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6 22:31:38

호동(자명고)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배역의 실존인물에 대한 내용은 호동왕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자명고(드라마)/등장인물
,
,
,
,
,
<colcolor=#fff><colbgcolor=#728489> 호동왕자
好童
파일:호동왕자_프로필.jpg
본명 해호동(解好童)
가족 아버지 대무신왕, 어머니 아란
계모 송매설수
이복동생 해애우
고모 여랑 고모부 우나루
배우 정경호 | 여진구(아역) | 강수한(아역)[1]
직위 고구려 왕자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나는 세 명의 여인으로 인해 괴로웠다. 내 어머니 아란, 내 심장 속에 집을 짓고 사는 여인 자명, 치졸하나 그 사랑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던 라희. 내 어머니는 어찌해서 적국 부여의 딸이며.. 자명, 너는 또 어찌하여 고구려와 검날을 겨뤄야하는 낙랑의 딸이란 말이냐. 나는 내 어머니를 부정했듯이, 일생 내 심장에 칼을 박고 살더라도 자명, 너를 죽여야 한다. 치졸하여 대장부가 할 짓이 아니라 해도, 라희의 순정을 짓밟아야만 한다. 왜냐하면.. 나는 위대한 대무신왕의 아들이며, 왕이 되는 것이 내 운명이기 때문이다. 사랑을 잃고는 살아갈 수 있으나, 왕위를 잃고는 살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고구려의 왕자. 고구려 제3대 왕인 대무신왕 무휼의 장자. 이름조차 '잘생긴 사람'이란 뜻일 정도로 미려한 외모와 기품을 지녔다. 총명하고 야망이 크다. 증조부 동명성왕처럼 신궁의 솜씨를 지녀 백성들에게 주몽의 부활로 추앙 받는다. 아버지 무휼을 존경하며, 그 뒤를 이어 고구려를 부국강병(富國强兵)한 국가로 만들겠다, 부여를 완전히 복속시키고 낙랑을 멸망시켜 대국을 이루겠다는 야심이 있다. 부여 출신 차비 아란과 무휼 사이에서 장자로 태어나지만, 어머니의 출신성분이 호동에게는 치명적인 약점이다. 고구려의 정통 귀족인 비류나부 출신의 송매설수가 무휼의 원비로 들어오자 후계자 구도를 둘러싸고 권력 암투에 시달린다. 원비가 호동의 동생 해애우(후일 고구려 5대 모본왕)를 낳기 전에, 태자로 책봉되어야 했으나 부여왕의 외손이라는 출신 성분 때문에 좌절된다.


1. 개요2. 작중 행적3. 평가4.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정경호_자명고.gif
[공식 홈페이지 소개]
"나는 세 명의 여인으로 인해 괴로웠다. 내 어머니 아란, 내 심장 속에 집을 짓고 사는 여인 자명, 치졸하나 그 사랑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던 라희. 내 어머니는 어찌해서 적국 부여의 딸이며.. 자명, 너는 또 어찌하여 고구려와 검날을 겨뤄야하는 낙랑의 딸이란 말이냐. 나는 내 어머니를 부정했듯이, 일생 내 심장에 칼을 박고 살더라도 자명, 너를 죽여야 한다. 치졸하여 대장부가 할 짓이 아니라 해도, 라희의 순정을 짓밟아야만 한다. 왜냐하면.. 나는 위대한 대무신왕의 아들이며, 왕이 되는 것이 내 운명이기 때문이다. 사랑을 잃고는 살아갈 수 있으나, 왕위를 잃고는 살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고구려의 왕자. 고구려 제3대 왕인 대무신왕 무휼의 장자. 이름조차 '잘생긴 사람'이란 뜻일 정도로 미려한 외모와 기품을 지녔다. 총명하고 야망이 크다. 증조부 동명성왕처럼 신궁의 솜씨를 지녀 백성들에게 주몽의 부활로 추앙 받는다. 아버지 무휼을 존경하며, 그 뒤를 이어 고구려를 부국강병(富國强兵)한 국가로 만들겠다, 부여를 완전히 복속시키고 낙랑을 멸망시켜 대국을 이루겠다는 야심이 있다. 부여 출신 차비 아란과 무휼 사이에서 장자로 태어나지만, 어머니의 출신성분이 호동에게는 치명적인 약점이다. 고구려의 정통 귀족인 비류나부 출신의 송매설수가 무휼의 원비로 들어오자 후계자 구도를 둘러싸고 권력 암투에 시달린다. 원비가 호동의 동생 해애우(후일 고구려 5대 모본왕)를 낳기 전에, 태자로 책봉되어야 했으나 부여왕의 외손이라는 출신 성분 때문에 좌절된다.

드라마 《자명고》의 주인공. 아버지의 사랑만 바랬지만 결국 아버지의 사랑도, 사랑하는 여인도 얻지 못한 남자.

2. 작중 행적

대무신왕과 부여 출신 차비 아란[2]의 소생. 심약한 성격을 가진 왕자지만 일단은 장남이자 유일한 아들인지라 어린 시절에는 자신이 자연스럽게 왕이 될 줄 알았다. 그러나 계모 송매설수에 의해 그렇지 않다는 것을 확인받고 또 계모가 자신을 얼마나 미워하고 견제하는지를 알게 되자 왕이 되어 살아남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하게 된다.

이후에는 권력을 위해 낙랑공주를 이용한다. 그의 진심은 모조리 자명공주에게로 가 있으며 낙랑공주는 그저 아버지 대무신왕의 신임을 얻어 고구려의 태자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이용할 뿐이었다. 결국 자명이 낙랑을 지키는 걸 선택하자 그녀를 되찾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낙랑을 거꾸러뜨리겠다고 다짐한다. 그러나 낙랑을 갖기 위해서는 자명까지도 죽여야 하는게 아이러니다. 결국 낙랑공주를 유혹해 자명고를 찢게 하면서 낙랑을 멸망시키는데 성공하지만 이로 인해 망국의 왕이 된 최리는 호동의 손에 죽고, 낙랑공주마저 모든 책임을 뒤집어쓰고 모하소와 함께 낙랑의 백성들에게 돌팔매질로 처형당하는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다. 그토록 사랑하는 자명의 아버지와 어머니부터 이복자매까지 모조리 죽게 만든 셈.

낙랑의 멸망과 낙랑공주의 사망 이후에도 줄곧 자명을 찾아 헤매다가, 마침내 재회하지만 서로의 나라를 걸고 칼싸움을 벌인다. 하지만 이내 자명을 죽이기 위해 고구려군이 다가오자 차마 그들의 손에 자명을 잃을 수 없어서, 그녀를 껴안은 채로 등에 칼을 꽂아넣어 함께 자살하는 것으로 호동왕자와 자명공주의 관계는 끝난다. 삼국사기에서 호동왕자가 계모의 학대에 못 이겨 자살하였다고 기록되어있는 걸 적절히 비튼 결말.

3. 평가

4. 기타


[1] 대략 5세 무렵[2] 공식 설정에 따르면 부여왕의 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