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4:09:05

호랑이 형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네이버 웹툰}}}에 대한 내용은 [[호랑이형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호랑이형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호랑이형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네이버 웹툰: }}}[[호랑이형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호랑이형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호랑이형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줄거리3. 전문4. 여담

1. 개요

어린이날로 유명한 소파 방정환이 지은 동화로 어린이 1926년 1호에 수록되면서 처음 발표되었다.

'호랑이 형님과 나무꾼 아우', '호랑이 형님과 나무꾼 동생' 같은 제목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원제는 '호랑이 형님'이 맞다[1].

2. 줄거리

내용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옛날 옛적에 산에서 나무를 하며 어머니를 봉양하는 나무꾼은 어느날 호랑이를 만났다. 이때 꾀를 낸 나무꾼이 사실 우리는 서로 형제이며 형님이 집을 나가 돌아오지 않았는데 어머니께서 형님이 호랑이가 되어 돌아오지 않는 것 같다 말씀하셨고 드디어 형님을 뵙게 되었다며 기뻐하는 척을 한다. 이에 속아넘어간 호랑이는 그 말을 사실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고 나무꾼을 보내준다. 그리고 짐승을 잡을 때마다 나무꾼의 집에 몰래 두고 가 어머니를 봉양케 하는 등 나무꾼의 어머니께 효도를 다 한다. 시간이 흘러 나무꾼의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자신의 어머니가 돌아가셨다고 생각한 호랑이는 슬픔을 이기지 못한 나머지 통곡하다 세상을 떠나게 된다. 그 사실을 호랑이의 자녀들로부터 알게 된 나무꾼도 감복하고 눈물을 흘리며 다음 세상에서는 꼭 친형제로 만나자며 어머니의 묘 옆에 호랑이를 묻어준다.

이와 같이 짤막하지만 심금을 울리는 감동적인 내용으로 오늘날에도 인기가 많은 이야기이다.

