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07:53:11

홍지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복사구름 홍지광에 대한 내용은 조윤의 복사구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복사구름 홍지광:
조윤의 복사구름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강북
강북북고등학교
{{{#!wiki style="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No.1
강세찬

조윤✝︎
No.2
다니엘
No.3 No.4 No.5 No.6
태산
마정두
서지원 장준 홍지광
(복사구름)
No.7 No.8 No.9 No.10
여포
천태호
진궁
하선우
경의진 류시경
No.11 No.12 No.13 No.14
허진태✝︎ 지은형 임태형 도민우
No.15 No.16 No.17 No.18
홍백기 백찬호 조민호 배혁재
No.19 No.20 No.21 No.28
송정우 양천학 장석진 최강산
No.31 No.39 No.49 No.50
구진석 성하루 최한별 이정찬
기타 조직원
이세훈 진우현 전우찬 이성희
정의혁 한영진 고강문 우진영
김구성 원시후 연서희
산하 조직
강북서고등학교
†: 현재 사망한 인물
}}}}}} ||
<colbgcolor=#222><colcolor=#fff> 홍지광
[ruby(赤, ruby=あか)][ruby(根, ruby=ね)] [ruby(剛, ruby=つよし)][1] | Jikwang Hong | 洪智光
파일:홍지광.jpg
나이 18세
신체 191cm, 112kg
소속 강북북고등학교 (No.6 / 이전)
격투
스타일
크라브 마가
등장 작품 퀘스트지상주의

1. 개요2. 작중 행적
2.1. 최종전 (137화~159화)
2.1.1. 진실
2.2. 조윤 (160화~170화)
2.2.1. 최후
3. 전투력
3.1. 전적
4. 인간관계5. 여담

[clearfix]

1. 개요

네이버 웹툰퀘스트지상주의》의 등장인물.

2. 작중 행적

2.1. 최종전 (137화~159화)

137화에서 하선우가 홍지광에 대해 설명하고 있을 때 단신으로 강북서고에 처들어 오는 것으로 첫 등장. 다만 그 자리에 김수현이 있던 만큼 이변이 없다면 홍지광에게 승산은 없다시피 한 상황.[2] 다니엘도 홍지광의 독단행동을 탐탁지 않아해서 관리가 필요하지 않겠냐고 마정두에게 교육을 맡긴다.

138화에서는 김수현과 하선우, 한재하, 지은형이 곧바로 공격을 가하지만 순식간에 모두 피해버리고, 이왕 온김에 제거하겠다며 장지혁을 공격하려 하지만 김수현에게 막히고 그와 일대일로 겨루는데 놀랍게도 그의 공격을 전부 피하는 모습을 보여준다.[3] 김수현 본인도 본인의 속도가 더 빠른데 어떻게 피하는건지 의아해하고, 공격을 날리지만 김수현의 가드 피스트, 스턴 피스트 연계에 타격을 허용하고 만다. 그대로 김수현이 슬라임에서 꺼낸 목도로 끝내려 했지만 카드를 통해 상태이상을 해제하고 그대로 회피한다.

류시경과 천태호가 추가로 난입한 것을 보고 그대로 도망치려 하고, 그대로 건물 4층에서 뛰어내린다. 김수현은 그 정도 높이인 만큼 부상이 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서고 학생들에게 잡으라 하지만 그 자리에는 아무도 없었다.

이후 어떻게 돌아온 것인지는 불명이나 다시 본거지로 돌아와서 부하로부터 서고 간부가 북고로 쳐들어왔다는 말을 듣게 되고, 이에 대해 자신이 스스로 그 간부를 정리해야겠다고 말한다.

139화에서 구하준과 싸우는데 그를 조롱하며 여유롭게 싸운다.

