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4 23:40:30

헤븐 번즈 레드/콘텐츠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헤븐 번즈 레드
파일:HBR_logo_kr.png
세라프 대원 | | 전투 | 소지품 (오브)
메인 스토리 | 이벤트 | 기타 콘텐츠 (라이브 | 아츠 배틀) | 강화/육성 (던전)
메인 | 단편 | 이벤트 | 콜라보
세라프 부대 | 콜라보 부대 | 그 외 등장인물
세라프 부대 | 캔서 | 나비
음반 | 주제가 | She is Legend


1. 개요2. 메인 스토리
2.1. 흐름2.2. 자유시간
2.2.1. 기지
2.2.1.1. 아레나2.2.1.2. 상점
2.2.2. 토벌2.2.3. 액티비티
2.2.3.1. 추가 이벤트 선택지
2.2.4. 그 외
2.3. 단편
3. 이벤트
3.1. 스토리 이벤트
3.1.1. 이벤트 프리즘3.1.2. 이벤트 교환소
3.2. 스코어 어택3.3. 항성 소탕 전선
4. 홈 설정5. 콘텐츠
5.1. 디오라마5.2. 라이브 모드5.3. 갤러리5.4. 아츠 배틀
6. 강화/육성
6.1. 기억의 정원
6.1.1. 교환 & 연성6.1.2. 메모리 스토리
6.2. 던전6.3. 프리즘 배틀/보석 프리즘
6.3.1. 프리즘 배틀6.3.2. 보석 프리즘6.3.3. 이벤트 프리즘
6.4. 오브 보스
6.4.1. 오브 보스 Ⅰ6.4.2. 오브 보스 Ⅱ6.4.3. 오브 보스 Ⅲ
6.5. 시간의 수련장6.6. 시계탑6.7. 한계 돌파 수정6.8. 뒤틀린 시간층
6.8.1. 4.5.0 리뉴얼 버전

1. 개요

헤븐 번즈 레드의 콘텐츠를 설명하는 문서.

2. 메인 스토리

2.1. 흐름

일반적으로 아침에 기상하여 시간표식으로 진행, 일정 시각에 대화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전투 또는 던전, 자유시간 중 하나가 진행된다.

2.2. 자유시간

스토리 진행 중 특별한 이벤트가 없는 저녁 시간과 일요일의 낮 시간에는 자유시간이 주어진다. 자유시간에는 특정 캐릭터와의 교류를 비롯 아래와 같은 활동을 할 수 있으며, 그 중 교류, 토벌, 액티비티 중 하나의 활동을 하면 자유시간이 종료된다. 스토리 중에는 라이프가 소모되지 않지만, 과거로 돌아가 그와 같은 활동을 할 경우 라이프가 하나 소모된다.

2.2.1. 기지

2.2.1.1. 아레나
메인스토리 진행 중 자유시간에 입장할 수 있는 시설으로, 헤번레의 기본적인 육성을 담당하는 곳. 기본적으로는 직접 기지 내에서 아레나 시설으로 입장해야 하지만, 홈에서도 아레나로 빠르게 입장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자신이 편성한 파티로 정해진 적이 나오는 스테이지를 골라서 전투를 할 수 있으며, 승리 시 각 캐릭터들의 경험치와 각 스테이지마다 할당된 육성 재료를 얻을 수 있다. 하위 육성 재료는 기본적으로 여기서 얻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경험치는 한 판당 그렇게 많이 벌어들이는 수준은 아니지만 아레나 외의 육성 콘텐츠는 전부 여기서 어느 정도 스펙을 맞춘 뒤에서야 도전할 수 있는 난이도인지라, 그리고 어차피 게임 꺼둔 동안 놀리기도 뭣하니 돌리게 되는 특성상 끊임없이 신세지게 된다. 이에 대해선 후술.

아레나에서 도전 가능한 스테이지는 해당 아레나가 메인스토리에서 언제 일자의 아레나인지에 따라 다른데, 기본적으로는 장 수가 넘어갈 때마다 하위 스테이지가 도전 가능한 아레나 명단에서 빠진다. 다만 전부는 아닌데, 2장에 들어가면 1장에서 추가된 초급 5개 레벨 중 1~3레벨만 사라지고 4~5레벨은 남아있다. 3장에 들어갈 때는 초급 4~5레벨, 중급 1~2레벨은 사라지고 3레벨은 남는다. 4장 전반에 들어갈 때도 상급 2레벨까지만 사라지고 상급 3레벨은 남고 4장 후반에서도 최상급 3레벨은 남는다. 어쨌든 시기에 따라 도전할 수 있는 스테이지가 다르니 시간대를 잘 찾아가야 한다. 1.5주년 업데이트 이후로 메인에서 아레나 버튼으로 진입 시 지금까지 오픈했던 모든 스테이지를 바로 선택할 수 있게 됐으나, 과거로 여행을 통해 특정 일자의 자유 시간에서 아레나에 갈 경우 여전히 제약이 있다.

