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nopad> 최초 국제 럭비 풋볼 경기 | ||
| ||
| 1 : 0(2T 1G) (1T) | |
스코틀랜드 | 잉글랜드 | |
날짜: 1871년 3월 27일 | ||
장소: 레이번 플레이스 (에딘버러, 스코틀랜드) | ||
심판: 힐리 허친슨 알몬드(스코틀랜드), A. 워드(잉글랜드) | ||
관중: 4,000명 | ||
The Great Game England vs Scotland, 1871 |
|
레이번 플레이스 (Raeburn Place), 에딘버러 |
1. 개요
|
The World's first international football contest[1] |
2. 경기 상세
|
당시 경기 장면 |
상술했듯이, 경기는 1871년 3월 27일, 에딘버러 아카데미컬 FC의 홈구장인 레이번 플레이스[2]에서 열렸다. 잉글랜드 대표팀은 셔츠에 잉글랜드 국화인 빨간 장미가 박힌 흰색 셔츠를 입었고, 스코틀랜드 대표팀은 셔츠에 스코틀랜드 국화인 엉겅퀴가 박힌 갈색 셔츠와 흰색 크리켓 플란넬을 입었다. 하지만 현재 스코틀랜드 럭비 대표팀이 입고 있는 짙은 파란색(또는 네이비색)의 셔츠는 1872년 2월 5일 잉글랜드 런던 케닝턴 오벌에서 열린 잉글랜드와의 국제 럭비 경기에서 착용했던 것이 최초 기원이다.
잉글랜드 대표팀은 블랙히스 FC의 프레드릭 스톡스가 주장을 맡았고, 스코틀랜드 대표팀은 프랜시스 몬크리프가 주장을 맡아 팀을 이끌었다.
이 경기는 골(Goal)로 승부가 결정되어졌고, 골(Goal)은 트라이(Try)후 성공한 컨버젼 골(Conversion Goal), 드롭 골(Drop Goal), 마크(Mark)로부터의 골(Goal)이 득점으로 부여되어졌다.
만약 경기가 무승부일 경우, 컨버젼 킥에 성공하지 못한 트라이(Try)를 합산하여 승자를 가르고, 그래도 확실한 승자가 결정되지 않으면, 경기는 무승부로 선언되었다.
전후반 각각 50분씩 진행된 이 경기는 스코틀랜드의 승리로 끝났으며, 스코틀랜드는 골라인을 돌파하여 공을 지면에 찍어 트라이(Try)를 성공한 후, 컨버전 킥으로 골을 넣어 득점하였다. 양 팀 모두 각각 한 번씩 더 트라이(Try)를 성공시켰지만, 킥이 실패하면서 골로 연결되지는 못하였다. 스코틀랜드 앵거스 뷰캐넌(Angus Buchanan)은 국제 럭비 경기에서 최초의 트라이(Try)를 기록한 선수로 기록되었다.
럭비 역사상 최초의 국제 경기인 오늘, 스코틀랜드는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레이번 실드의 첫 주인공이 되었다. 레이번 실드는 타이틀 방어전으로, 1872년 2월 5일 잉글랜드 런던의 케닝턴 오벌에서 열린 리턴 매치에서 잉글랜드가 승리하여 315일만에 잉글랜드에게 타이틀을 인계했다.
