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 Eleição presidencial no Brasil em 2026 | |||||||||
| 주별 결선 결과 | |||||||||
| {{{#!wiki style="margin: -7px -12px" | 2022 대선 | → | 2026 대선 | → | 2030 대선 | }}} | |||
| 선거 일시 | 1차 : 10월 4일 | ||||||||
| 결선 : 10월 25일 | |||||||||
| 투표율 | 1차 : 미정 | ||||||||
| 결선 : 미정 | |||||||||
| 선거 결과 | |||||||||
| 후보 | [[미정| 미정 ]]미정 | [[자유당(브라질)| 미정 ]]미정 | |||||||
| 1차 | |||||||||
| 미정 미정 | 미정 미정 | ||||||||
| 결선 | |||||||||
| 미정 미정 | 미정 미정 | ||||||||
| 대통령 당선인 | 부통령 당선인 | ||||||||
| | | ||||||||
| 미정 미정 | 미정 미정 | ||||||||
1. 개요
2026년 10월에 치러질 브라질 대통령 선거다.동시에, 2026년 브라질 국가의회 선거, 주지사 선거, 주의회 선거도 같이 치러진다.
2. 선거 전망
지난 선거에서 간발의 차이로 낙선한 자이르 보우소나루는 2023년 임기 중 정치적 권력을 남용하고 공공자원을 응용했다는 혐의에 대해 2025년 9월 11일 대법원에서 유죄를 선고하면서 8년간 피선거권이 제한되었고, 이번 선거를 포함한 다음 대선에도 출마를 못하게 되었다. 사실상 나이를 생각하면 이 판결로 본인의 정치 생명은 끝나버렸지만, 우파 진영에서 아직 압도적 지지를 받고 있기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이라 보우소나루가 지지하는 후보가 2026년 대선에서 우파 진영 최종 후보가 될 가능성이 높다.덕분에 보수진영, 특히 극우 내지 강경우파 진영에서 관심을 받고 있는 후보는 대부분 보우소나루의 친인척인 상황으로, 그나마 공화당의 타르시지우 지프레이타스 상파울루 주지사가 비보우소나루 가문 후보로 관심을 받고 여론조사도 결선에서 룰라를 이기는 결과가 몇개 나오는 등 꽤 나쁘지 않았으나 본인이 불출마를 선언했다.
현직 대통령인 룰라는 지난 선거에서 당선되며 재선에 도전하지 않을 것을 말했지만, 다시 번복하고 인도네시아에서 10월 23일 4선 도전을 선언했다.# 덕분에 시루 고미스 전 국가통합부장관, 페르난두 아다지 재무장관 등 여타 좌파 진영 후보들은 출마 의사를 포기했다. 다만 룰라 대통령 본인이 워낙에 고령이고 지난해 말 욕실에서 넘어지면서 뇌출혈 증세를 일으켜 응급 수술을 받기도 하는 등 건강 문제가 있기 때문에 대선을 앞두고 상황이 바뀔 수는 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브라질 정부가 보우소나루를 정치적으로 탄압하고 있다며 2025년 7월 30일 룰라 대통령에게 경고 서한을 보내고 브라질산 제품에 추가 관세 50%를 부과하는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커피 등 브라질산 주요 수입품 가격 상승으로 미국 내 소비자 물가가 오르고 민심이 악화되자, 트럼프 대통령은 11월 20일 결국 추가 관세를 철회했다.# 룰라 대통령은 같은 날 발표한 성명을 통해 관세 철회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3. 대권 주자
3.1. 좌파 진영
- 노동자당(PT)
- 기타
3.2. 중도 진영
- 브라질 사회민주당(PSDB)
- 에두아르두 레이치: 히우그란지두술 주지사(2019~2022, 2023~현직)
- 사회민주당(PSD)
- 호메우 제마: 미나스제라이스 주지사(2019~현직)
- 민주노동당(PDT)
- 브라질 연합(UNIÃO Brasil)
- 호나우두 카이아두: 고이아스 주지사(2019~현직)
3.3. 우파 진영
- 자유당(PL)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2019~2022)[자격박탈]- 에두아르두 보우소나루: 자이르 보우소나루의 3남, 연방하원의원(2015~현직)
- 미셸 보우소나루: 자이르 보우소나루의 배우자, 영부인(2019~2022)
- 카보 다시오루: 전 연방하원의원(2015~2019)
- 공화당(PRB)
타르시지우 지프레이타스: 상파울루 주지사(2023~현직)[불출마]- 브라질 노동자혁신당(PRTB)
파블루 마르사우: 사업가[자격박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