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2 19:41:17

2019년 보궐선거/개표 결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19년 보궐선거

1. 국회의원
1.1.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1.2. 경상남도 통영시·고성군
2. 기초의회의원
2.1. 전라북도 전주시 라선거구2.2. 경상북도 문경시 나선거구2.3. 경상북도 문경시 라선거구

1. 국회의원

1.1.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창원시 성산구
성산구 일원[창원성산]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권민호(權民鎬) 사퇴[2]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 강기윤(姜起潤) 42,159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45.21% 낙선
3 이재환(李在煥) 3,334 4위


[[바른미래당|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
3.57% 낙선
5 여영국[3](余永國) 42,663 1위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45.75% 당선
6 손석형(孫錫亨) 3,540 3위


[[민중당(2017년)|
파일:민중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
3.79% 낙선
7 진순정(陳珣湞) 838 5위


[[대한애국당|
파일:대한애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0.89% 낙선
8 김종서(金鍾序) 706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75% 낙선
선거인 수 183,934 투표율
51.17%
투표 수 94,113[4]
무효표 수 873

개표 초중반에는 강기윤 후보가 여영국 후보를 5~10%p 가량으로 크게 앞섰다. 개표율이 50%가 되어서도 4~6%차이로 강기윤 후보가 우세를 보이자 지켜보는 진보 지지자들은 여론조사와 상반된 결과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모양이었다. 하지만 개표율이 70%대에 접어들면서 표차가 급격히 줄어들어 1~2%p차로 치열한 싸움을 벌였다. 진보 분열로 지역구를 내준 19대 총선의 재림이 될지, 아니면 개표 순서 때문에 의도치 않은 대역전극이 벌어진 7회 지선 경남지사의 재판이 될지 주목되던 상황.[5] 23시 20분 경, 개표 시작부터 개표율 95%라는 극후반까지 강기윤 후보에 단 한 번도 앞서지 못했던 정의당 여영국 후보가 사파동 투표함이 열리면서 99.98% 개표율에서 극적으로 역전하여 504표(0.54%p)차 아슬아슬한 승리를 거두었다. 기사나 뉴스에서는 사전투표함 개봉이 뒤늦게 시작됐고 여기서 여영국후보에게 몰표가 나와서 이겼다라는 얘기가 많다. 이는 창원성산의 진보표심은 기본적으로 창원 국가산업단지 노동자들의 표라고 볼 수 있는데 투표 당일은 평일 이므로 노동자들은 직장에 나가야한다. 투표는 8시에 끝나므로 야근이나 잔업과 같은 이유로 퇴근이 늦어지면 이 사람들은 투표를 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상당수 노동자들은 주말인 토요일에 사전투표를 하러간다. 그래서 사전투표에는 노동자들의 표가 많을 수밖에 없는 구조이며 여영국 후보에 던진 표가 많다.
표차가 워낙 근접한 상황이라 한국당 강기윤 후보 측에서 재검표를 요청했으나, 결과는 바뀌지 않았고[6] 여영국 후보의 당선이 확정되었다.

참고로 사파동은 도로 하나만 건너면 바로 창원축구센터인, 말 그대로 창원축구센터의 바로 옆 동네인데, 창원축구센터는 다름 아닌 경남 FC의 홈구장이다. 자유한국당 경남 FC 경기 난입사태로 인한 나비효과로 자유한국당 입장에서는 향후 정국의 주도권을 쥘 수 있는 기회를 제발로 걷어차버린 꼴이 되어버렸다. 다만 정의당 정호진 대변인은 “여영국 당선인은 원래 사파동에서 살았고, 도의원 할 때 지역구였다. 축구장 논란은 외려 한국당 지지자를 결집시켰다고 보고 있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 하지만 여론조사 공표금지 기간 동안 여론조사 기관과 각 정당에서 실시했던 자체 조사에 따르면, 김의겸 전 대변인 사퇴, 조동호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와 최정호 전 국토교통부 장관 낙마로 인한 청와대의 인사참사 논란 대응미숙 때문에 자유한국당 강기윤 후보가 역전을 한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정의당 이정미 대표가 한 "여론조사 공표 금지 기간에 들어간 이후 보수결집이 이루어지고 있다."라는 말이 엄살이 아니었던 셈이다.[7][8] 최민희 전 의원 역시 비슷하게 평했다.기사 하지만 자유한국당 황교안 전 대표의 경남 FC 경기장 난입사태와 오세훈 서울시장의 노회찬 전 의원 폄하논란으로 인해 강기윤 후보의 상승세에 제동이 걸리고 이완되었던 진보진영 지지층을 다시 결집하게 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한다. 결국 자유한국당 경남 FC 경기장 난입사태와 오세훈 서울시장의 막말 논란이 강기윤 후보의 낙선까지 불러왔다는 해석이 정확히 들어맞게 되었다.

