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0 04:04:21

회계충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무악공고 사천왕
무악공교 소속 인물
주석
표독수
무악공고 사천왕
회계충 파괴용 장의사 ???
<colbgcolor=#dfa858,#000><colcolor=#000,#FFF> 회계충
파일:회계충.jpg
나이 18세
신장 불명
소속 무악공고 (2학년)
→쾌천고등학교 (2학년)
직업 무악공고 사천왕
격투
스타일
유방권
[clearfix]

1. 개요2. 작중 행적
2.1. 무악 공고편2.2. 천산고편
3. 전투력
3.1. 기술 목록3.2. 전적
4. 어록5. 기타

1. 개요

"아닷! 아닷! 아닷! 니엄마!"
"니 엄마 된장찌개 맛없다"

쇼미더럭키짱!의 등장인물로 무악공고 사천왕중 한명.
분석충과 이름이 유사하지만 별개의 인물로, 그냥 간부 A,B에 해당되는 다른 사천왕과는 다르게 유일하게 비중이 많은 인물이다.

2. 작중 행적

2.1. 무악 공고편

무악공고를 내부에서 제압하기 위해 무턱대고 전학온 건마의 옆짝꿍으로 등장하였으며, 첫 만남부터 학교 지키라고 대기시켜논 분석충으로 착각당해 억울하게 욕만 먹었다. 건마 본인은 분석충과 똑같다고 생각했겠지만, 헤어스타일도 안경도 다른데다 주근깨까지 있었다. 그런데 얼굴이 비슷해서 그런지 마영웅도 분석충으로 오해했다.

그러나 박갑수가 다굴을 당하고 있는걸로 알고 갑수네 반으로 쳐들어온 건마 일행이 속았다는것을 깨닫자 정체를 드러냈으며 사실 그의 정체는 무악공고의 4천왕 중 하나로 표독수의 책사였다. 이미 강건마 일행이 전학 오기전부터 강건마 크루들의 계획을 이미 눈치챈지 오래였으며 평범한 학생인 척 연기를 했던것. 이후 그들을 한 자리로 모으기 위해 로 함정에 빠뜨린 뒤 학교 뒤편으로 오라는 주석의 말을 전달하였지만, 우리의 강건마 일행은 생까고 정면돌파를 시전한다. 이후 3번째 주자로 출전해 마영웅과 겨루게 된다.

싸움은 못하고 막말만 잘하는 분석충과는 다르게 중국에서 직접 배운 쿵푸의 고수이자 유방(油防)권[]기름처럼 부드럽게 방어하는 권법이라고 설명되지만 유방권 1초식 이름이 함몰 유두인 걸 봐선 그 유방이 맞다.]의 3대 계승자로 마영웅의 필살기 빽드릴 킥을 부드럽게 흘려보낼 정도로 굉장한 실력자였다. 게다가 도발도 잘 해서 가운데 손가락을 들거나 위의 극악무도한 패드립을 치는 등의 비매너 플레이로 마영웅을 꼭지돌게 한다. 결국 마영웅의 신기술 팻맨킥에 피폭당해 이마에 방사능 마크가 찍힌 채로 허무하게 패배한다.

이후 표독수를 열심히 응원하는 모습으로 비중있게 나오며, 표독수가 패배하고 융가리가 본색을 드러내자 강해지기 위해 유방권을 계승까지 했다면서 질질짜다가 발차기를 맞고 나가떨어져 등장 끝.

2.2. 천산고편

그렇게 다른 간부들처럼 퇴장하고 등장이 없을줄 알았으나, 천산고편에서 분석충이 헬엔젤의 맴버 간나제비와 싸우는 상황에서 재등장. 간나제비에게 밀리는 분석충 사이에 뜬금없이난입하여 간나제비와 싸운다. 그러나 정작 표독수를 제외한 인물들은 분석충이 강해졌다고 생각했던 모양인지 열받아서 자기 이름을 연속으로 강조해댄다.

간나제비에게 밀리던 도중, 공격패턴을 다 파악했다는 말과 함께 어머니에게도 약하다 들은 아기 시절의 과거를 회상하지만 그건 분석충의 과거였다...이후 실망하여 유방권 제 3초식 모유수유로 간나제비를 쓰러뜨린다.

3. 전투력

3.1. 기술 목록


3.2. 전적

EP 상대 결과 비고
VS 마영웅
VS 간나제비 회계충 난입

총 전적 2전 1승 1패.
조연중에서는 최초로 전적 기록. 2번 이상 전투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4. 어록

5. 기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1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 [2] 柔能制剛. 부드러움이 강함을 제압한다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