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2009 개정 교육과정/국어과/고등학교|2009 개정 교육과정/국어과/고등학교]]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과목을 계승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은 [[2009 개정 교육과정/국어과/고등학교/문학]]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2009 개정 교육과정/국어과/고등학교/문학#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2009 개정 교육과정/국어과/고등학교/문학#|]]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과목을 계승한 2009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국어과/고등학교/문학]]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2009 개정 교육과정/국어과/고등학교/문학#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2009 개정 교육과정/국어과/고등학교/문학#|]]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과 과목 ('11~'17 高1) | ||||
일반 과목 | ||||
■ '09는 제2009-41호로 2011년~2013년도 고교 입학생에 적용되었고, '11은 제2012-14호로 각론이 개정되어 2014년~2017년도 고교 입학생에 적용되었다. ■ 이후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과 과목 |
이 문서는 교과 문서입니다. 교과는 단순히 시험 상의 선택 과목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는 문항 관련 트렌드나 콘텐츠(EBSi 연계 교재 등)에 대해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국어 영역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라며, 해당 문단 편집 시 유의 바랍니다. |
1. 개요
본 저작물은 대한민국 교육부에서 NCIC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에서 법률적으로 고시하는 제2009-41호 그리고 제2012-14호 [별책5]에서 발췌하였습니다. 원문은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
{{{-1 ‘문학 Ⅱ’는 ‘문학 Ⅰ’과 연계된 과목이다. 이 과목에서는 다양한 문학 경험과 활동을 통해 수용·생산 능력을 심화하여, 학습자가 바람직한 문학 주체로 성장하고 인간다운 삶이 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하도록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학은 인간의 체험과 상상력으로 이루어진 언어 예술이자 소통 행위이며, 개인과 공동체의 생활 경험 및 미의식을 담아내는 문화의 한 양식이다. 문학은 음성과 문자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매체로 구현되고, 사회ㆍ문화의 다른 영역과의 관련 속에서 존재한다.
문학은 인간과 사회 및 역사의 본질을 심미적 언어로 형상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자아를 실현하며 공동체의 삶과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그 가치가 있다. 학습자는 문학을 통하여 창의적인 언어 능력과 사고력을 기르고, 정서와 심미 의식을 함양하고 가치관을 확립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로서 자아를 발전시킬 수 있다.
‘문학 Ⅱ’ 과목에서는 ‘문학 Ⅰ’ 과목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맥락 속에서 문학의 제 양상을 이해하고 경험하며 이를 자신의 삶과 연계하는 데 중점을 둔다.}}}
2. 목표
문학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폭넓은 경험을 바탕으로 자아를 실현하고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하는 태도를 함양한다.가. 문학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능동적으로 문학 활동을 한다.
나. 문학의 실제적 제 양상을 이해하여 문학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심미적 안목을 높인다.
다. 문학을 통하여 인간과 세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문학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향유하며, 공동체의 문화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나. 문학의 실제적 제 양상을 이해하여 문학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심미적 안목을 높인다.
다. 문학을 통하여 인간과 세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문학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향유하며, 공동체의 문화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3. 내용 체계
3.1. 문학의 위상
3.1.1. 한국 문학의 범위와 역사
① 한국 문학의 개념, 영역, 갈래, 역사를 이해한다.② 대표적인 작품을 통해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을 이해한다.
③ 지역 문학과 한민족 문학을 이해한다.
3.1.2.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① 세계 문학의 양상과 흐름을 개괄적으로 이해한다.②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의 관련 양상을 이해한다.
③ 보편성과 특수성의 관점에서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을 이해한다.
3.1.3. 한국 문학의 세계화
① 다문화 시대의 한국 문학의 양상과 지향을 이해한다.② 한국 문학 및 문화의 세계화와 그 의의를 이해한다.
3.2. 문학과 삶
3.2.1. 문학과 자아
① 문학을 통하여 자아를 성찰하고 삶의 의미에 대하여 질문하며 내면 세계를 확충한다.② 문학을 통하여 타자를 이해하고 삶의 다양성을 수용한다.
③ 문학 활동을 생활화하여 풍요롭고 가치 있는 삶을 영위한다.
3.2.2. 문학과 공동체
① 문학을 통하여 사회, 민족, 역사, 자연 등 다양한 층위의 공동체와 연대 의식을 갖는다.② 문학을 통하여 양성 평등, 사회적 소수자, 생태, 미래 사회 등 공동체의 관심사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소통한다.
③ 문학 활동을 생활화하여 공동체의 문화 발전에 능동적으로 이바지한다.
3.2.3. 문학과 문화
① 문학과 예술, 인문, 사회, 문화, 매체의 관계를 이해한다.② 문학을 통하여 인간과 세계의 진실을 심미적으로 인식하고 표현하는 안목을 기른다.
③ 문학 활동을 생활화하여 수준 높은 국어 생활을 영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