민중당이 X맨이 되었다면 19대 총선의 재림이자, 손석형 후보의 가해자화 될 가능성이 높았는데, 그와 비슷한 표를 바른미래당과 대한애국당이 들고 감으로써 사실상 1대 1 매치가 되었다. 참고로 무소속 김종서를 빼고 진보 vs 범보수로 합산 시 49.54% vs 49.67%로 범보수가 미세하게 앞서긴 하지만, 바른미래당과 자유한국당의 불편한 관계는 물론이고 이재환 후보는 2016년 총선에서 국민의당 후보로 나와 보수성향이 확고하다고 볼 수는 없는 인물인데다 진보단일화 이후론 '당으로부터 버림받은 권민호 후보의 좋은 공약은 계승하겠다'며 민주당 지지층에게 구애하는(...) 전략까지 썼던 만큼, 단순합산만으로 진보단일화 vs 보수단일화로 갔다면 보수가 이겼으리라고 무작정 단정할 수만은 없다.

동 단위로 보면 여영국 후보는 도의원 시절 지역구였던 사파동에서 무려 1,709표차, 주거지역인 가음정동에서 934표차로 앞서면서 아슬아슬하게 승기를 되찾아올 수 있었다. 그 밖에 상남동에서 283표차, 성주동에서는 203표차, 관외사전투표에서는 14표차[9] 앞섰으며, 반송동에서 1,207표차, 웅남동에서 676표차, 중앙동에서 671표차, 거소투표에서 86표차로 강기윤 후보 우세.

1.2. 경상남도 통영시·고성군

통영시·고성군
통영시 일원[통영], 고성군 일원[경남고성]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양문석(梁文錫) 28,490 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35.99% 낙선
2 정점식(鄭点植) 47,082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59.47% 당선
7 박청정(朴淸正) 3,588 3위


[[대한애국당|
파일:대한애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4.53% 낙선
선거인 수 155,741 투표율
51.18%
투표 수 79,711
무효표 수 551

무슨 이유에선지 통영의 개표 시작이 고성에 비해 상당히 늦었다. 어쨌든 개표 초반부터 자유한국당 정점식 후보가 50%를 훨씬 넘는 득표율을 보였고 여유롭게 당선 되었다. 하지만 워낙 전통적인 보수 강세 지역이었기에 민주당이 여기서 얻은 36%의 득표율도 3당 합당 이후에 치른 총선에서 두번째로 높은 득표율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통영에선 38.8 vs 56.2, 고성에선 29.8 vs 66.7로 결과가 나와 소지역주의가 당락엔 영향을 못 줬지만 유효하긴 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 때문에 개표 과정에서 고성 쪽 투표함을 까면 격차가 벌어지고 통영 쪽 투표함을 까면 좁혀지는 과정이 반복되곤 했다.

읍면동 단위로는 신도심인 광도면에서만 양문석 후보가 272표차로 앞섰고, 나머지 지역은 정점식 후보 우세.

2. 기초의회의원

2.1. 전라북도 전주시 라선거구

전주시 라선거구
서신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영우(金暎雨) 2,143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0.14% 낙선
4 최명철(崔明哲) 3,104 1위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43.65% 당선
6 이완구(李完九) 1,863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6.20% 낙선
선거인 수 32,845 투표율
21.8%
투표 수 7,157
무효표 수 47

예상 외로 민주평화당 최명철 후보의 낙승으로 마무리됐다. 서신동 현역 광역-기초의원이 모두 민주당 소속임에도 민주당 김영우 후보는 상당한 격차로 패배했다. 전 도의원을 차출해 인물론으로 승부하겠다는 승부수가 먹힌 모양. 민주당 후보가 최 전 도의원에 비해 지역 내에서 공천 전까지 알려지지 않은 후보라는 것도 한몫했다. 게다가 최 전 도의원은 동일선거구의 2017년 재보궐선거에서 도의원에 출마, 2018년 지방선거에도 도의원에 출마한 경력이 있으므로 3년 새 3번이나 선거에 나오는 등 상대적으로 매우 친숙한 후보였다. 국회의원 재보선에 집중해 상대적으로 기초의원 선거는 경시하던 민주당과는 달리 평화당이 온전히 이곳에 집중한 것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정치 중~저관심층이 투표에 거의 나오지 않으며 정당 지지도에서의 열세가 커버된 것도 평화당으로선 호재.