3. 전문

옛날 호랑이 담배 먹을 적 일입니다. 지혜 많은 나무꾼 한 사람이 깊은 산 속에 나무를 하러 갔다가, 길도 없는 나무 숲속에서 크디큰 호랑이를 만났습니다. 며칠이나 주린 듯싶은 무서운 호랑이가 기다리고 있었던 듯이, 그 큰 입을 벌리고 오는 것과 딱 맞닥뜨렸습니다. 소리를 질러도 소용이 있겠습니까, 달아난다 한들 뛸 수가 있겠습니까. 꼼짝달싹을 못 하고, 고스란히 잡혀먹히게 되었습니다. 악 소리도 못 지르고, 그냥 기절해 쓰러질 판인데, 이 나무꾼이 원래 지혜가 많고 능청스런 사람이라, 얼른 지게를 진 채 엎드려 절[拜禮]을 한 번공손히 하고, “에구, 형님! 인제야 만나 뵙습니다그려.”하고, 손이라도 쥘 듯이 가깝게 다가갔습니다. 호랑이도 형님이란 소리에 어이가 없었는지, “이놈아, 사람 놈이 나를 보고 형님이라니, 형님은 무슨 형님이냐?”합니다. 나무꾼은 시치미를 딱 떼고 능청스럽게, “우리 어머니께서 늘 말씀하시기를, 너의 형이 어렸을 때 산에 갔다가 길을 잃어 이내 돌아오지 못하고 말았는데, 죽은 셈치고 있었더니, 그 후로 가끔가끔 꿈을 꿀 때마다 그 형이 호랑이가 되어서 돌아오지 못한다고 울고 있는 것을 본즉, 분명히 너의 형이 산 속에서 호랑이가 되어 돌아오지 못하는 모양이니, 네가 산에서 호랑이를 만나거든 형님이라 부르고 자세한 이야기를 하라고 하시었는데, 이제 당신을 뵈오니 꼭 우리 형님 같아서 그럽니다. 그래, 그 동안 이 산 속에서 얼마나 고생을 하셨습니까?”하고 눈물까지 글썽글썽해 보였습니다. 그러니까, 호랑이도 가만히 생각하니, 자기가 누구의 아들인지 그것도 모르겠거니와, 낳기도 어디서 낳았는지 어릴 때 일도 도무지 모르겠으므로,그 사람 말같이 자기가 나무꾼의 형이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게 생각하기 시작하자 어머니를 그렇게 오래 뵙지 못하고 혼자 산속에서 쓸쓸히 지내온 일이 슬프게 생각되어서, “아이고, 얘야, 그래 어머니께선 지금도 안녕히 계시냐?”하고 눈물을 흘렸습니다. “예, 안녕하시기야 하지만, 날마다 형님 생각을 하고 울고만 계십니다.오늘 이렇게 만났으니, 어서 집으로 가서 어머님을 뵙시다.”하고, 나무꾼이 조르니까, “얘야, 내 마음은 지금 단숨에라도 뛰어가서 어머님을 뵙고, 그 동안 불효한 죄를 빌고 싶다만, 내가 이렇게 호랑이 탈을 쓰고서야 어떻게 갈 수가있겠느냐……. 내가 가서 뵙지는 못하나마, 한 달에 두 번씩 돼지나 한 마리씩 갖다 줄 터이니, 네가 내 대신 어머님 봉양이나 잘 해 드려라.”하였습니다. 그래서 나무꾼은 죽을 것을 면해 가지고 돌아와 있었더니 호랑이는 정말로 한 달에 두 번씩, 꼭 초하루와 보름날 밤에 뒤꼍 울타리 안에 돼지를 한 마리씩 놓고 가는 것이었습니다. 나무꾼은 그것이 밤 사이에 호랑이가 어머님 봉양하느라고 잡아다 두고 가는 것인 줄을 알았습니다. 그 해 여름이 지나고 또 가을이 지나고 또 겨울이 날때까지, 꼭 한 달에 두 번씩 으레 돼지를 잡아다 두고 가더니, 그 후 정말 어머니가 돌아가셨는데, 그 후로는 영영 초하루와 보름이 되어도 돼지도 갖다 놓지 않고, 만날수도 없고, 아무 소식도 없어져 버렸습니다. 그래 웬일인가 하고 궁금하게 지내다가, 하루는 산에 갔다가 조그만 호랑이 세 마리를 만났는데, 겁도 안 내고 가만히 보니까, 그 꼬랑지에 베 [布]헝겊을 매달고 있었습니다. 하도 이상해서 그것이 무엇이냐고 물어 보니까. 그 작은 호랑이는 아주 친하게, “그런 게 아니라오. 우리 할머니는 호랑이가 아니고 사람인데, 그 할머니가 살아 계실 때는 우리 아버지가 한 달에 두 번씩 돼지를 잡아다 드리고 왔는데, 그 할머니가 돌아가셨다는 말을 듣고, 그날부터 우리 아버지는 굴 밖에 나가지도 않고, 먹을 것을 잡아오지도 않고, 굴 속에만 꼭 들어앉아서 음식도 안 먹고, ‘어머니 어머니’ 하고 부르면서 울고만 계시다가 그만 병이 나서 돌아가셨답니다. 그래 우리들이 흰 댕기를 드렸답니다.”하였습니다. 아무리 한때의 거짓 꾀로 호랑이를 보고 형님이라고 하였던 일이라도, 그 말 한 마디로 말미암아 호랑이가 그다지도 의리를 지키고, 효성을 다한 일에 감복하여, 나무꾼도 눈물을 흘렸습니다. (《어린이》1926년 신년호) 공유마당 전문

4. 여담



* 이야기보따리에서 슬픈 결말이 행복한 결말로 바뀌어 나오며 형이 천년묵은 호랑이에게 물려서 호랑이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나오며, 호랑이는 동물을 사냥해서 어머니를 효도하고 뱀과 전투를 해서 승리를 한 다음 산삼을 구해 어머니의 병환을 낫게 해주고 처녀를 데려다 나무꾼을 행복하게 만들었다. 이렇게 행복한 삶을 살고 어머니는 호랑이가 된 아들을 보고 싶다고 호랑이 형님을 데려오시라고 하였고, 다음날 나무꾼은 호랑이 형님에게 어머니를 뵈러가자고 제안하며 그 말을 들은 호랑이 형님은 매우 기뻐하여 어머니를 뵈러 나무꾼의 집에 가게 되었다. 그렇게 해서 어머니의 말을 들은 호랑이 형님은 기쁨의 눈물을 흘리고 그 후로 나무꾼의 어머니에게 효를 다하게 되었다.


[1] 더불어 '호랑이'와 '형님' 사이는 띄어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