[ 아레나 목록 펼치기·접기 ]
||<table bordercolor=#b85175,#b85175><bgcolor=#b85175,#b85175><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align=center><:>아레나 레벨 ||<:><#b85175> 권장 전력 ||<:><#b85175> 이용가능 시기 ||<:><#b85175> Exp ||<:><#b85175> Gp[1] ||<:><#b85175> 드랍 ||<:><#b85175> 100회 당 드랍 기대치 ||
초급 Lv.1 1000 1장 Day1~
1장 Day10
7 23 돌의 조각 100.0
초급 Lv.2 1500 14 37 돌의 조각 200.0
초급 Lv.3(베기) 2000 1장 Day3~
1장 Day10
46 53 돌의 조각 215.0
플레리온 용액(베기 속성) 8.0
초급 Lv.3(관통) 2000 38 48 돌의 조각 35.0
플레리온 용액(관통 속성) 11.0
초급 Lv.3(타격) 2000 49 54 돌의 조각 230.0
플레리온 용액(타격 속성) 8.0
초급 Lv.4(베기) 2500 1장 Day9~
2장 Day23
71 67 돌의 조각 130.0
플레리온 용액(베기 속성) 16.0
초급 Lv.4(관통) 2500 76 66 돌의 조각 70.0
플레리온 용액(관통 속성) 22.0
초급 Lv.4(타격) 2500 70 66 돌의 조각 60.0
플레리온 용액(타격 속성) 16.0
초급 Lv.5(베기) 3000 1장 Day10~
2장 Day23
96 81 돌의 조각 45.0
플레리온 용액(베기 속성) 24.0
초급 Lv.5(관통) 3000 84 73 돌의 조각 40.0
플레리온 용액(관통 속성) 22.0
초급 Lv.5(타격) 3000 77 74 돌의 조각 80.0
플레리온 용액(타격 속성) 21.0
중급 Lv.1(베기) 4000 2장 Day2~
2장 Day23
146 87 돌의 조각 120.0
플레리온 용액(베기 속성) 13.0
중급 Lv.1(관통) 4000 151 86 돌의 조각 130.0
플레리온 용액(관통 속성) 13.0
중급 Lv.1(타격) 4000 155 85 돌의 조각 140.0
플레리온 용액(타격 속성) 11.0
중급 Lv.2(베기) 4500 2장 Day7~
2장 Day23
236 102 돌의 조각 30.0
플레리온 용액(베기 속성) 26.0
중급 Lv.2(관통) 4500 246 100 돌의 조각 50.0
플레리온 용액(관통 속성) 26.0
중급 Lv.2(타격) 4500 254 98 돌의 조각 70.0
플레리온 용액(타격 속성) 22.0
중급 Lv.3(베기) 6000 2장 Day18~
3장 Day20
450 98 돌의 조각 20.0
플레리온 용액(베기 속성) 5.0
별의 모래(베기 속성) 0.5
중급 Lv.3(관통) 6000 450 99 돌의 조각 20.0
플레리온 용액(관통 속성) 5.0
별의 모래(관통 속성) 0.5
중급 Lv.3(타격) 6000 450 96 돌의 조각 20.0
플레리온 용액(타격 속성) 5.0
별의 모래(타격 속성) 0.5
상급 Lv.1(베기) 7500 3장 Day3~
3장 Day20
562 164 돌의 조각 120.0
플레리온 용액(베기 속성) 15.0
상급 Lv.1(관통) 7500 576 163 돌의 조각 130.0
플레리온 용액(관통 속성) 15.0
상급 Lv.1(타격) 7500 582 163 돌의 조각 140.0
플레리온 용액(타격 속성) 13.0
상급 Lv.2(베기) 8500 3장 Day7~
3장 Day20
790 190 돌의 조각 120.0
플레리온 용액(베기 속성) 30.0
상급 Lv.2(관통) 8500 818 188 돌의 조각 140.0
플레리온 용액(관통 속성) 30.0
상급 Lv.2(타격) 8500 830 188 돌의 조각 160.0
플레리온 용액(타격 속성) 26.0
상급 Lv.3(베기) 10500 3장 Day15~
4장 전편 Day11
1260 214 돌의 조각 20.0
플레리온 용액(베기 속성) 5.0
별의 모래(베기 속성) 0.8
상급 Lv.3(관통) 10500 1260 214 돌의 조각 20.0
플레리온 용액(관통 속성) 5.0
별의 모래(관통 속성) 0.8
상급 Lv.3(타격) 10500 1260 214 돌의 조각 20.0
플레리온 용액(타격 속성) 5.0
별의 모래(타격 속성) 0.8
최상급 Lv.1(베기) 11500 4장 전편 Day1~
4장 전편 Day11
1440 232 돌의 조각 150.0
플레리온 용액(베기 속성) 32.0
별의 모래(베기 속성) 0.8
태양의 물방울 0.2
푸른 호박의 물방울 0.03
최상급 Lv.1(관통) 11500 1440 232 돌의 조각 150.0
플레리온 용액(관통 속성) 32.0
별의 모래(관통 속성) 0.8
태양의 물방울 0.2
푸른 호박의 물방울 0.03
최상급 Lv.1(타격) 11500 1440 232 돌의 조각 150.0
플레리온 용액(타격 속성) 32.0
별의 모래(타격 속성) 0.8
태양의 물방울 0.2
푸른 호박의 물방울 0.03
최상급 Lv.2(베기) 12300 4장 전편 Day5~
4장 전편 Day11
1634 255 돌의 조각 160.0
플레리온 용액(베기 속성) 34.0
별의 모래(베기 속성) 1.0
태양의 물방울 0.25
푸른 호박의 물방울 0.04
최상급 Lv.2(관통) 12300 1634 255 돌의 조각 160.0
플레리온 용액(관통 속성) 34.0
별의 모래(관통 속성) 1.0
태양의 물방울 0.25
푸른 호박의 물방울 0.04
최상급 Lv.2(타격) 12300 1634 255 돌의 조각 160.0
플레리온 용액(타격 속성) 34.0
별의 모래(타격 속성) 1.0
태양의 물방울 0.25
푸른 호박의 물방울 0.04
최상급 Lv.3(베기) 12800 4장 전편 Day11~
4장 후편 Day13
1824 268 돌의 조각 170.0
플레리온 용액(베기 속성) 36.0
별의 모래(베기 속성) 1.2
태양의 물방울 0.3
푸른 호박의 물방울 0.05
최상급 Lv.3(관통) 12800 1824 268 돌의 조각 170.0
플레리온 용액(관통 속성) 36.0
별의 모래(관통 속성) 1.2
태양의 물방울 0.3
푸른 호박의 물방울 0.05
최상급 Lv.3(타격) 12800 1824 268 돌의 조각 170.0
플레리온 용액(타격 속성) 36.0
별의 모래(타격 속성) 1.2
태양의 물방울 0.3
푸른 호박의 물방울 0.05
절정급 Lv.1(베기) 13200 4장 후편 프롤로그~
4장 후편 Day13
1924 300 돌의 조각 175.0
플레리온 용액(베기 속성) 38.0
별의 모래(베기 속성) 1.4
태양의 물방울 0.35
푸른 호박의 물방울 0.06
절정급 Lv.1(관통) 13200 1924 300 돌의 조각 175.0
플레리온 용액(관통 속성) 38.0
별의 모래(관통 속성) 1.4
태양의 물방울 0.35
푸른 호박의 물방울 0.06
절정급 Lv.1(타격) 13200 1924 300 돌의 조각 175.0
플레리온 용액(타격 속성) 48.0
별의 모래(타격 속성) 1.4
태양의 물방울 0.35
푸른 호박의 물방울 0.06
절정급 Lv.2(베기) 14500 4장 후편 Day7~
4장 후편 Day13
2024 302 돌의 조각 180.0
플레리온 용액(베기 속성) 40.0
별의 모래(베기 속성) 1.6
태양의 물방울 0.4
푸른 호박의 물방울 0.06
절정급 Lv.2(관통) 14500 2024 302 돌의 조각 180.0
플레리온 용액(관통 속성) 40.0
별의 모래(관통 속성) 1.6
태양의 물방울 0.4
푸른 호박의 물방울 0.06
절정급 Lv.2(타격) 14500 2024 302 돌의 조각 180.0
플레리온 용액(타격 속성) 40.0
별의 모래(타격 속성) 1.6
태양의 물방울 0.4
푸른 호박의 물방울 0.06
절정급 Lv.3(베기) 15300 4장 후편 Day13~
4장 후편 Day13
2124 304 돌의 조각 185.0
플레리온 용액(베기 속성) 42.0
별의 모래(베기 속성) 1.8
태양의 물방울 0.45
푸른 호박의 물방울 0.08
절정급 Lv.3(관통) 15300 2124 304 돌의 조각 185.0
플레리온 용액(관통 속성) 42.0
별의 모래(관통 속성) 1.8
태양의 물방울 0.45
푸른 호박의 물방울 0.08
절정급 Lv.3(타격) 15300 2124 304 돌의 조각 185.0
플레리온 용액(타격 속성) 42.0
별의 모래(타격 속성) 1.8
태양의 물방울 0.45
푸른 호박의 물방울 0.08
절정급 Lv.4 15300 5장 전편 Day2~ 2238 306 돌의 조각 95.0
플레리온 용액(베기 속성) 15.0
플레리온 용액(관통 속성) 15.0
플레리온 용액(타격 속성) 15.0
별의 모래(베기 속성) 0.7
별의 모래(관통 속성) 0.7
별의 모래(타격 속성) 0.7
태양의 물방울 0.5
푸른 호박의 물방울 0.09
특별훈련 Ⅰ 15800 5장 전편 Day9~ 2356 0 태양의 물방울 1.4
푸른 호박의 물방울 0.23

구체적인 적 별 스탯, 보더치와 드랍율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 SerephDB를 참고할 것.

초급 2레벨까지는 특별히 속성 구분이 없지만 레벨 3부터는 베기/관통/타격 3속성 각각의 스테이지가 따로 마련되어 있으며, 이 스테이지를 주회하는 것으로 스타일을 강화시키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재료인 플레리온 용액을 파밍할 수 있다. 다만 각 속성당 그 속성의 재료만 드랍하기에 당장 부족한 재료를 먼저 파밍하는 것이 권장되는 편. 플레리온 용액은 초급~상급 중에서는 상급 2레벨, 중급 2레벨이 파밍하기 좋은 편이다. 최상급이나 절정급은 모든 레벨에서 상급보다도 드랍률이 높지만 권장 전력이 높으니 30초 내로 이길 수 없다면 중, 상급에서 하는 편이 빠르다.

중급 3레벨, 상급 3레벨 및 최상급 이상의 경우엔 별의 모래를 낮은 확률로 드랍하는데, 전반적으로 드랍률은 매우 낮아 노리고 파밍하는 건 권하지 않는다. 어디까지나 용액을 파밍하면서 덤으로 얻는다는 생각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고, 이마저도 30초 격파가 가능하면 더 높은 단계로 도는 게 추천되는 정도.

최상급부터는 상술한 모래와 더불어 악세사리 강화/재설정 재료인 푸른 호박의 물방울이나 태양의 물방울을 얻을 수 있다. 드랍 확률이 상당히 낮으므로 라이프를 쓰지 않고 레벨링 중에 덤으로 얻는다는 생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절정급은 레벨 4에서 다시 모든 속성을 드랍하게 변경되는데, 한 속성의 드랍률 자체는 직전의 절정급 3레벨보다 훨씬 낮지만 3개 전체의 총합은 약간 더 높으므로 전반적으로 부족하다면 이 쪽을 도는 것으로 정립된다. 다만 딱히 약점속성이 없어서 돌파하는 난이도가 훨씬 높은 것이 문제.

클리어 시 다시 이 스테이지를 도전하겠냐는 선택문이 나올 때 가만히 놔두면 약 10초 후 자동으로 재도전한다. 만약 오토를 켜두고 있다면 자동 주회가 성립. 아예 저전력 모드를 체크하고 다시 도전한다를 누르면 저전력 자동 주회 모드로 들어가게 된다. 이 모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아레나 최대의 단점으로는, 여기서는 아무리 높은 단계의 스테이지라도 스킬 레벨이 오르지 않는다. 스킬 레벨을 올리려고 한다면 프리즘 배틀이나 던전, 아니면 2-24로 대표되는 셔틀런[3] 등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
2.2.1.2. 상점
사츠키 마리가 직접 운영하고 있는 상점. 체육관의 2층에 위치해 있다. 직접 가지 않아도 메인 화면에서 메인 스토리>최신 상점 으로 들어가면 현재 갈 수 있는 최신 상점으로 바로 갈 수 있다.[4]

이 게임의 메인 장비에 해당하는 부스터, 그리고 그 메인 장비에 붙일 수 있는 파츠인 칩을 구매할 수 있다. 구매 가능한 물품은 메인 스토리 진행도에 따라 달라진다. 전반적으로 새로 추가되는 장비는 제 값을 하는 장비이므로 가급적 여유롭게 구매하는 것이 추천되나, 당장 구매할 돈이 부족하다 해도 메인 스토리의 탐색 파트 진행중에 이 비싼 부스터가 그냥 떨어져있는 경우도 있기에 반드시 노가다로 사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어느 정도 진행하고 나면 역할별로 맞춰 주는 게 필요하고, 계속 진행하다 보면 2파티, 3파티를 운용해야 하기도 하기 때문에 그만큼 준비해야 한다.[5]

부스터 목록은 관련 항목 참조.

