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01:47:59

히카루가 죽은 여름


파일:히카루가 죽은 여름 로고.webp

등장인물발매 현황애니메이션 (1기 · 2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2096d5><tablealign=center><tablebgcolor=#2096d5>
파일:이 만화가 대단하다!.png
이 만화가 대단하다!
このマンガがすごい!
남성편 1위
}}}
룩 백 (2021년) 히카루가 죽은 여름 (2022년) 다이아몬드의 공죄 (2023년)
히카루가 죽은 여름
光が死んだ夏
The Summer Hikaru Died
<nopad> 파일:히카루가 죽은 여름 1.png
<colbgcolor=#36bef0,#010101><colcolor=#ffffff,#e0e0e0> 장르 바디 스내처, 공포, 크리처, 고어,
청춘, 브로맨스, 퀴어[1], 서스펜스
작가 모쿠모쿠 렌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 KADOKAW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디앤씨미디어
연재처 영 에이스 UP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 카도카와 코믹스·에이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L코믹
연재 기간 2021. 08. 31. ~ 연재 중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7권 (2025. 07. 0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6권 (2025. 06. 20.)
관련 사이트 연재처

1. 개요2. 줄거리3. 발매 현황4. 등장인물5. 평가6. 누계 발행 부수7. 수상8. 미디어 믹스9. 기타10. 외부 링크

1. 개요

일본호러, 바디 스내처 만화. 작가는 모쿠모쿠 렌이다.

2. 줄거리

파일:5pNhNwUEg0QYQi6SGcMqyE.jpg

히카루는 이제 없는 거야… 그렇다면──.

어떤 마을에 사는 소년, 요시키와 히카루.
동갑인 두 사람은 줄곧 함께 자랐다.

그러나 어느 날, 히카루인 줄 알았던 것이
다른 무언가로 바뀌어 있음을 요시키는 확신한다.

그렇더라도, 함께 있고 싶어.

친구의 모습을 한 무언가와 보내는,
평소와 다름 없는 나날이 시작된다.

동시에 마을에서는 괴상한 사건이 일어나는데──.

3. 발매 현황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720><table bordercolor=#dddddd,#010101><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212529,#e0e0e0><bgcolor=#36bef0,#010101><width=33.33%> 01권 ||<-2><bgcolor=#87cbc2,#010101><width=33.33%> 02권[2] ||<-2><bgcolor=#fcc803,#010101><width=33.33%> 03권 ||
파일:히카루가 죽은 여름 1.png 파일:히카루가 죽은 여름 2.jpg <nopad> 파일:히카루가 죽은 여름 3.jpg
<rowcolor=#ffffff,#ffffff>
[ 원서 표지 ]
파일:히카루가 죽은 여름 1권.jpg
[ 원서 표지 ]
파일:히카루가 죽은 여름 2권.jpg
[ 원서 표지 ]
파일:히카루가죽은여름3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2022년 03월 04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2년 10월 04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3년 06월 0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03월 2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07월 2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12월 20일
파일:e북.svg 2023년 04월 20일 파일:e북.svg 2023년 08월 18일 파일:e북.svg 2024년 01월 31일
<rowcolor=#212529,#e0e0e0> 04권[3] 05권 06권
<nopad> 파일:히카루가 죽은 여름 4권.jpg 파일:히카루가 죽은 여름5(한).jpg 파일:히카루가 죽은 여름6(한).jpg
<rowcolor=#ffffff,#ffffff>
[ 원서 표지 ]
파일:히카루가죽은여름4권.jpg
[ 원서 표지 ]
파일:히카루가죽은여름5권.jpg
[ 원서 표지 ]
파일:히카루가 죽은 여름 6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2023년 11월 02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4년 06월 04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4년 12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07월 2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년 03월 2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년 06월 20일
파일:e북.svg 2024년 08월 09일 파일:e북.svg 2025년 04월 30일 파일:e북.svg 2025년 07월 10일
<rowcolor=#212529,#e0e0e0> 07권[4] 08권 09권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rowcolor=#ffffff,#ffffff>
[ 원서 표지 ]
파일:히카루가 죽은 여름 7권.webp
[ 원서 표지 ]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 원서 표지 ]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파일:일본 국기.svg 2025년 07월 04일 파일:일본 국기.svg 미정 파일:일본 국기.svg 미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년 10월 2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파일:e북.svg 미정 파일:e북.svg 미정 파일:e북.svg 미정

4.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히카루가 죽은 여름/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카루가 죽은 여름/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카루가 죽은 여름/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평가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E9EFF><table bgcolor=#fff,#2d2f34><bgcolor=#fff,#111> 파일:리디 로고.svg ||
별점 4.9 / 5.0 | 1960명 참여 2024. 03. 06. 기준


특유의 공포 분위기를 살리는 준수한 작화와 흥미로운 스토리로 호평을 받았다.

【 작중 묘사 모음 】
||<tablebordercolor=#36bef0><bgcolor=#36bef0><tablealign=center> ||<bgcolor=#fff,#2d2f34>
"······야, 내 뭐 하나만 물어봐도 되나?"

《히카루가 죽은 여름》 1권 중. 보이스 코믹(01:46~03:23)
||
파일:FJWaq6yaQAAYCmV.jpg
“···역시 그런 기가? 내가 '진짜 히카루'가 아니라서? 맞나 아이가···. 역시 내로는 안 되나?”
"히카루···."

《히카루가 죽은 여름》 2권 중. 보이스 코믹(01:46~06:18)
파일:FOoIrsiaUAQaJrP.jpg
"요시키?"

《히카루가 죽은 여름》 2권 중.

