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16:38:24

히카르두 고메스

히카르두 고메스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클럽
파일:AS 모나코 FC 로고.svg

31대
파일:FC 지롱댕 드 보르도 로고.svg

41대
}}} ||
브라질의 축구감독
파일:ricardo_gomes.jpg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히카르두 고메스
Ricardo Gomes
본명 히카르두 고메스 레이문도
Ricardo Gomes Raymundo
출생 1964년 12월 13일 ([age(1964-12-13)]세)
브라질 합중국 리우데자네이루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브라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브라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9cm
직업 축구 선수(센터백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eeeeee,#191919> 선수 플루미넨시 FC (1982~1988)
SL 벤피카 (1988~1991)
파리 생제르맹 FC (1991~1995)

SL 벤피카 (1995~1996)
감독 파리 생제르맹 FC (1996~1998)
스포르트 헤시피 (1999)
EC 비토리아 (1999~2000)
과라니 FC (2001)
코리치바 FC (2001)
EC 주벤투지 (2002)
브라질 U-23 대표팀 (2002~2004)
플루미넨시 FC (2004)
CR 플라멩구 (2004)
FC 지롱댕 드 보르도 (2005~2007)
AS 모나코 FC (2007~2009)
상파울루 FC (2009~2010)
CR 바스쿠 다 가마 (2011)
보타포구 FR (2015~2016)
상파울루 FC (2016)
알 나스르 FC (2017)
FC 지롱댕 드 보르도 (2018~2019)
국가 대표 45경기 4골 (브라질 / 1984~1994)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2.2. 국가대표 경력
3. 감독 경력4. 둘러보기

1. 개요

브라질의 축구인.

본명은 히카르두 고메스 하이문두(Ricardo Gomes Raymundo). 1964년 12월 13일 리우데자네이루에서 태어났다. 선수 시절에는 센터백으로 활약했으며,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활동했다. 플루미넨시, 벤피카, 파리 생제르맹에서 뛰었으며, 14년 간의 선수 생활 동안 416경기에 출전해 45골을 기록했다. 브라질 국가대표로서 1980년대와 1990년대에 활약했으며, 1990년 월드컵과 두 차례의 코파 아메리카에 출전했다.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고메스는 플루미넨시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플루미넨시에서 6시즌 동안 활약하며 201경기 11골을 기록했고, 3개의 리우데자네이루 주 챔피언십 우승과 1984년 세리 A 우승을 경험했다.

1988년 여름, 그는 동료 발두와 함께 포르투갈의 벤피카로 이적했다. 벤피카에서 그는 브라질 출신 수비수 모제르와 함께 센터백 듀오를 형성하며 1988-89 시즌 포르투갈 리그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이 브라질 출신 수비 콤비는 벤피카와 포르투갈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센터백 듀오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한 시즌 38경기에서 단 15실점만 허용하는 견고함을 보여주었다. 고메스는 그 시즌 31경기에 출전해 8골을 기록했는데, 대부분 결정적인 상황에서 득점했다.

모제르와의 듀오가 해체된 후, 고메스는 또 다른 브라질 출신 아우다이르와 새로운 센터백 파트너십을 형성했다. 이 시즌에는 리그 우승에는 실패했지만, 팀은 유러피언컵 결승에 진출하는 성과를 이뤘다. 결승에서는 아리고 사키가 이끄는 강력한 밀란에 0-1로 패배했다.

1990-91 시즌에는 다시 한번 포르투갈 리그 우승을 달성했고, 고메스는 그 시즌 리그에서 9골을 기록했다. 벤피카에서 총 140경기에 출전해 27골을 기록하며 2번의 리그 우승, 1번의 포르투갈 컵 우승, 1번의 슈퍼컵 우승을 차지했다. 그는 포르투갈이나 포르투갈 식민지 출신이 아닌 선수로는 처음으로 벤피카의 주장 완장을 찼다.