2.2.2. 토벌

특정 일자의 자유시간에 진입했을 때 아사미 마키코가 메시지를 보내오는 경우가 있는데, 메시지를 보낸 날 이후 특정 일자까지 카페테리아 옆에 있는 아사미에게 말을 걸면 진행할 수 있는 콘텐츠. 다른 자유시간 콘텐츠는 메인 스토리 중에 진행할 경우 라이프 소모가 없지만 이 콘텐츠는 언제 가든 라이프를 하나 소모하며, 난이도 역시 막 해당 일자에 처음 진입한 기준으로는 상당히 어려운 경우가 많기에 일단 미뤘다가 후일 시간을 되돌려 진행하는 것이 추천되고는 한다.

기본적으로 1층만 있는 던전을 탐색하는 콘텐츠이며, 1층만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시스템 자체는 던전과 동일하다. 탐색률 100%를 달성한 다음, 다시 도전해서 지도에서 빛나는 지역에 가면 보스가 등장, 토벌하면 완료이다. 최초 클리어 보상으로 해당 시점에서 적지 않은 양의 GP와 200 쿼츠를 주므로 언젠가 한 번은 하는 것이 권장되나, 반드시 2번 이상 도전해야 하는 = 라이프를 최소 2개 소모해야 하는 콘텐츠라 우선도는 낮다.[6]

입장하기 전에 토벌해야 하는 보스의 약점을 파악할 수 있으나, 상술한 이유로 100%를 찍지 못했다면 별 의미는 없는 정보이므로 보주의 미궁 등을 도는 것과 비슷하게 파티구성을 하고 먼저 도전해 100%를 찍고 나서 다음날 보스 토벌을 하러 갈 때 가는 길의 잡몹을 뚫으면서 보스 저격까지 가능한 파티로 구성해 들어가면 된다.

한번 토벌한 후에도 다시 입장은 가능하지만, 보스 전용 드랍 같은 것은 없기에 이미 토벌한 보스가 있는 토벌 의뢰에 들어가는 건 라이프 낭비에 가깝다. 다만 라이프를 소모해 플레이할 수 있는 콘텐츠 중에는 골드 호퍼 던전이 개편되기 전까진 제일 빠른 시간에 GP를 모을 수 있는 수단이라서 당장 GP가 급하다면 어쩔 수 없이 효율이 떨어짐에도 돌아야 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GP 외엔 아무런 이득도 없으므로 가급적이면 애초에 이렇게 급하게 수급할 필요가 없도록 아레나는 꼬박꼬박 돌릴 것을 추천. 거기에 1.5주년 업데이트로 개편된 골드 호퍼 던전에서 라이프 2개 혹은 던전 티켓 1개로 최대 77만 GP를 벌 수 있게 됐기에 더더욱 여기를 돌 이유가 없어졌다.
기간 토벌 대상 출현 장소 권장 전력 약점 내성 첫 토벌 보상
1장 Day08~10 아이보리 스쿠퍼 이케부쿠로 지하 저수지 3000 타격 베기 1000GP, 200쿼츠
2장 Day06~07, 09 크로우 호스 폐광산 4500 관통 타격 8000GP, 200쿼츠
2장 Day16~19 퍼플 아이 시가지 5500 빛, 타격 어둠, 베기 30000GP, 200쿼츠
3장 Day03~06 어비스 노커 S 이케부쿠로 지하 저수지 8000 베기 관통 80000GP, 200쿼츠
3장 Day15~19 베일드 데스 폐광산 10500 불, 얼음, 번개 없음 90000GP, 200쿼츠
4장 전편 Day03~06 다크 배럴 워커 공장 12300 빛, 베기 어둠, 관통 125000GP, 200쿼츠
4장 전편 Day10 아라크네 라인 쇼핑몰 12800 관통 타격 165000GP, 200쿼츠
4장 후편 Day09~12 라이트 필러 가디언 시골 마을 15200 어둠, 타격 빛, 베기 229000GP, 200쿼츠
5장 전편 Day03~04 블루 엘리펀트 휩 높은 산 15000 번개, 베기 관통 ??GP, 200쿼츠
5장 전편 Day12 스웰 파이어 크로우 아리아케 16000 얼음, 관통 타격 ??GP, 200쿼츠

2.2.3. 액티비티

기지 내에 있는 여러 시설들을 통해 식스센스를 올릴 수 있다. 각 시설마다 정해진 능력치를 5~8씩 올려주며, 추가로 그 시설에서의 작은 이벤트를 감상할 수 있다. 가끔 확률적으로 추가 이벤트가 발생하면서 1이 추가로 오르기도 한다.

액티비티로 올릴 수 있는 식스센스는 메인스토리 진행도에 따라 정해져 있다. 해당 장수 * 15까지만 올릴 수 있으며, 그 이상 올리려면 메인스토리 진도를 다음장까지 밀어야만 올릴 수 있다.[7] 상술한 작은 이벤트도 4장까지는 기본적으로 각 장마다 장소별로 3가지의 선택지가 있어 그에 따라 다른 3개의 이벤트가 있고, 5장 전편의 경우엔 선택지 없이 1개의 이벤트가 있다. 이 이벤트 감상이 목적이라면 각 장별로 진행할 것. 참고로 최고치까지 찍은 식스센스는 다시 하면 라이프 소비가 없으므로 라이프 낭비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액티비티 활동은 기본적으로 라이프 1을 소모한다. 또한 라이프를 2 이상 소모하면 소모량만큼 배증하므로 단번에 식스센스를 크게 올릴 수 있다. 다만 최고치를 오버하도록 쓰는 경우 라이프가 돌아오거나 하지 않으니 최고치까지 얼마나 남았나 보고 해야 한다.[8]
식스센스 센스 획득 장소 코멘트 식스센스 센스 획득 장소 코멘트
기량 도서관 이타심 다 보여 온천 레저 거리
분수 광장 레저 거리 나비 광장
야외 취사 야영지 야외 취사 야영지
감시대 야영지 보급품 정리 야영지
보급품 정리 야영지 천진함 카페
멘탈 헬스장 감시대 야영지
감시대 야영지 야외 취사 야영지
보급품 정리 야영지 카리스마 스튜디오
광기 영화관 레저 거리 감시대 야영지
보급품 정리 야영지 보급품 정리 야영지
감시대 야영지 야외 취사 야영지
2.2.3.1. 추가 이벤트 선택지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colbgcolor=#b85175,#b85175> 도서관 분수 광장(주말) 다 보여 온천(주말) 나비 광장 헬스장 영화관(주말)
1장 잡지(반려동물 특집)
뱌코, 아오이 에리카
오방떡
아이카와 메구미,
나나세 나나미
사우나
나나세 나나미
그림을 그린다
이시이 이로하
러닝머신
오오시마 무우아
로맨스 영화
히이라기 코즈에
2장 로맨스 소설
이즈미 유키
바나나 노점
사츠키 마리
습식 사우나
테즈카 사키
나비에게 개인기를 가르친다
아이카와 메구미
핫요가
브리티카 발라크리시난
공포 영화
카렌짱
3장 잡지(수영복 화보 특집)
오오시마 니이나
발라드
아사쿠라 카렌
때 밀기
토죠 츠카사
나비와 눈싸움을 한다
나나세 나나미
엑서사이즈 댄스
아사미 마키코
재난 영화
샬로타 스코폽스카야
4장 전편 자기계발서
이즈미 유키
연설
쿠니미 타마
폭포탕
칸자키 아델하이드
나비와 마음을 소통해 본다
미나세 이치고
복서사이즈
뱌코
조폭 영화
쿠로사와 마키
4장 후편 잡지(스포츠 특집)
다테 아카리
총으로 쏘는 척을 한다
미나세 이치고
나비에게 인생 상담을 해 본다
야마와키 본 이바르
스탠딩 업도미널
이즈미 유키
히어로 영화
캐롤 리퍼
5장 전편[대사] 가을은 독서의 계절...
오오시마 미노리,
사쿠라바 세이라,
쿠로사와 마키
이 분수는 참 예뻐.
오오시마 이치코,
이시이 이로하,
니카이도 미사토
시원하다~
오오시마 니이나,
아사미 마키코
오늘은 그냥 멍하니 있어야겠어.
마루야마 카나타,
오오시마 요츠하,
브리티카 발라크리시난
후... 불태웠어...
테즈카 사키,
나나세 나나미,
아사미 마키코
영화를 보면 기분 전환이 돼~
오오시마 무우아
카페테리아 카페테리아(주말) 스튜디오 야외 취사(야영지) 비품 정리(야영지) 감시대(야영지)
1장 믹스 주스
아이카와 메구미
피자
마리아 데 안젤리스
낮잠을 잔다
뱌코
2장 베트남 커피
토죠 츠카사
도삭면
쿠니미 타마
발성 연습을 한다
나나세 나나미
3장 에너지 드링크
아이카와 메구미
버블티
테즈카 사키
악기 손질을 한다
카렌짱
4장 전편 말차
쿠니미 타마
황금 볶음밥
오가사하라 히사메
키보드를 연주해 본다
토죠 츠카사
야영식 배달
오오시마 미노리
감시 당번
미나세 이치고
노래를 부른다
아이카와 메구미
4장 후편 스무디
토죠 츠카사
구운 만쥬
스가와라 치에
현을 교체한다
쿠니미 타마
불을 피운다
오오시마 이치코
어깨 마사지
오오시마 이스즈
제스처를 한다
히이라기 코즈에
5장 전편[대사] 뭐 좀 마시고 갈까.
칸자키 아델하이드,
미즈하라 아이나
오늘은 단 게 먹고 싶네.
미코토 후부키
마음 가는 대로 연주하겠어!
아이카와 메구미

2.2.4. 그 외

주말에 이동할 수 있다. 광기를 올릴 수 있는 영화관에 갈 수 있기에 주말은 영화관에 가는 경우가 많다.
기지와 마찬가지로 내부 이동이 가능한 곳. 4장 중 한정된 시간대에만 이용할 수 있다. 이곳에서 발생하는 부대 교류나 액티비티도 있다.

