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21:03:35

환경노동위원회

환노위에서 넘어옴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
상임위원회 및 상설특별위원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88em"
국회운영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정무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교육위원회 과학기술정보
방송통신위원회
외교통일위원회 국방위원회 행정안전위원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농림축산식품
해양수산위원회
산업통상자원
중소벤처기업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
정보위원회* 여성가족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겸임 상임위원회
** 윤리특별위원회는 비상설 특별위원회로서 존속한다.
}}}}}}}}}
 
파일:환경노동위원회 로고.svg

대한민국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環境勞動委員會 | Environment and Labor Committee
<colbgcolor=#f5f5f5,#2d2f34> 약칭 환노위, 노동위, 환경위
위원장
파일:zsdkl3gasdg.svg
안호영 (3선, 전북 완주군·진안군·무주군)
간사
파일:zsdkl3gasdg.svg
김주영 (재선, 경기 김포시 갑)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형동 (재선, 경북 안동시·예천군)
구성 위원 16인/16인, 4개 소위원회
교섭단체
파일:zsdkl3gasdg.svg
9인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인
비교섭단체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1인
공식 사이트 환경노동위원회

1. 개요2. 소개3. 소관기관4. 소위원회5. 소속 위원
5.1. 제22대 국회
6. 역대 위원장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국회상임위원회. 약칭은 환노위이다.

22대 국회 전반기 위원장은 더불어민주당 안호영 의원이다.

2. 소개

환경노동위원회는 환경부고용노동부의 소관에 속하는 사항의 법률·청원등 의안의 심사와 기타 국정감사·국정조사, 예산안 및 결산안 예비심사 등의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1]

1988년 6월 15일 제14차 국회법 개정으로 노동부를 소관으로 한 노동위원회가 설치되었으며, 1994년 6월 28일 제18차 국회법개정에서는 노동부 및 환경처를 소관으로 하여 노동환경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1995년 3월 3일 제19차 국회법개정으로 환경부 및 노동부를 소관으로 하는 환경노동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대 국회에서 환경위원회와 노동위원회로 분리하자는 제안이 있었으나 무산되었다. 환경위원회를 분리해서 보건복지위에 합치고 노동위원회를 별도로 두자는 제안이었는데, 쿨하게 씹혔다.

인기가 별로 없는 상임위원회로 분류된다. 지역구 개발을 위한 예산을 배정받기도 어려운데, 걸핏하면 보수-진보 대립의 온상이 되는 에너지 전환 문제에 더해 노사갈등과 사회적 대화 파행으로 연일 시끄러운 노동 문제의 현안을 논의해야 하는 곳이라 머리가 아프기 때문. 기후위기 대응 및 노동자 인권 신장에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보수정당 의원들은 더욱 기피하려 한다. 반면 민주당계와 군소 진보정당 소속 의원들은 이러한 문제에 상대적으로 긍정적이기 때문에, 이들 중 이곳 위원으로 배정되는 것을 선호하는 의원도 종종 있다. 특히 노동운동가 출신이거나 환경운동가 출신이면 더 선호하기도 한다. 진보정당 의원 중 이곳을 희망하는 의원들은 산하 소위원회들 중 노동 현안 법안 심사 실무를 맡는 '고용노동소위원회'에 들어가는 것을 가장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일례로 20대 국회에서의 정의당 이정미 의원과 21대 국회에서의 강은미 의원이 고용노동소위에서 배제되자 정의당이 강하게 반발한 적 있다. #

그래도 환경부 관련 사업은 지역구 사업이 좀 있다. 그런데 정말로 환노위에서 환경부가 복지위로 넘어가는 순간 여기는 국방위보다도 못한 신세로 전락할게 뻔한 상황.

위원장은 대부분 민주당계에서 나왔다. 제13대 국회부터 제21대 국회까지 단 두 차례를 빼고 민주당 계열이나 민주당 계열과 연정을 한 자민련 출신이 위원장 직을 맡았다. 하지만 제17대 국회에서는 한나라당이 잠시 위원장을 차지한 적이 있다. 이후 20대 국회 후반기에 다시 자유한국당 몫으로 배정되며 10년 만에 되돌아왔다. 제21대 국회 때 다시 더불어민주당 몫이 되었다가 이후 국민의힘이 탈환했다. 그러나 후반기 때는 다시 더불어민주당이 가져갔고 제22대 국회에서도 더불어민주당이 가져갔다.

3. 소관기관

환경부, 고용노동부, 기상청 및 해당 기관들의 소속, 산하기관 들이 환경노동위원회의 소관기관이다.[2]

3.1. 환경부

3.1.1. 기상청

3.2. 고용노동부

4. 소위원회

5. 소속 위원

5.1. 제22대 국회

파일:국회휘장.svg 환경노동위원회
구성 의원 소속 정당 선수
위원장 안호영
파일:zsdkl3gasdg.svg
3선
간사 김주영
파일:zsdkl3gasdg.svg
재선
간사 김형동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재선
위원 강득구
파일:zsdkl3gasdg.svg
재선
위원 김태선
파일:zsdkl3gasdg.svg
초선
위원 박정
파일:zsdkl3gasdg.svg
3선
위원 박해철
파일:zsdkl3gasdg.svg
초선
위원 박홍배
파일:zsdkl3gasdg.svg
초선
위원 이용우
파일:zsdkl3gasdg.svg
초선
위원 이학영
파일:zsdkl3gasdg.svg
4선
위원 김소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초선
위원 김위상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초선
위원 우재준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초선
위원 임이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3선
위원 조지연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초선
위원 정혜경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초선

6. 역대 위원장

회기 성명 정당 선수
노동위원회
13대 전반 김영배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3선
한광옥 재선
후반
14대 전반 장석화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노동환경위원회
14대 후반 홍사덕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3]
3선
환경노동위원회
15대 전반 이긍규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3선
후반 김범명 재선
16대 전반 유용태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윤수 3선
후반 송훈석 재선
17대 전반 이경재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3선
후반 홍준표
18대 전반 추미애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후반 김성순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재선
19대 전반 신계륜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4선
후반 김영주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재선
20대 전반 홍영표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선
후반 김학용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1대 전반 송옥주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재선
박대출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3선
후반 전해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정 재선
22대 전반 안호영
파일:zsdkl3gasdg.svg
3선

[1] 국회법 제37조 제1항 제13호.[2] 대한민국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홈페이지 소관기관 항목 참조[3] 새정치국민회의에 따라갔다가 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