정작 이 선거에서 당선된 최명철 시의원은 1년 뒤에 민주평화당을 탈당하고 더불어민주당 입당을 타진했다고 한다(...)#

2.2. 경상북도 문경시 나선거구

문경시 나선거구
점촌2동, 점촌4동, 점촌5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경숙(金京淑) 1,057 3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1.93% 낙선
2 서정식(徐廷植) 5,069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57.25% 당선
6 곽한균(郭漢均) 297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35% 낙선
7 소성호(蘇聖浩) 173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5% 낙선
8 신성호(申成鎬) 2,258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5.50% 낙선
선거인 수 21,966 투표율
40.5%
투표 수 8,900
무효표 수 46

상술했듯 자유한국당의 강우세 지역이고, 젊은 층의 관심을 별로 못 받는 기초의원 보선이었기 때문에 자유한국당에 더더욱 유리했다. 자유한국당 서정식 후보가 여유있게 당선됐으며, 민주당 김경숙 후보는 12% 득표로 선거비 반액을 보전받는 데 만족해야 했다.

2.3. 경상북도 문경시 라선거구

문경시 라선거구
호계면, 점촌1동, 점촌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이정걸(李廷杰) 4,137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62.03% 당선
6 장봉춘(張奉春) 2,532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7.96% 낙선
선거인 수 15,080 투표율
44.6%
투표 수 6,723
무효표 수 54

위의 선거구보다 한국당이 더 우세한 선거구였고, 결국 62%라는 높은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5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5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창원성산] 반송동, 사파동, 상남동, 성주동, 중앙동, 웅남동, 가음정동[2] 2019년 3월 25일 정의당 여영국 후보와 단일화하여 사퇴하였다.[3] 더불어민주당, 민주평화당 지지.[4]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개표 발표에서 한때 개표율이 100.01%로 표시되는 해프닝이 있었다. 투표자 수 94,112명, 기권수(투표하지 않은 선거인의 수) 89,822명으로 집계된 상황에서 집계된 투표자 수(=선거인 수-기권수)보다 개표된 표 수가 1표 많았기 때문이다. 이는 재검표 과정에서 기권수 한 명의 표가 여영국 후보 표로 재집계되면서 개표율이 100.00%로 수정된 후 투표자 수 94,113명, 기권수 89,821명으로 수정되었다.[5] 사실, 선거 운동을 해본 사람은 알겠지만 선거 사무소에는 선관위에 반영 되기 전에 이미 개표 첩보가 들어온다. 개표율이 70~80%대일 때 자유한국당의 선거 캠프는 울상을 짓고 있고 정의당의 선거 캠프는 싱글벙글 웃음을 짓고 있던 것에서 선거 운동을 해본 사람이라면 결과를 예상할 수 있었을 것이다.[6] 재검표 결과 오히려 기권으로 분류된 1명의 표가 여영국 후보 표로 확인되어 표차는 503표에서 504표로 늘어난 셈이 되었다.[7] 보통 후보가 판세에서 여유있게 앞서가고 있어도 지지층의 긴장감을 이완시키지 않기 위해 정치인들이 이런 발언을 하는 경우가 꽤 많다.[8]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패색이 짙음에도 불구하고 투표장으로 지지층 한 사람이라도 더 오게 하기 위해 "지지층의 막판 결집으로 역전할 수 있다."라는 발언을 하는 정치인들이 꽤 많다. 예를 들어 17대 대선 당시 정동영19대 대선 당시 홍준표가 이런 발언을 하면서 샤이 지지층을 조금이라도 더 불렀다.[9] 총투표수가 77표밖에 되지 않았는데, 재보선의 관외사전투표는 전국단위 선거와는 달리 재보선 지역에서만 할 수 있기 때문이다.[통영] 도천동, 명정동, 중앙동, 정량동, 북신동, 무전동, 미수동, 봉평동, 산양읍, 용남면, 도산면, 광도면, 욕지면, 한산면, 사량면[경남고성] 고성읍, 삼산면, 하일면, 하이면, 상리면, 대가면, 영현면, 영오면, 개천면, 구만면, 회화면, 마암면, 동해면, 거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