2.3. 단편

원문은 단장(断章). 새로운 카테고리의 메인 스토리로 볼륨은 스토리 이벤트와 비슷하나 스토리 이벤트와 다르게 교환소는 존재하지 않는다.

[ 목록 펼치기 · 접기 ]
}}}||
플레이 조건: 제4장 전편 클리어
제31D부대이시이 이로하가 주인공인 단편.
}}}||
플레이 조건: 제4장 후편 클리어
제31A부대쿠니미 타마가 주인공인 단편.

3. 이벤트

3.1. 스토리 이벤트

신규 메인스토리가 공개되는 경우 등을 제외하면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이벤트. 각 이벤트마다 몇몇 세라프 대원을 중심으로 한 스토리와 함께 해당 이벤트 전용 프리즘 보스 및 던전이 제공되는 콘텐츠이다. 일회성인 스토리를 제외하면 라이프를 소모해 프리즘 보스를 돌아 코인을 벌어 교환소의 아이템을 최대한 구입하는 것이 최종목표. 반주년 이전까지는 코인과 이벤트 던전 티켓을 얻고, 모인 티켓으로 이벤트 던전을 주회해 추가적으로 코인을 버는 요소도 있었으나 던전 콘텐츠의 평가가 그리 좋지 않았던 탓인지 이후에는 도입되지 않고 있다.[11]

교환소에는 기본적으로 해당 이벤트의 배포 스타일과 이 스타일 전용 육성 소재, 그 외엔 각종 육성용 소재와 한계 돌파에 쓰이는 스타일 코인을 구매할 수 있다. 특히 환생을 할 때 필요로 하는 3종 소재는 2022년 7월 시점에서는 각 이벤트마다 1개씩만 교환소에서 획득 가능.

초기에는 기간 한정이었지만, 4월 28일 업데이트로 과거 이벤트의 스토리가 상시 열람 가능하게 되었고, 프리즘과 던전, 미션 및 교환소를 열기 위한 아이템이 각 이벤트 교환소에 하나씩 추가되면서 언제 시작하든 모든 이벤트를 열고 보상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사실상 완전 상시화되었다.[12] 다만 기본적으로는 기간한정 이벤트가 맞으며, 한 번 놓친 이벤트의 교환소를 이용하기 위해선 현재 개최되고 있는 이벤트에서 전술한 아이템인 에델바이스를 구매해야 하므로 주의할 것. 최고가 아이템은 아니지만 다른 거 다 파밍한 뒤에 덤으로 얻기엔 꽤나 비싸다.

여담으로 지금까지 공개된 이벤트 에피소드의 주역들의 기억 수복 대사는 그 의미가 조금 애매한 카나타를 제외[13]하고는 이벤트 또는 메인 스토리와 관련된 이벤트 스토리의 내용과 직접적인 연관점이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자세한 목록은 이벤트 스토리 목록, 콜라보 스토리 목록 참고.

3.1.1. 이벤트 프리즘

이벤트 스토리에 끼어 있는 프리즘 배틀이다. 이벤트 스토리 때 싸운 보스가 등장하며 다양한 난이도를 선택해 싸울 수 있다.[14] 이기면 확률적으로 그 이벤트의 던전 티켓과, 해당 이벤트 교환소에서 교환이 가능한 교환소 메달을 얻을 수 있다.

이벤트 스토리가 생기고 3주 정도는 이벤트 프리즘과 이벤트 던전을 바로 도전할 수 있지만, 이후에는 개방할 필요가 있으며 이 때 에델바이스를 1개 요구한다.[15] 이 에델바이스는 각 교환소에서 메달 300개로 1개만 교환할 수 있으므로, 3주 안에 메달을 모아서 준비해 둘 필요가 있다.[16]

참고로 일정 주기마다 기존 이벤트 스토리 중 하나를 개방하여 메달을 3배 획득하는 이벤트가 개최되고 있다. 또한 초반 이벤트의 경우 최대 난이도가 낮은 편이었는데 이 이벤트가 당첨되면 난이도 XIII(권장 전력 14000)까지 생기기도 한다. 그러니 메달을 모으려면 이 때를 노리는 것이 좋으나, 6주일을 주기로 2주일만, 그것도 기존에 존재하는 이벤트 스토리 중 하나만 열리기 때문에 원하는 이벤트가 걸릴 확률이 지극히 낮다.

3.1.2. 이벤트 교환소

교환소에서는 이벤트 메달을 소모해서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S 레어도 전용 캐릭터, 전용 캐릭터 스킬획득용 재료, 에델바이스 1개, 쿼츠 1500개, S급 이상 교환권 5개, 스킬 가이드, A·S·SS 각 레어도 만능 스타일 피스, 전생용 방울들, 칩, GP, 각 속성별 성장 재료 등등[17] 여러 가지 있다. 또한 이벤트 스토리마다 교환소가 있어 이벤트 수만큼 살 수 있다.

3.2. 스코어 어택

2022년 4월 8일부터 추가된 정기적 콘텐츠. 이벤트 기간 도중 기억의 정원 속 위령비에서 들어갈 수 있으며, 메인의 이벤트 목록에서 빠르게 들어갈 수 있다. 소멸도시의 랭킹 이벤트에서 경쟁 요소를 제거하고 원하는 대로 디메리트를 추가로 부여하는 도전 요소를 추가한 느낌. 본래는 위의 스토리 이벤트와 완전히 별개로 돌아가는 콘텐츠였지만, 반주년 이벤트를 기점으로 보상이 연계되는 식으로 일부 통합되었다.

매 이벤트마다 정해진 적을 상대로 제한된 턴 안에 격파해야 하는데, 시작하기 전에 원하는 대로 난이도를 1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난이도의 특정 구간마다 명칭이 구분되어 있으며, 다음 구간의 난이도로 넘어가기 위해선 직전 구간의 최고난이도를 클리어해야 넘어갈 수 있게 되어있다.[18]

난이도가 높아질 수록 보스의 DP, HP, 공격력 등이 상승하며, 난이도가 높을 수록 획득할 수 있는 점수가 높아진다. 각 난이도마다 권장 전력이 제시되어 있으므로 권장 전력을 만족하고 나서 도전하는 게 좋지만, 후술할 도전 단계를 적용하면 권장 전력보다 훨씬 큰 전력 및 셋팅이 요구되므로 직접 도전해보고 가늠해보자.

클리어할 때마다 해당 플레이의 내용에 따라 점수가 기록된다.여기에 후술할 도전 단계를 활성화시키고 클리어했다면 합계 스코어에 배율이 붙어 최종 스코어가 계산된다. 때문에 전력에 맞춰 높은 난이도로 단순히 격파하는 것보다, 최대한 빠르게 격파하거나 파괴율을 올려 한 턴에 최대의 대미지를 내는 것이 더 좋은 점수를 낼 수도 있다.

난이도 60, 90을 클리어해 각각 엑스퍼트, 루나틱 난이도가 개방될 때 난이도 외에 도전 단계라는 것을 설정할 수 있게 되는데, 활성화시키면 그 전투에서 해당 도전에 적힌 패널티가 적용되는 대신 상술했듯 클리어 시 점수를 더 많이 얻을 수 있다. 미션 보상에서도 3개 전부 활성시키고 루나틱 이상에서 클리어하는 것이 있으니 실력이 된다면 도전해 보는 것이 좋다. 도전 미션은 매 주마다 변경되므로 그에 따라 공략법을 변경해야 하는데, 스코어 어택이 개방된 시점에 보상 목록이나 공지를 통해 알아볼 수 있다.

