내게 되었다.

4.4.2. 2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4차전 2경기
2025년 10월 15일(수) 01:00 (UTC+9)
사우드 빈 압둘라흐만 스타디움 (카타느, 도하)
주심: 나우팔 아디아 페어루스키 (인도네시아)
관중: 397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hutan_FA.png
0 : 4
파일:레바논 대표팀 로고.png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9' 말렉 파크로 (A. 모하마드 하이다르)
16' 후세인 차크룬
20' 모하마드 사프완 (A. 말렉 파크로)
50' 제인 파란 (A. 사미 메르헤그)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부탄이 홈 경기를 레바논과 마찬가지로 카타르에서 치루기로 하면서 레바논에게 일정이 한결 수월해졌다.

앞 경기와 반대로 전반에 3골을 내리 뽑았지만, 후반에는 빈공에 시달려 1골에 그쳐 레바논이 4골차로 승리했다. 부탄 상대로 6점을 뽑으며 겉으로는 나쁘지 않아보이지만, 문제는 반대편에서 예멘이 브루나이 상대로 9:0으로 이기는 등 총 11점을 뽑으며 골득실에서 따라잡히고 말았다. 이로써 브루나이 원정 승리가 거의 필수가 된 상황이 되었다.

부탄은 이 패배로 아시안컵 진출 실패가 확정되었다.

4.5. 5차전

4.5.1. 1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5차전 1경기
2025년 11월 18일(화) ??:?? (UTC+9)
경기장 (국가, 도시)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Brunei_FA_logo.png
# : #
파일:레바논 대표팀 로고.png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4.5.2. 2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5차전 2경기
2025년 11월 18일(화) ??:?? (UTC+9)
경기장 (국가, 도시)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예멘 대표팀 로고.png
#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hutan_FA.png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4.6. 6차전

4.6.1. 1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6차전 1경기
2026년 3월 31일(화) ??:?? (UTC+9)
경기장 (국가, 도시)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레바논 대표팀 로고.png
# : #
파일:예멘 대표팀 로고.png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4.6.2. 2경기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png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6차전 2경기
2026년 3월 31일(화) ??:?? (UTC+9)
경기장 (국가, 도시)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hutan_FA.png
# : #
파일:Brunei_FA_logo.png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5. 총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