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3 18:38:50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과 과목 ('25~ 高1)
공통 과목
선택 과목
일반 선택
진로 선택
융합 선택
고급 물리학 · 고급 화학 · 고급 생명과학 · 고급 지구과학 및 실험 과목은 과학 계열 선택 과목으로 분류되었다(해당 둘러보기 틀 참고).
초등학교 · 중학교 내용은 해당 링크를 클릭하여 열람하시오.
■ 이전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과 과목
대학수학능력시험 탐구 영역 출제 범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191919> 2027학년도 이전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전 교육과정) 문서 참고 바람.
2028학년도 ~ 통합사회
통합과학
(과목 당 25문항씩, 시험 시간 40분씩)
}}}}}}}}} ||

1. 개요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의 고등학교 교과(과목 체계)만을 독립하여 다루는 문서.

2. 공통 과목

지난 통합과학과학탐구실험을 계승하였다. 2025년 이후 입학생이 1학년 때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과학과 교과목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와 달리, 모두 한 학기짜리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과학탐구실험은 증감 없이 편성·운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과학, 체육, 예술 계열 고등학교의 경우 학교 실정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2.1. 통합과학1, 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통합과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통합과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통합과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과학탐구실험1, 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과학탐구실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과학탐구실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과학탐구실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선택

기본 학점은 4학점이며, 1학점 범위 내에서 감하여 편성·운영할 수 있다. 2025년 이후 입학생이 2학년부터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는 과학과 과목들이다. 모든 과목은 한 학기짜리로, 2~3학년에 걸쳐 일반 선택 과목과 진로 선택 과목을, 3학년(특히 2학기) 때 융합 선택 과목을 이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 선택 과목과 진로 선택 과목은 석차등급(1~5등급)을 매기는 상대평가 과목이고, 융합 선택 과목은 성취도(A~E)만을 매기는 절대평가 과목이다.[1]

3.1. 일반 선택 과목

3.1.1. 물리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물리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물리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물리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 화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화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화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화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 생명과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생명과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생명과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생명과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4. 지구과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지구과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지구과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지구과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진로 선택 과목

3.2.1. 역학과 에너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역학과 에너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역학과 에너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역학과 에너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 전자기와 양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전자기와 양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전자기와 양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전자기와 양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3. 물질과 에너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물질과 에너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물질과 에너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물질과 에너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4. 화학 반응의 세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화학 반응의 세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화학 반응의 세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화학 반응의 세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5. 세포와 물질대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세포와 물질대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세포와 물질대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세포와 물질대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6. 생물의 유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생물의 유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생물의 유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생물의 유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7. 지구시스템과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지구시스템과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지구시스템과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지구시스템과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8. 행성우주과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행성우주과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행성우주과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행성우주과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융합 선택 과목

3.3.1. 과학의 역사와 문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과학의 역사와 문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과학의 역사와 문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과학의 역사와 문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2. 기후변화와 환경생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기후변화와 환경생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기후변화와 환경생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기후변화와 환경생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3. 융합과학 탐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융합과학 탐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융합과학 탐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융합과학 탐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1] 2028 대입개편안에서 10월 시안에는 전과목 상대평가였다가 12월 확정안에는 사탐, 과탐의 융합 선택 과목 9개만 절대평가로 바뀌었다.[2]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측 「2028학년도 전공 연계 과목 선택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