클리어 보상으로는 역대 최고 점수 달성 시 해당 점수가 일정 이상이면 얻을 수 있는 하이 스코어 보상과, 지금까지의 클리어 점수를 모두 누적하여 일정 이상이 되면 받을 수 있는 누적 보상, 그리고 매주 리셋되는 미션 보상이 있다. 각 보상별로 나오는 아이템들은 이렇다.
스코어 아이템 스코어 아이템
1,000 교환소 메달 x 50 140,000 교환소 메달 x 350
1,500 새벽의 방울 x 1 140,000 골드 트로피 x 1
2,000 황혼의 방울 x 1 150,000 SS 확정 뽑기 조각 x 1
3,000 초저녁의 방울 x 1 160,000 스킬 가이드 x 1
5,000 교환소 메달 x 100 160,000 골드 트로피 x 1
7,000 보주(어둠 속성) x 2 180,000 교환소 메달 x 400
9,000 보주(빛 속성) x 2 180,000 골드 트로피 x 1
12,000 교환소 메달 x 150 200,000 오브 보스 티켓 x 1
15,000 보주(번개 속성) x 2 225,000 반짝임의 폴리시 Ⅰ x 2
19,000 교환소 메달 x 200 250,000 SS 확정 뽑기 조각 x 1
26,000 보주(얼음 속성) x 2 275,000 반짝임의 폴리시 Ⅰ x 2
34,000 브론즈 트로피 x 1 300,000 스킬 가이드 x 1
42,000 보주(불 속성) x 2 350,000 S 이상 확정 뽑기 티켓 x 1
50,000 교환소 메달 x 250 400,000 플래티나 트로피 x 1
50,000 브론즈 트로피 x 1 400,000 SS 확정 뽑기 조각 x 1
58,000 보주(타격 속성) x 2 450,000 반짝임의 폴리시 Ⅱ x 1
66,000 교환소 메달 x 300 500,000 태양의 물방울 x 10
66,000 브론즈 트로피 x 1 550,000 반짝임의 폴리시 Ⅱ x 2
75,000 보주(관통 속성) x 2 600,000 플래티나 트로피 x 1
84,000 실버 트로피 x 1 600,000 S 이상 확정 뽑기 티켓 x 1
93,000 보주(베기 속성) x 2 700,000 반짝임의 폴리시 Ⅲ x 1
102,000 실버 트로피 x 1 800,000 태양의 물방울 x 10
111,000 교환소 메달 x 350 900,000 반짝임의 폴리시 Ⅲ x 1
120,000 노르드스트롬 결정 x 1 1,000,000 블랙 트로피 x 1
120,000 실버 트로피 x 1
스코어 아이템 스코어 아이템
5,000 던전 티켓 x 1 270,000 프리즘 배틀 티켓 x 1
10,000 던전 티켓 x 1 310,000 오브 보스 티켓 x 1
30,000 태양의 물방울 x 3 360,000 프리즘 배틀 티켓 x 1
60,000 푸른 호박의 물방울 x 1 420,000 던전 티켓 x 1
90,000 프리즘 배틀 티켓 x 1 480,000 프리즘 배틀 티켓 x 1
130,000 던전 티켓 x 1 560,000 프리즘 배틀 티켓 x 1
150,000 프리즘 배틀 티켓 x 1 650,000 오브 보스 티켓 x 1
175,000 오브 보스 티켓 x 1 750,000 프리즘 배틀 티켓 x 1
200,000 프리즘 배틀 티켓 x 1 860,000 프리즘 배틀 티켓 x 1
230,000 던전 티켓 x 1 1,000,000 프리즘 배틀 티켓 x 1
조건 아이템
난이도 61 이상으로 클리어 S 이상 확정 뽑기 티켓 x 1
난이도 91 이상으로 클리어 교환소 메달 x 300
난이도 91 이상 & 도전 단계 35 이상으로 클리어 쿼츠 x 100
난이도 101 이상으로 클리어[20] S 이상 확정 뽑기 티켓 x 1

신규 스토리 이벤트가 없을 경우 교환소 메달은 쿼츠 및 S 이상 확정 뽑기 티켓으로 대체된다.

나머지는 몰라도 누적 스코어 보상인 티켓들은 노가다를 해서라도 최대한 뽑아먹자.

미션 보상은 도전 과제가 변경 되면 초기화돼서 또 획득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1주년에 맞춰 정식 런칭되면서 1번부터 하지 않고 일본과 똑같이 진행하여 18번부터 나오게 되었다. 이후는 일본과 동일하게 2주일간 진행하며 그 중 1주일마다 다른 미션이 나오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다. 다만 1.5주년, 2주년 등 특정 기념일이 있으면 그에 맞춰 일정이 다소 조정되기도 하였다.

[ 난이도별 권장 전력 및 클리어 스코어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2> 난이도 || 권장
전력 || 클리어
스코어 ||<-2> 난이도 || 권장
전력 || 클리어
스코어 ||<-2> 난이도 || 권장
전력 || 클리어
스코어 ||<-2> 난이도 || 권장
전력 || 클리어
스코어 ||


1 3000 1000


31 5000 4400


61 8000 19100

91 11500 82600
2 3066 1113 32 5100 4890 62 8116 21216 92 12000 85100
3 3133 1226 33 5200 5380 63 8233 23333 93 12500 88250
4 3200 1340 34 5300 5870 64 8350 25450 94 13000 92050
5 3266 1453 35 5400 6360 65 8466 27566 95 13500 96500
6 3333 1566 36 5500 6850 66 8583 29683 96 14000 101600
7 3400 1680 37 5600 7340 67 8700 31800 97 14500 107350
8 3466 1793 38 5700 7830 68 8816 33916 98 15000 113750
9 3533 1906 39 5800 8320 69 8933 36033 99 15500 120800
10 3600 2020 40 5900 8810 70 9050 38150 100 16000 128500
11 3666 2133 41 6000 9300 71 9166 40266 101 16100 133600
12 3733 2246 42 6100 9790 72 9283 42383 102 16200 138700
13 3800 2360 43 6200 10280 73 9400 44500 103 16300 143800
14 3866 2473 44 6300 10770 74 9516 46616 104 16400 148900
15 3933 2586 45 6400 11260 75 9633 48733 105 16500 154000
16 4000 2700 46 6500 11750 76 9750 50850 106 16600 159100
17 4066 2813 47 6600 12240 77 9866 52966 107 16700 164200
18 4133 2926 48 6700 12730 78 9983 55083 108 16800 169300
19 4200 3040 49 6800 13220 79 10100 57200 109 16900 174400
20 4266 3153 50 6900 13710 80 10216 59316 110 17000 179500
21 4333 3266 51 7000 14200 81 10333 61433 111 17100 184600
22 4400 3380 52 7100 14690 82 10450 63550 112 17200 189700
23 4466 3493 53 7200 15180 83 10566 65666 113 17300 194800
24 4533 3606 54 7300 15670 84 10683 67783 114 17400 199900
25 4600 3720 55 7400 16160 85 10800 69900 115 17500 205000
26 4666 3833 56 7500 16650 86 10916 72016 116 17600 210100
27 4733 3946 57 7600 17140 87 11033 74133 117 17700 215200
28 4800 4060 58 7700 17630 88 11150 76250 118 17800 220300
29 4866 4173 59 7800 18120 89 11266 78366 119 17900 225400
30 4933 4286 60 7900 18610 90 11383 80483 120 18000 230500
난이도 권장
전력
클리어
스코어


121 ?? 238300
122 ?? 243300
123 ?? 248300
124 ?? 253300
125 ?? 258300
126 ?? 263300
127 ?? 268300
128 ?? 273300
129 ?? 278300
130 ?? 283300
131 ?? 288300
132 ?? 293300
133 ?? 298300
134 ?? 303300
135 ?? 308000
136 ?? 313000
137 ?? 320000
138 ?? 323000
139 ?? 330000
140 ??[21] 340000