2.1. 라인업
| |
1871년 당시 스코틀랜드 럭비 국가대표팀(왼쪽)과 잉글랜드 럭비 국가대표팀(오른쪽)의 모습 |
<nopad> | 1 : 0 | |
스코틀랜드 | 잉글랜드 | |
🏉 트라이(Try): 뷰캐넌 🏉 트라이(Try): 윌리엄 크로스 컨버젼 골(Conversion Goal): 윌리엄 크로스 | 득점 | 🏉 트라이(Try): 버켓 |
세계 최초 국제 럭비 풋볼 경기 | |||||
| | ||||
| | ||||
포지션 | 이름 | 소속팀 | 포지션 | 이름 | 소속팀 |
FB | 윌리엄 데이비 브라운 | | FB | 아서 기마드 | |
FB | 토마스 찰머스 | | FB | 리처드 오스본 | |
FB | 알프레드 클루니스 로스 | | FB | 아서 라이언 | |
HB | 토마스 마샬 | | 3Q | 윌리엄 맥라렌 | |
HB | 윌리엄 크로스 | | HB | 존 벤틀리 | |
HB | 존 아서 | | HB | 프랭크 토빈 | |
F | 프랜시스 몬크리프 (C) | | HB | 조셉 그린 | |
F | 앵거스 뷰캐넌 | | F | 레그 버켓 | |
F | 앤드류 콜빌 | | F | 벤자민 번스 | |
F | 다니엘 드루 | | F | 존 클레이턴 | |
F | 윌리엄 포사이스 | | F | 아서 크롬튼 | |
F | 제임스 핀레이 | | F | 알프레드 데븐포트 | |
F | 로버트 W. 어바인 | | F | 존 M. 더그데일 | |
F | 윌리엄 라이얼 | | F | 아서 깁슨 | |
F | 제임스 A. 메인 | | F | 알프레드 해머슬리 | |
F | 존 L. 맥팔레인 | | F | 존 루스콤 | |
F | 로버트 먼로 | | F | 찰스 셰라드 | |
F | 조지 리치 | | F | 프레드릭 스톡스 (C) | |
F | 알렉산더 로버트슨 | | F | 도슨 터너 | |
F | 존 쇼 톰슨 | | F | 헨리 존 세실 터너 | |
- 여기서 1857년에 창단한 리버풀 FC와 1860년에 창단한 맨체스터 FC는 협회 축구의 두 팀 리버풀 FC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는 전혀 상관이 없는 다른 클럽이며, 역사가 오래된 유서깊은 럭비 풋볼 클럽들이다.
3. 150주년
2021년은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 간의 최초 국제 럭비 경기가 열린지 "150년"이 되는 해였으며, 식스 네이션스의 캘커타 컵(Calcutta Cup)[3] 경기를 통해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는 150주년 경기를 하게 되었고, 스코틀랜드는 11:6으로 잉글랜드에 다시 한번 승리하기도 하였다. 당시 코로나 19의 확산으로 인해 무관중 경기로 치러졌다. 2021년 스코틀랜드 |
프린세스 로열 앤 |
4. 스코틀랜드 vs 잉글랜드 경기 역사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는 1871년 세계 최초의 럭비 국제 경기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143경기"를 치렀으며, 잉글랜드가 "77승"을 거두었고, 스코틀랜드가 "47승"을 거두었으며, 19경기는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또한,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는 1971년 세계 최초 국제 경기의 100주년을 기념하는 경기에서도 맞붙었는데, 이 경기 역시 스코틀랜드가 승리하였다.1990년 스코틀랜드 vs 잉글랜드 |
4.1. 캘커타 컵 (Calcutta Cup)
|
캘커타 컵 (Calcutta Cup) |
4.1.1. 역사
캘커타 컵의 기원은 187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럭비가 영국령이었던 인도에 소개되어졌고, 이 게임이 탄생한 럭비 스쿨의 졸업생 출신들과 "Royal East Kent Regiment"의 군인들에 의해 인도의 도시인 캘커타(현재 콜카타로 알려짐)에서 캘커타 럭비 풋볼 클럽(Calcutta Rugby Football Club)이 결성되어졌다. 그러나 럭비가 인도 날씨에 적합하지 않아 회원들이 떠나고 관심이 줄어들면서 1878년 클럽은 해체되었다. 남은 회원들은 클럽에 남은 은 루피를 녹여 트로피를 만들기로 결정하였고, 럭비 풋볼의 대의를 위해 도울 수 있는 가장 최선의 방법의 의미로 이 트로피를 잉글랜드의 럭비 풋볼 유니언(RFU)에게 증여하였다.손잡이는 킹 코브라로 되어있고, 뚜껑 위에는 코끼리가 얹혀 있는데, 이는 총독의 유물에서 따온 것이라고 전해진다.
| |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222> | 홈 네이션스 |
{{{#!wiki style="margin: 0 -8px;" {{{#22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에든버러 아카데미컬 FC | 글래스고 아카데미컬 FC | 웨스트 오브 스코틀랜드 FC |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 RFC |
로열 하이스쿨 FP | 머치스토니안 FC | 에든버러 대학교 RFC | 글래스고 대학교 RF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