6. 누계 발행 부수

<rowcolor=#fff,#ddd> 돌파 시점 누계 발행 부수
2권 발매 90만 부
3권 발매 140만 부
7권 발매 350만 부

7. 수상

<rowcolor=#ffffff,#e0e0e0> 연도 수상 내역 순위 및 부문
2022년 차세대 만화대상
WEB 부문
[[https://tsugimanga.jp/winner/2022/web|7위
Global 특별상 【번체자】]]
이 만화가 대단하다!
2022 남성편
1위
2023년 전국 서점원이 선택한 추천 만화 5위
일본 만화대상 11위
모두가 선택하는 TSUTAYA 만화 대상 7위

8. 미디어 믹스

8.1. 소설

히카루가 죽은 여름
光が死んだ夏
<nopad> 파일:소설 히카루가 죽은 여름 KR.jpg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e0e0e0,#e0e0e0> 장르 공포, 크리처, 서스펜스
작가 누카가 미오
삽화가 모쿠모쿠 렌
번역가 송재희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 KADOKAW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디앤씨미디어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 카도카와 코믹스·에이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노벨
발매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 2023. 12. 04. ~ 발매 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09. 27. ~ 발매 중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2권[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권[6]
e북: 1권[7]

작가는 '하늘의 푸르름을 아는 사람이여', '후레루.'의 소설판 등을 집필한 누카가 미오(額賀 澪)이다.

8.2. 애니메이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히카루가 죽은 여름/애니메이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카루가 죽은 여름/애니메이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카루가 죽은 여름/애니메이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기타

파일:히카루가 죽은 여름 키스.jpg
작가가 개인 SNS에 올린 낙서들 중 일부. 현재는 비공개로 돌렸다.}}}
작품이 진행되며 요시키는 히카루를 짝사랑 했지만 생전 히카루는 다른 여학생에게 관심이 있었고, '히카루'는 연애 감정을 느끼지 못해 우정이나 단순 호감을 사랑과 구별하지 못한다는 것이 밝혀진다. 때문에 BL 같은 요소보다는 요시키의 성장에 초점을 맞춘 본작의 성향이 더 부각되기도 한다.

초기 컨셉 아트 등을 보면 BL을 염두에 둔 것은 맞지만, 연재 전 방향을 튼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작가가 BL은 아니지만, 분명히 퀴어적인 요소를 가진 퀴어물이라고 밝히고 있다.# 작가의 발언#에 따르면 로맨스가 중심이라기보다는 인물의 정체성에 관한 요소로 작용하기에 때문에 BL이라는 언급을 지양한 것으로 보인다. 연재 전부터 사랑에 초점을 두지 않고 성장에 중심을 두려고 하고 이를 위해 퀴어적인 요소를 활용했다고 한다.

실제적으로 작품 내에서 성애적 동성애로 해석될 수 있는 부분은, 생전 히카루를 향한 요시키의 짝사랑 장면 정도로 보인다. 다만 생전의 히카루는 시골 환경과 가업 중심의 교육 등 여러 배경 요인 속에서, 요시키에 대한 감정을 단순한 사랑이나 우정으로만 구분하기 어려운 복합적인 형태로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묘사된다. 현재 시점에서의 ‘괴물’이 된 히카루는 그 감정의 정확한 성격을 스스로 분별하지 못하고, 단지 ‘좋아한다’는 감정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이 감정이 사랑이었는지 강한 우정이었는지는 알 수 없게 되었다.

요시키 역시 초반에는 괴물이 된 히카루에게 성애적인 시선을 투영하는 듯한 묘사가 있으나, 이후 괴물로서의 히카루를 친구로 받아들이게 되면서는 연애적 관계보다는 우정과 각 인물의 퀴어성이 더 부각되는 흐름이 나타난다. 이 때문에 요시키가 사랑한 대상은 어디까지나 ‘원래의 히카루’였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10. 외부 링크


[1] 로맨스가 없는 퀴어 이야기라고 작가가 공인하였다. 작가가 '처음부터 BL 태그가 없었다'고 한 말이 와전되어 웹상에서 BL이 아니라고 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작가 본인이 'BL이 아니라고 한 적은 없습니다'라고 X(구 트위터)에서 이를 부정하였고, '장르의 정의는 개인에 따라 다르므로 각 독자의 마음대로라고 생각한다'라고 코멘트 하였다. 프로토 타입은 BL로 제작되었던 이력이 있으며 BL로 분류 되었다고 그게 퀴어가 아니게 되지 않을 뿐더러 둘은 상충되는 요소가 아니라는 점을 유의해야한다.[2] 특장판 표지
파일:히카루가 죽은 여름 2 특장판.jpg
[3] 특장판 표지
파일:히카루가 죽은 여름 4 특장판.jpg
[4] 요시키, 히카루 러버 스트랩 포함 한정판 표지
파일:히카루가 죽은 여름 7권 한정판.webp
[5] 2025. 07. 04. 기준[6] 2024. 09. 27. 기준[7] 2024. 11. 13. 기준[8] 일단 연재지가 여타 여성향 잡지가 아닌 청년만화 잡지인 “영 에이스“인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9] 하지만 작중에서 주인공인 요시키가 히카루에 대해 갖는 감정을 보면 브로맨스라는 표현은 그다지 적절하지는 않다.[10] 히카루가 산에 올라간 시점은 본편, 즉 여름의 반년 전인 겨울이고, 인물들도 당시에 동복을 입고 있다. 요시키가 히카루가 죽었다는 것을 받아들이게 된 시점이 본편인 여름이기 때문이라는 해석 등이 가능하다. 아니면 히카루가 죽은 후 여름날의 이야기라고도 볼 수 있다.[11] 제목의 히카루는 생전 히카루를 표기할 때처럼 한자로 光로 표기하므로 제목의 히카루는 주로 가타가나인 ヒカル로 표기되는 괴물인 히카루를 의미하지 않는 걸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