#01 전진의 DeathSlug(戦塵のDeathSlug)
파일:HBR_sa01_main.jpg
기간 2022년 4월 8일 ~ 4월 29일
#02 준엄한 사령관(峻厳たる司令官)
파일:HBR_sa02_main.jpg
기간 2022년 5월 6일 ~ 5월 31일
#03 격심의 RotaryMole(激甚のRotaryMole)
파일:HBR_sa03_main.jpg
기간 2022년 6월 7일 ~ 6월 30일
#04 공포를 휘감은 YggdVeil
#05 전진의 DeathSlug(戦塵のDeathSlug)
#06 Curse in Summer
#07 Villain Nightmare
#08 준엄한 사령관(峻厳たる司令官)
#09 Threat of Icicle
#10 Dominate of Tentacles
#11 Blaze of Resentment
#12 격심의 RotaryMole(激甚のRotaryMole)
#13 Faith Blade
#14 공포를 휘감은 YggdVeil
#15 Exceed the Constraints
#16 Curse in Summer
#17 Impact Tremors
#18 The Entwined Blade
기간 2023년 2월 10일 ~ 2월 24일
#19 Villain Nightmare
파일:HBR_sa19_main.jpg
기간 2023년 2월 24일 ~ 3월 10일
#20 Immovable Tyrant
파일:HBR_sa20_main.jpg
기간 2023년 3월 10일 ~ 3월 24일
#21 Dominate of Tentacles
파일:HBR_sa21_main.png
기간 2023년 3월 24일 ~ 4월 7일
#22 Deeper Menace
파일:HBR_sa22_main.jpg
기간 2023년 4월 7일 ~ 4월 21일
#23 전진의 DeathSlug
파일:HBR_sa23_main.jpg
기간 2023년 4월 21일 ~ 5월 5일
#24 Poisonous Tracker
파일:HBR_sa24_main.jpg
기간 2023년 5월 5일 ~ 5월 19일
포이즌 스쿠퍼(약점: 번개, 관통, 타격 속성 / 내성: 없음)
#25 준엄한 사령관
파일:HBR_sa25_main.jpg
기간 2023년 5월 19일 ~ 6월 2일
테즈카(약점: 없음 / 내성: 없음)
#26 Tragedy Pouring Down
파일:HBR_sa26_main.jpg
기간 2023년 6월 2일 ~ 6월 16일
가디언 크랩(약점 : 어둠, 내성 : 없음), 캐논 워커(약점 : 어둠, 내성 : 없음)
#27 Immovable Tyrant
파일:HBR_sa27_main.jpg
기간 2023년 6월 16일 ~ 6월 30일
리지드 서펀트(약점 : 불, 내성 : 없음)
#28 Merciless Ravage
파일:HBR_sa28_main.jpg
기간 2023년 6월 30일 ~ 7월 14일
엘루시브 몰(약점 : 얼음, 내성 : 없음)
#29 Faith Blade
파일:HBR_sa29_main.jpg
기간 2023년 7월 14일 ~ 7월 28일
시라카와 유이나(약점 : 없음, 내성 : 없음)
#30 Qualmish Encounter
파일:HBR_sa30_main.jpg
기간 2023년 7월 28일 ~ 8월 6일
휠러
약점 불, 얼음, 번개, 빛, 어둠
내성 없음
#31 Endless Phantom
파일:HBR_sa31_main.jpg
기간 2023년 8월 6일 ~ 8월 25일
피규린 혼*2
약점 빛, 어둠
내성 없음
#32 공포를 휘감은 YggdVeil
파일:HBR_sa32_main.jpg
기간 2023년 8월 25일 ~ 9월 8일
유그드 베일
#33 Indomitable Heart
파일:HBR_sa33_main.jpg
기간 2023년 9월 8일 ~ 9월 22일
자이언트 아이
#34 Curse in Summer
파일:HBR_sa34_main.jpg
기간 2023년 9월 22일 ~ 10월 6일
그리프 돌
#35 Danger Signal
파일:HBR_sa35_main.jpg
기간 2023년 10월 6일 ~ 10월 20일
시그널 베일
#36 Threat of Icicle
파일:HBR_sa36_main.jpg
기간 2023년 10월 20일 ~ 11월 3일
아이시클 슬러그
#37 Detastable Vice
파일:HBR_sa37_main.jpg
기간 2023년 11월 3일 ~ 11월 17일
님블 호스
#38 Exceed the Constraints
파일:HBR_sa38_main.jpg
기간 2023년 11월 17일 ~ 12월 1일
페로셔스 노커
#39 Erosion by Poison
파일:HBR_sa39_main.jpg
기간 2023년 12월 1일 ~ 12월 15일
애시드 서펀트
#40 Villain Nightmare
파일:HBR_sa40_main.jpg
기간 2023년 12월 15일 ~ 12월 29일
코핀 아이
#41 Ultimate Idol
파일:HBR_sa41_main.jpg
기간 2023년 12월 29일 ~ 2024년 1월 12일
아오이 에리카, 미나세 이치고,히구치 세이카
#42 Qualmish Encounter
파일:HBR_sa42_main.jpg
기간 2024년 1월 12일 ~ 1월 26일
휠러
#43 Black Impact
파일:HBR_sa43_main.jpg
기간 2024년 1월 26일 ~ 2월 4일
레드 크림슨
#44 Eternal Grief
파일:HBR_sa44_main.jpg
기간 2024년 2월 4일 ~ 2월 16일
폴른 헤일로
#45 준엄한 사령관
파일:HBR_sa45_main.jpg
기간 2024년 2월 16일 ~ 3월 8일
테즈카
#46 Awaken In Oblivion
파일:HBR_sa46_main.jpg
기간 2024년 3월 8일 ~ 3월 22일
브랜치 슬러그
#47 Immovable Tyrant
파일:HBR_sa47_main.jpg
기간 2024년 3월 22일 ~ 4월 5일
리지드 서펀트
#48 THE UPSIDE[22]
파일:HBR_sa48_main.jpg
기간 2024년 4월 5일 ~ 4월 26일
카야모리 루카&이즈미 유키
#49 Mysterious Attack
파일:HBR_sa49_main.jpg
기간 2024년 4월 26일 ~ 5월 10일
미스 암즈*2
#50 Endless Phantom
파일:HBR_sa50_main.jpg
기간 2024년 5월 10일 ~ 5월 24일
피규린 혼*2
#51 Impact Tremors
파일:HBR_sa51_main.jpg
기간 2024년 5월 24일 ~ 5월 31일
레드 크림슨
#52 Trapped In The Mist
파일:HBR_sa52_main.jpg
기간 2024년 5월 31일 ~ 6월 14일
팬태즘 게이트*2
#53 Poisonous Tracker
파일:HBR_sa53_main.jpg
기간 2024년 6월 14일 ~ 6월 28일
포이즌 스쿠퍼

3.3. 항성 소탕 전선

2023년 6월 24일 업데이트로 시범 추가, 2023년 10월 6일에 정식 추가된 싱글 플레이 전용 비정기 배틀 이벤트. 제2장 클리어 이후에 할 수 있다. 해당 전투가 열리는 기간에는 해질녘이던 홈 화면이 일몰 후 어두워진 하늘에 유성우가 떨어지는 모습으로 변하며, BGM도 바뀐다. 전투 구성은 항성전과 다수의 행성전으로 이루어져 있다. 오픈 기한이 있어 기한이 지나면 전투 진행은 리셋되며, 분기 당 1번씩 개최될 것으로 예정돼 있다.

====# #β 희망을 잠식하는 존재 #====
- 기간 : 2023년 6월 24일 11:00 ~ 7월 3일 10:59
행성전 권장 전력 특수 규칙 승리시 획득 버프 출현 적
행성전 1 10000 - 스타일 A 한정
- 제너럴라이즈 스킬 사용 불가
전투 시작시 OD 게이지 +200% 킬러 호퍼*2
행성전 2 12000 - 적의 각 원소 속성 내성 50% 감소
- 31D, 31E, 31F, 31X 부대 멤버의 경우 모든 능력 50% 증가
매턴 SP+1 베일드 데스
행성전 3 13000 - 스타일 S 한정
- 제너럴라이즈 스킬 사용 불가
방어력 50% 증가 벌브 프리*3
행성전 4 13000 - 매턴 SP+2 매턴 SP+1 아라크네 라인
등급/조건 권장 전력 DP HP 보더 아이템
C 8000 쿼츠×300
테마 포인트×10
GP×300000
B 11500 희망을 품은 자의 증표
쿼츠×300
테마 포인트×10
배틀 교재 Ⅲ×50
A 13000 쿼츠×300
테마 포인트×10
배틀 교재 Ⅲ×50
S 14500 쿼츠×300
테마 포인트×10
배틀 교재 Ⅲ×50
X 16000 희망을 지킨 자의 증표
쿼츠×300
테마 포인트×10
태양의 물방울×15
X(20턴 이내) 테마 포인트×10
새벽의 방울
황혼의 방울
초저녁의 방울
X(12턴 이내) 테마 포인트×10
스킬 포인트
X(8턴 이내) 희망을 이룬 자의 증표
테마 포인트×10

====# #01 재앙을 이끄는 자 & 역병을 옮기는 자 #====
파일:HBR_hs01_main.png
- 기간 : 2023년 10월 6일 11:00 ~ 10월 16일 10:59
베타 때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지만 행성전이 총 5개로 늘어났고, 적과 보상이 바뀌었다.
행성전 권장 전력 특수 규칙 승리시 획득 버프 출현 적 약점/내성
행성전 1 10000 - A스타일 한정 편성 가능
- 제너럴라이즈 스킬 사용 불가
매턴 SP+1 힐 호퍼
킬러 호퍼
킬러 호퍼
-
-
-
행성전 2 12000 - 5턴마다 적의 공격력 증가
- S스타일 한정 편성 가능
- 제너럴라이즈 스킬 사용 불가
회복 스킬 효과량+50% 크로우 호스
크로우 호스
관통 약점 / 타격 내성
관통 약점 / 타격 내성
행성전 3 13000 - S스타일 한정 편성 가능
- 제너럴라이즈 스킬 사용 불가
- 매턴 SP+2
방어력 50% 증가 다이아몬드 아이 S 타격 약점 / 베기 내성
행성전 4 13000 - 부대[31A]: 모든 능력 50% 증가
- 부대[31C]: 모든 능력 50% 증가
- 부대[31D]: 모든 능력 50% 증가
- 부대[31E]: 모든 능력 50% 증가
OD 게이지 상승량+20% 와이어 프레임 γ
와이어 프레임 γ
베기 약점
베기 약점
행성전 5 13000 - 전투 시작 시 OD 게이지+300%
- 적의 불, 얼음, 번개, 빛, 어둠 속성 내성 50% 감소
- 적의 초고위력 공격으로 격파되기 전에 승리하기
파괴율 상승량+100% 베일드 데스 불, 얼음, 번개, 빛, 어둠 약점
참고로 행성전 5의 경우 권장 전력 오기가 의심될 정도로 높은 보더값을 가지고 있다.
등급/조건 권장 전력 클리어 보상 출현 적 약점/내성
C 8000 테마 포인트×10
쿼츠×300
GP×300000
역병을 옮기는 자
재앙을 이끄는 자
불, 얼음, 번개, 빛, 어둠 약점
B 11500 테마 포인트×10
쿼츠×300
배틀 교재 Ⅲ×50
재난을 떨쳐 낸 자의 증표
A 13000 테마 포인트×10
쿼츠×300
배틀 교재 Ⅲ×50
S 14500 테마 포인트×10
쿼츠×300
배틀 교재 Ⅲ×50
X 16000 테마 포인트×10
쿼츠×300
태양의 물방울×15
재난을 진압한 자의 증표
X(20턴 이내) - 테마 포인트×20
새벽의 방울
황혼의 방울
초저녁의 방울
X(12턴 이내) - 테마 포인트×20
스킬 가이드
X(8턴 이내) - 테마 포인트×20
재난에 대항한 자의 증표

====# #02 종언을 고하는 해후 #====
파일:HBR_hs02_main.png
- 기간 : 2023년 12월 22일 11:00 ~ 2024년 1월 4일 10:59