2.1.1. 진실

파일:140화홍지광.jpg
140화에서 본격적으로 구하준과 붙는데 구하준의 공격을 스탯 체인지를 통해 죄다 피하고 구하준을 단 한방에 쓰러뜨렸다. 이후 구하준이 알 수 없는 기운을 내뿜으며 일어나자 즉시 위험하다고 판단하여 필요 이상으로 구하준을 구타하고 부하들에게 그를 치우라고 한 채 본인을 갈 곳이 있다고 말한다.이후 조윤을 도우러 등장하는데 김수현이 이렇게 먼곳을 빨리 도착할 수 있는 거리가 아니라면서 당황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실 홍지광은 조윤의 복사구름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게 된다.

조윤의 퀘스트 보상이 전부 몰수당했기에 복사구름인 홍지광 역시 소멸되었을 것이다. 진짜 홍지광도 조윤에게 덤볐다가 살해당하고 복사구름으로 바꿔치기 당한 것으로 밝혀졌기에 사실상 네임드 캐릭터들중에서는 허진태와 같이 사망한 유이한 인물이 되었다. 어딘가에서 쓰러진 모습이 발견되지 않는이상 사망처리로 끝날것으로 보인다.

2.2. 조윤 (160화~170화)

복사구름이 아닌 본래 홍지광으로서 행적이 처음 밝혀지는데 당시 강북북고 지역에 쳐들어온 염창웅과 대치했다는 언급이 나온다. 이 당시에도 No.6 이었던 걸로 밝혀졌다.

조윤이 의심되는 나머지 미행하려다가 조윤으로부터 거슬린다라는 말을 듣는데 자세한 상황을 알기 위해 조윤을 미행한다. 여기서 홍지광은 조윤이 배혁재로부터 잡혀온 가출팸들이 흡성대법에 의해 죽는 광경을 보게 된다.

하지만 조윤은 미리 카메라 카드로 보고 있었는지는 몰라도 이미 홍지광이 자신을 미행한 것을 알고 있었고 조윤으로부터 널 복사구름으로 복사 후 흡성대법으로 죽여서 슬라임 먹이로 던져 이 세상에 복사된 홍지광만 남을 거라는 말을 듣게 된다.[4]

결국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조윤이 먼저 복사구름으로 자신을 복사하려 하자 복사구름의 속박을 풀어버리고 이상한 기분이 들었다고 하고 곧바로 조윤에게 달려들며 싸우지만 안타깝게도 이미 복사구름이 복사를 완료한 상태였다. 하물며 흡성대법으로 여러 차례 강해진 조윤 상대로는 매우 버거웠고, 고전하다가 그 사이에 공격한 배혁재에게 공격을 허용당하고 배혁재와 싸우던 도중 조윤의 발경을 맞고 패배한다.

2.2.1. 최후

조윤으로부터 예전부터 마음에 안 들었다는 소리를 듣고 자신을 잡고 흡성대법을 시전하려 하자 필사적으로 자신의 휴대폰을[5] 잡으려 하지만 흡성대법에 완전히 당해버리고,[6] 조윤의 복사구름이 자신의 행세를 하게 된다.

3. 전투력

파일:165화홍지광1.jpg파일:165화홍지광2.jpg
배혁재를 압도하는 홍지광
원본 홍지광은 최후를 맞이하기 전까지 상태창이 공개되지 않아 정확한 전투력의 측정이 어렵다. 그러나 본인이 실전에서 보여준 전투력은 과거 기준 북고 간부들 중 확실한 상위권이다. 이때의 강북북고 간부들 대부분보다 능력치가 높았던 강자인 배혁재[7]와의 전투에서 단 한 대도 맞지 않고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는 모습을 보였으니 말 다한 셈이다. 심지어 이 시점에서 비정상적인 속도로 성장 중이던 조윤과도 거의 호각을 이뤘고, 끝내 조윤에게 패배하기는 했지만 이조차도 배혁재가 홍지광의 시선을 끄는 동안 조윤이 당시 기준 가장 강력한 카드인 '발경'을 넣어 이긴 것이기에 조윤보다 무력이 약하다고 단정짓기도 어렵다.