1991년, 프랑스 미디어 그룹 Canal+가 파리 생제르맹을 인수했다. 당시 거물 실업가 베르나르 타피가 이끄는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와 경쟁할 수 있는 팀을 구성하고자 했던 스포츠 디렉터 미셸 드니소는 세 명의 브라질 선수에 투자했다. 발두, FC 포르투 출신의 수비수 제랄당, 그리고 히카르두 고메스였다.

1994년, 툴루즈와의 경기에서 고메스는 PSG에 프랑스 리그 우승을 안겨준 결정적인 골을 기록했다. 파리 생제르맹에서 그는 팬들의 우상이 되었고 많은 성공적인 순간을 경험했다. 발두와 하이와 함께 두 차례의 프랑스 컵(1993년, 1995년)과 1993-94 시즌 프랑스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PSG에서 4시즌 동안 115경기에 출전해 11골을 기록한 그는 1995년 벤피카로 복귀했지만, 두 번째 벤피카 시절에는 많은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다. 그럼에도 리그에서 4골을 기록했고, 1995-96 시즌 포르투갈 컵 우승에 기여한 후 1996년 6월, 31세의 나이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2.2. 국가대표 경력

브라질 국가대표로는 10년 동안 45경기에 출전해 4골을 넣었다. 1987년 팬 아메리칸 게임 금메달, 1988년 1988 서울 올림픽 축구 은메달, 1989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을 차지했다. 1990년 월드컵에서는 모든 경기에 출전했으나, 16강전 아르헨티나와의 경기에서 85분에 퇴장당했고 브라질은 0-1로 패배했다. 1994년 월드컵에도 주장으로 선발되었으나 부상으로 인해 최종 명단에서 제외되었다.

3. 감독 경력

은퇴 직후인 1996년부터 파리 생제르맹의 감독으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PSG에서 2년 동안 재임하며 1996-97 시즌 리그 2위, 1997-98 시즌 쿠프 드 프랑스쿠프 드 라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이후 브라질로 돌아와 스포르트 헤시피, EC 비토리아, 과라니 FC, 코리치바 FC, EC 주벤투지, 플루미넨시, 플라멩구 등 여러 팀을 지도했다. 또한 2002년부터 2004년까지는 브라질 올림픽 축구 대표팀 감독을 맡기도 했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는 보르도를 이끌었으며, 2006-07 시즌 쿠프 드 라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이어서 2007년부터 2009년까지는 AS 모나코의 감독으로 활동했다. 모나코 시절에는 한국의 박주영을 영입하여 한국 팬들에게도 잘 알려졌다.

2009년 이후에는 상파울루, 바스쿠 다 가마, 보타포구 등 브라질 팀들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알 나스르, 그리고 다시 보르도 등에서 감독으로 활동했다. 특히 2011년에는 바스쿠 다 가마를 이끌고 클럽 최초로 코파 두 브라질루 우승을 차지했다.

2011년 8월 28일, 플라멩구와 바스쿠 다 가마의 경기 도중 뇌졸중으로 쓰러져 응급 수술을 받았다. 이후 1년 이상 축구계를 떠나 있다가 2012년 11월 14일 바스쿠 다 가마의 기술 이사로 복귀했다. 2015년에는 보타포구의 감독으로 돌아와 2015 세리 B 우승을 이끌었다.

4. 둘러보기

1 타파레우 · 2 조르지뉴 · 3 히카르두 고메스 · 4 둥가 · 5 알레망 · 6 브랑쿠 · 7 비스마르크 · 8 바우두 · 9 카레카
10 시우라스 · 11 호마리우 · 12 아카시우 · 13 카를루스 모세르 · 14 아우다이르 · 15 뮐레르 · 16 베베투 · 17 헤나투
18 마지뉴 · 19 히카르두 호샤 · 20 치타 · 21 마우루 가우방 · 22 제 카를루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세바스치앙 라자로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