테마에도 [31C]부대 로고(80포인트)와 옐로우(30포인트)가 추가되었다.
행성전 권장 전력 특수 규칙 승리시 획득 버프 출현 적 약점/내성
행성전 1 10000 - A스타일 한정 편성 가능
- 제너럴라이즈 스킬 사용 불가
매턴 SP+1 힐 호퍼
크레스트 호퍼
크레스트 호퍼
-
-
-
행성전 2 12000 - 부대[31B]: 모든 능력 50% 증가
- 부대[31C]: 모든 능력 50% 증가
- 부대[31F]: 모든 능력 50% 증가
- 부대[31X]: 모든 능력 50% 증가
전투 시작 시 SP+5 캣 혼α
캣 혼α
타격 약점
타격 약점
행성전 3 13000 - S스타일 한정 편성 가능
- 제너럴라이즈 스킬 사용 불가
회복 스킬 효과량+50% 니들 버드 관통 약점 / 타격 내성
행성전 4 13000 - S스타일 한정 편성 가능
- 제너럴라이즈 스킬 사용 불가
방어력 50% 증가 파이어 노커
선더 노커
아이스 노커
얼음, 베기 약점
불, 베기 약점
번개, 베기 약점
행성전 5 13000 - 매턴 SP+2
- 회복 스킬 효과량+50%
파괴율 상승량+100% 아이보리 스쿠퍼 타격 약점 / 베기 내성
등급/조건 권장 전력 클리어 보상 출현 적 약점/내성
C 8000 테마 포인트×10
쿼츠×300
GP×300000
종언을 고하는 해후 불, 얼음, 번개, 빛, 어둠 약점
B 11500 테마 포인트×10
쿼츠×300
배틀 교재 Ⅲ×50
종언을 거스른 자의 증표
A 13000 테마 포인트×10
쿼츠×300
배틀 교재 Ⅲ×50
S 14500 테마 포인트×10
쿼츠×300
배틀 교재 Ⅲ×50
X 16000 테마 포인트×10
쿼츠×300
태양의 물방울×15
종언을 물리친 자의 증표
X(20턴 이내) - 테마 포인트×20
새벽의 방울
황혼의 방울
초저녁의 방울
X(12턴 이내) - 테마 포인트×20
스킬 가이드
X(8턴 이내) - 테마 포인트×20
종언을 극복한 자의 증표

====# #03 윤회하는 흉화 #====
파일:HBR_hs03_main.jpg
- 기간 : 2024년 3월 22일 11:00 ~ 2024년 4월 5일 10:59
테마에도 [31X]부대 로고(80포인트)와 핑크(30포인트)가 추가되었다.
2차와 비교하면 행성전 수가 줄고 전체적으로 권장 전력이 다소 상승되었다. 대신 항성전 보상 조건이 아주 조금 완화되었다.
이번 항성전 보스는 로터리 몰 아종으로, 2차전까지 존재한다. 물론 경과 턴수는 양쪽 전투에서 경과한 턴수를 합산한다.
행성전 권장 전력 특수 규칙 승리시 획득 버프 출현 적 약점/내성
행성전 1 10500 - A스타일 한정 편성 가능
- 제너럴라이즈 스킬 사용 불가
매턴 SP+1 크레스트 호퍼
클레이 노커
클레이 노커
-
베기 약점
베기 약점
행성전 2 13000 - S스타일 한정 편성 가능
- 제너럴라이즈 스킬 사용 불가
방어력+50% 와이어 프레임β
와이어 프레임β
베기 약점
베기 약점
행성전 3 14000 - 부대[31B]: 모든 능력 50% 증가
- 부대[31D]: 모든 능력 50% 증가
- 부대[31X]: 모든 능력 50% 증가
- 부대[30G]: 모든 능력 50% 증가
회복 스킬 효과량+50% 힐 호퍼
옥토퍼스 테일γ
옥토퍼스 테일γ
-
관통 약점
관통 약점
행성전 4 14000 - 매턴 SP+2
- 회복 스킬 효과량+50%
디버프 무효 1회 부여 배럴 워커 베기 약점 / 관통 내성
등급/조건 권장 전력 클리어 보상 출현 적 약점/내성
C 8000 테마 포인트×10
쿼츠×300
GP×300000
윤회하는 흉화 불, 빛 약점
B 10500 테마 포인트×10
쿼츠×300
배틀 교재 Ⅲ×50
흉화를 모면한 자의 증표
A 13000 테마 포인트×10
쿼츠×300
배틀 교재 Ⅲ×50
S 15000 테마 포인트×10
쿼츠×300
배틀 교재 Ⅲ×50
X 17000 테마 포인트×10
쿼츠×300
태양의 물방울×15
흉화를 잠재운 자의 증표
X(20턴 이내) - 테마 포인트×20
새벽의 방울
황혼의 방울
초저녁의 방울
X(12턴 이내) - 테마 포인트×20
스킬 가이드
X(10턴 이내) - 테마 포인트×20
흉화를 끊어 낸 자의 증표

====# #04 협곡에 사는 유령 #====
파일:HBR_hs04_main.jpg
- 기간 : 2024년 6월 14일 11:00 ~ 2024년 6월 28일 10:59
테마에도 [31E]부대 로고(80포인트)와 라임 그린(30포인트)가 추가되었다.
다시 2차 때의 5개 행성전 체계로 돌아갔다. 하지만 권장 전력은 3차 때보다도 조금 상승했다.
이번 항성전 보스는 얼티밋 휠러 아종이다. 원래 갖고 있는 바이러스 디버프 스킬은 물론, SP를 깎는 효과를 가진 전체공격과 스턴 단일공격을 구사한다. 특히 SP 깎는 양이 난이도에 따라 점점 많아지기 때문에 제대로 대책을 준비해야 한다.(C~B등급은 그다지 느끼지 못하지만 A등급이 5, S~X등급이 7이나 깎는다) S등급부터는 이런 뒤에 바이러스, 공격력 버프 쌓고 전체 독공격을 해오는 점도 주의해야 한다.
행성전 권장 전력 특수 규칙 승리시 획득 버프 출현 적 약점/내성
행성전 1 11000 - A스타일 한정 편성 가능
- 제너럴라이즈 스킬 사용 불가
매턴 전방 SP+1 힐 호퍼
크레스트 호퍼
크레스트 호퍼
-
-
-
행성전 2 13000 - S스타일 한정 편성 가능
- 제너럴라이즈 스킬 사용 불가
방어력 50% 증가 벌브 프리
벌브 프리
벌브 프리
-
-
-
행성전 3 13000 - S스타일 한정 편성 가능
- 제너럴라이즈 스킬 사용 불가
회복 스킬 효과량+50% 데스 돌
와이어 프레임 β
와이어 프레임 β
타격 약점
베기 약점
베기 약점
행성전 4 14000 - 부대[31A]: 모든 능력 50% 증가
- 부대[31C]: 모든 능력 50% 증가
- 부대[31F]: 모든 능력 50% 증가
- 부대[31G]: 모든 능력 50% 증가
OD 게이지 상승량 +20% 크로우 호스
크로우 호스
관통 약점 / 타격 내성
관통 약점 / 타격 내성
행성전 5 14000 - 3턴마다 적의 공격력 증가 매턴 전방 SP+1 슬라이미 서펀트 γ 베기 약점 / 관통 내성
등급/조건 권장 전력 클리어 보상 출현 적 약점/내성
C 8000 테마 포인트×10
쿼츠×300
GP×300000
협곡에 사는 유령 불 약점
B 11500 테마 포인트×10
쿼츠×300
배틀 교재 Ⅲ×50
유령을 봉인한 자의 증표
A 13000 테마 포인트×10
쿼츠×300
배틀 교재 Ⅲ×50
S 15500 테마 포인트×10
쿼츠×300
배틀 교재 Ⅲ×50
X 17000 테마 포인트×10
쿼츠×300
태양의 물방울×15
유령을 평정한 자의 증표
X(20턴 이내) - 테마 포인트×20
새벽의 방울
황혼의 방울
초저녁의 방울
X(12턴 이내) - 테마 포인트×20
스킬 가이드
X(10턴 이내) - 테마 포인트×20
유령을 성불시킨 자의 증표