전투 장면에서 대략적으로나마 홍지광의 종합 능력치는 추정이 가능하다. 힘은 맷집
A
급의 배혁재에게 한 방을 맞힐 때마다 고통을 유발할 수 있을 정도로 유효한 타격이 들어갔기에 최소한 급, 높은 확률로
A
급 이상이다. 또한 도망치던 와중에도 속도 급의 배혁재가 기습해 오는 것을 반응해 회피하고, 되려 본인이 배혁재가 반응하지 못할 정도의 역공을 가하였으니 속도는 최소 급 이상이다. 맷집은 힘과 속도만큼 구체적인 예상이 가능한 건 아니지만, 조윤의 일반적인 공격을 무난히 가드할 수 있되 '발경'에는 일격에 제압되는 것으로 보아 타 간부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일반적인 스탯으로 어림해 볼 수 있다. 이를 종합하면 당시 서열인 No.6을 훨씬 웃도는 전투력을 지닌 것으로 보이며, 애초에 No.3보다 강한 전투원을 압도했다는 점에서 그 증명도 충분히 해냈다.[8]

또한 복사구름의 능력치를 봤을 때 두뇌와 잠재력이 모두
A
급일 확률이 높다. 실제로 조윤의 크루 가입 후 누구보다 그의 행적을 빠르게 의심한 만큼 지능이 높은 편임을 입증하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이처럼 성장이 끝날 시 그 최고점이 상당히 높을 유망주였으나, 안타깝게도 '흡성대법'에 의해 능력치와 생명력을 전부 흡수당한 후 복사구름으로 대체되었다. 해당 복사구름의 전투력은 조윤의 복사구름 문서 참조.

3.1. 전적

{{{#!wiki style="letter-spacing: -1.3px; word-break: keep-all"

4. 인간관계

5. 여담



[1] 아카네 츠요시[2] 당장 전력의 천태호가 홍지광보다 강한 것으로 묘사되는데 김수현은 순수 스펙만으로도 전력의 천태호보다 우위에 있다. 거기에 김수현은 카드로 상당한 버프를 추가로 받을 수 있어 전력 차는 더욱 커진다.[3] 홍지광의 속도 스탯도 MR+로 마냥 낮은 수준은 아니지만 김수현은 다니엘과의 싸움에서 카드 뷔페를 통해 얻은 육성 카드를 전부 본인에게 사용하면서 속도 스탯을 X등급까지 끌어올렸다.[4] 이때부터 원본 홍지광은 사망하고, 복사구름만이 남아 조윤의 개가 된 것으로 보인다.[5] 이 때 강세찬으로부터 걸려온 전화 장면이 나온다.[6] 이후 장면은 나오지 않지만 이미 조윤이 직접 시체는 슬라임 먹이로 던지겠다는 말을 했기에 허진태에게 했던 것처럼 흡성대법으로 죽인 후 슬라임으로 시체를 넣어 증거인멸했을 것이다.[7] 현재 기준 배혁재는 북고에서 No.18이라는 낮은 서열에 위치하지만, 이때는 No.1 강세찬, No.2 다니엘, 서열에 관심이 없는 천태호를 제외하고 배혁재보다 강한 간부가 없었다. 다시 말해 배혁재는 No.3 경의진보다 강하였다.[8] 심지어 강세찬에 대한 홍지광의 충성심은 중학교 때부터 지속되어 왔을 정도로 강했다고 하는데, 왜 홍지광의 서열이 전투력 대비 저평가되었는지는 큰 의문점으로 남게 되었다.[9] 각각 선역이였던 원본은 악역인 조윤의 흡성대법에, 악역이었던 복사구름은 선역인 김수현의 마나드레인에 최후를 맞이했다. 아이러니하게 원본과 복사구름의 최후가 비슷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