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7 20:04:26

현대리바트


파일:현대백화점그룹 로고 블랙.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9c7d><colcolor=#fff> 계열사
지주 회사 현대지에프홀딩스
유통 현대백화점 (현대백화점 | 현대아울렛) | 현대디에프 | 현대홈쇼핑 (현대렌탈케어)
패션/뷰티 한섬
식품 현대그린푸드
생활 현대리바트 | 현대L&C | 지누스
IT 현대IT&E | 현대퓨처넷
여행/복지 현대드림투어 | 현대이지웰 | 현대벤디스
건설 장비 현대에버다임
바이오 현대바이오랜드
자동차 장비 대원강업 (대원정밀공업 | 삼원강재)
기타 현대백화점 여자 양궁단 | 현대백화점사회복지재단
}}}}}}}}} ||
<colbgcolor=#009882><colcolor=#ffffff>
현대리바트
HYUNDAI LIVART FURNITURE COMPANY LIMITED
파일:현대리바트 로고.svg
정식 명칭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영문 명칭 HYUNDAI LIVART FURNITURE COMPANY LIMITED
설립일 1999년 6월 2일[1]
기업 규모 대기업
대표이사 윤기철
상장 유무 상장 기업
상장 시장 유가증권시장 (2005년~ )
종목 코드 079430
소재지 경기도 용인시 남사읍 경기동로 316 (북리)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post

1. 개요2. 역사3. 지배구조4. 사업영역5. 사업장
5.1. 국내5.2. 해외
6. 특징

1. 개요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사 중 하나로 대한민국의 B2C, 사무용, 빌트인 가구 제조 및 판매와 자재유통, B2B(기업 간 거래) 산업재 도매 및 중개업 등을 영위하는 종합가구회사이다.

2. 역사

1977년, 현대그룹 계열의 현대건설 가구사업부가 분사해 금강목재공업으로 회사가 출범한 뒤 1979년 리바트 브랜드를 런칭하였다. 이후 현대종합목재산업으로 이름을 변경한 뒤 사업을 영위해오다가 1998년, IMF 외환위기 여파로 그룹 구조조정 과정에서 고려산업개발에 매각되었다.

1999년 주식회사 리바트란 이름으로 우리사주회사로 분리 독립하게 되었지만 2011년 사무용 가구 시장의 경쟁 업체인 퍼시스가 적대적 인수시도를 하자 현대백화점그룹이 백기사를 자처 하면서 지분율을 13%까지 늘려 리바트는 2012년 현대백화점그룹의 계열사로 편입돼 다시 현대가 품으로 돌아오게 된다. 2013년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사인 현대그린푸드가 리바트의 경영권을 인수했고 2014년 리바트의 사명은 현재 이름인 현대리바트로 변경됐다.

2017년 MRO 사업 및 유니폼·작업복 제조회사인 현대H&S를 인수 합병해 기존의 사업들 외에 법인쇼핑몰 및 기업 유니폼 생산·공급 사업에도 진출했다.

3. 지배구조

※ 2025년 3월 기준
현대리바트
HYUNDAI LIVART FURNITURE COMPANY LIMITED
<rowcolor=#fff> 주주명 지분율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현대지에프홀딩스
41.2%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자사주
2.1%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국민연금공단
1.3%

4. 사업영역

5. 사업장

5.1. 국내

5.2. 해외

6. 특징

자사에서 생산하는 가구 전품목을 E0자재로 만든다. 그동안 업계 1위 한샘에 가려 2인자 위치에 있다가 24년 9월 만년 콩라인을 벗어나 업계 1위를 달성하는 듯 했으나... 2024년 4분기에 역전당하며 2위에 머무르는 중. 하지만 1위와 격차는 크지 않다.

같은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인 현대그린푸드, 한섬과 함께 범현대가 내부거래량이 상당한 회사이기도 하다. 범현대가 기업 사무실의 책상, 의자 사무집기 등을 주로 전담해서 납품하고 있으며 현대자동차기아, HD한국조선해양의 자회사들인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HD현대삼호 등의 기업 근무복, 작업복 등을 이 회사에서 납품하고 있다.
[1] 현 법인 설립연도 기준.[2] 선박용 가구는 주로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HD현대삼호 등에 납품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