4. 홈 설정

홈 화면에서 왼쪽에 있는 집 아이콘을 터치하면 배경을 변경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루카가 문을 열고 바다가 보이는 집[24]의 방으로 들어가 고양이가 인사한 뒤 루카가 자는 모습이 보이지만, 가지고 있는 SS 스타일로 이를 바꿀 수 있다.
홈 대사가 있는 스타일과 없는 스타일로 나뉘는데, 있는 스타일은 캐릭터가 약간씩 흔들리고, 캐릭터를 터치할 때마다 정해진 대사들을 언급한다. 대사는 세라핌 코드와 전용 스킬 사용 대사를 포함에 여럿 있다. 대사가 없는 스타일은 고정된 배경그림만 나온다.
캐릭터 스타일 대사
카야모리 루카 섬광의 서킷 버스트
[ 펼치기 · 접기 ]
- 나의 전설은 지금부터 시작된다!
- 끝내 버리자… 대충 이런 느낌이야.
- 다들 오늘 컨디션은 어때?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연주하자.
- 역부족한 자리지만 부대장을 맡고 있긴 한데, 애초에 역부족한 자리란 말이 맞아?
- 다 같이 행복해지고 싶어. 너무 큰 바람일까? 하지만 그러고 싶어.
- …나는, 나와 모두를 믿어! 그리고 소중한 것을 지키고 싶어! 너희는 어때?!
- 몽환포영은 말야… 케밥을 자르는 데도 적합하다고 생각해!
- 안녕, 나랑 데이트 안 할래? 내 에스코트에 몸을 맡겨 봐. 분명 극락을 맛볼걸.
여명의 이모셔널 소울 (확인필요)
잔향의 카디널 (확인필요)
나이트 크루즈 에스코트 (없음)
The Feel of the Throne (확인필요)
이즈미 유키 종말의 Spitfire (없음)
노각나무, 눈부시게 아름다운 야광별 (확인필요)
나이트 크루즈 어텐던트 (없음)
춤추는 리인카네이션
[ 펼치기 · 접기 ]
- Hello world
- 열매를 맺기 위해 꽃은 진다… 그게 무슨 뜻인지 너희한테도 알려주겠어.
- 왜 웃는 거야? 좋아하는 거 아니거든?! 그냥 좀 뚝딱거리는 거거든?!
- 밴마를 한다니 당시의 내가 들었으면 너무 놀라서 공중제비 세 번은 돌았겠다.
- 오키드 소속 해커였어. 지금도 내가 오키드의 일원이었던 게 자랑스러워.
- GOONG-DI 상태가 안 좋네. 아니, 내 궁디 말고. 거긴 걱정 마. 근데 그런 걸 왜 물어보는 건데.
- 겨드랑이가 다 보이네… 설마 옆 가슴도 보이는 거 아니야?! 엄청난 복장이네…
- 이런 복장으로는 싸움도 못 하고 드럼도 못 치겠네… 하아… 네 마음대로 해.
- 그렇게 보고 싶어…? 알았어… 그럼 봐… 별거 없지…? 이제 지겹지…?
- 에이, 내가 입기엔 아깝지! 이게 어울리겠어? 안 돼! 절대 소화 못 해!
- 젠장… 지퍼가 안 잠겨! 이런 걸 입어봤어야 알지! 미안한데 지퍼 좀 올려줄래?!
너를 기다리는 홍옥 (확인필요)
아이카와 메구미 Ikki Burst Strike (없음)
하룻밤의 꿈 (없음)
마음이 설레는 Fuel (없음)
트와일라이트 그로스 (확인필요)
토죠 츠카사 메멘토 모리의 미소녀 (확인필요)
한여름의 Prayer (확인필요)
시크릿 서비스 사일런스
[ 펼치기 · 접기 ]
- 진실은 하나가 아니야!
- 총과 피부 관리는 확실하게… 그것이 바로 RockStar!
- 전장에서도 스테이지에서도 내가 지원해 줘야겠네. 내버려두면 걱정되니까.
- 역시 나는 엄마를 닮았어. 그래서 외모는 정말 만족스러워.
- 피아노를 배워 둔 걸 설마 군대에 와서 활용하게 될 줄은 상상도 못 했어.
- 이 모습을 보면 날 닮아서 정말 예쁘다고 해 줄 거야, 엄마?
- 인류는 궁지에 몰렸지만 최선을 다하고 있어. 그러니까 이 정도 사치는 허락해 줘.
- 후후… 31A 중에서 슈트 차림은 내가 가장 잘 어울리네. 미안해서 어쩌지?
- 거울아, 거울아, 세상에서 누가 제일 예쁘니?라고 묻고 싶은 기분이야. 후후.
- 어?! 지금 거울에 뭔가 비쳤어! 붉게 빛나는 눈 같은 게!! 아무도 없었는데?!
- 뭘 흡족해하는 거람? 바보같이. 그래도 뭐, 한창 그럴 나이인가… 짧은 휴식이지 뭐.
버니 파이트 데비에이션
[ 펼치기 · 접기 ]
- 진실은 하나가 아니야!
- 로열 스트레이트 플러시야. 퀸이 부족하다고? 내가 퀸이야!
- 전장에서도 스테이지에서도 내가 지원해 줘야겠네. 내버려두면 걱정되니까.
- 역시 나는 엄마를 닮았어. 그래서 외모는 정말 만족스러워.
- 피아노를 배워 둔 걸 설마 군대에 와서 활용하게 될 줄은 상상도 못 했어.
- 필승법이 생각났어. 이길 때까지 계속하는 거야. 그럼 언젠간 반드시 이기겠지!
- 이 몸을 통째로 걸겠어. 지면 마음대로 해도 돼.
- 미션 컴플리트. 테이블은 엉망진창이야. 패배는 없던 일로 됐어.
- 카드를 손에 쥐면 무적이야. 자, 그럼 대결을 시작해 볼까. 도둑잡기 아니면 세븐스로!
- 감히 나에게 베팅하다니 이기면 뭘 시킬 셈이야? 어서 말해 봐.
- 미인계는 내 특기야. 이 몸매, 손가락 빨면서 보고만 있을 수 있겠어?
아사쿠라 카렌 홍련월화의 Killrazor (없음)
스칼렛 리벨리온 (확인필요)
시크릿 서비스 데몰리쉬 (확인필요)
쿠니미 타마 기합일섬 엔젤 세일러 (없음)
마법 나라의 엘리멘탈 (확인필요)
격돌!! 에어 베이스 (없음)
환상의 코랄
[ 펼치기 · 접기 ]
- 천하일품!
- 옳지~ 옳지, 옳지, 옳지, 옳지… 물고기들아, 다 같이 하자~!
- 꺄아아아아~!! 정어리 떼가 쫓아와요오~!!
- 미안해, 물고기들아. 좀 지나갈게. 옳~지, 옳지. 착한 아이들이네.
- 멋져요, 이것이 바로 in the sea! 원더풀! 이 세계를 지키고 싶어요!!
- 이건 꿈인가요?! 현실이었으면 빠져 죽었을 텐데! 산 건지 죽은 건지 도통 모르겠어!
- 싸우기 전부터 알겠네요. 이 승부는 제가 이겼어요. 승리 각이네요. 정말 고맙습니다.
- 웃고 있네요?! 왜?! 물에 빠졌는데 웃고 있어요!! 죽음을 앞두고 벌써 정신이 나간 걸까요?!
- 이 ㅁㄴㅇㄹ호ㅓㅏㅣ라는 말은 어떻게 읽으면 되는 거죠…?! 읽고 싶은데 읽을 수가 없어요!!
- 최근에는 두근두근 타~임!!을 한 적이 없어요! 루카 씨… 같이 놀자고 해주세요… 쓸쓸해요…
- 꿈인데 글래머러스하지 않아! 어째서죠?! 여기서는 글래머러스해도 되잖아요! 꿈에서도 잔혹해요!!
트와일라이트 메모리즈 (확인필요)
아오이 에리카 마음의 Inspire (없음)
전해져라, Miracle (없음)
반짝반짝 궁극의 아이돌 (확인필요)
미나세 이치고 다가오는 환희의 폴 인 러브 (없음)
너의 눈동자에 죽음을 (확인필요)
미나세 스모모 잔광 (없음)
더위 타는 어쌔신 (없음)
히구치 세이카 산 자의 호메오스타시스 (확인필요)
우주 탐구, 별의 눈부심 (확인필요)
히이라기 코즈에 푸르른 녹턴 (없음)
최후의 나이트폴 (확인필요)
홉, 스텝, 슬립! (확인필요)
뱌코 레이징 비스트 (없음)
이랑호한착음마 (없음)
야마와키 본 이바르 Ebon Knight (없음)
Holy Knight
[ 펼치기 · 접기 ]
- 이 세계는 나의 실험대야!
- ♪징글벨~ 징글벨~ 세라프 울려~!
- 분고랑 놀고 싶다고? 고마운걸. 그 녀석도 기뻐할 거야.
- 어딜 봐? 자꾸 뚫어져라 쳐다보면 이 뿔로 내장을 찔러 버릴 거야!!
- 순록의 뿔은 말이지. 탈각할 때 예고도 없이 뚝 떨어져서 무섭다고!
- 달콤한 케이크에는 블랙커피가 잘 어울리지. …나만 마실 수 있게 됐네.
- 천재 과학자는 몸단장에 신경도 안 쓰는 줄 알았지? 이 겨드랑이를 봐라!!
- 자, 분고! 선물을 나눠 주러 가자! 착한 아이들을 우리의 부하로 삼는 거야!
- 원근감이라면 한참 전에 버렸어… 최고로 멋진 이 부속 장치를 위해서 말이지!!
- 어떤 집에서 태어나야 야마와키 본 이바르라는 이름이 되는지는 오히려 내가 되묻고 싶어!!
- 통 크게 버킷으로 프라이드치킨을 사 갈까?! 둘이서 다 못 먹으면 31C 녀석들에게 나눠주면 되고!
Daydream Believer (확인필요)
사쿠라바 세이라 별의 바다, 일렁이는 포춘텔러 (확인필요)
대결!! 에어 스테이지 (없음)
Sanctuary Veil (확인필요)
텐네 미코 익스페리멘탈한 당신 (없음)
야마와키 님의 졸개: 매지컬냥 (확인필요)
가장 좋은 한때 (확인필요)
분고 야요이 밤하늘의 Shining Star (없음)
Happy Legion
[ 펼치기 · 접기 ]
- 세계 정복 시작합니다요!
- ♪Silent Night, 봐주지 않고 공격하겠습니다요!
- 켁히히! 산타 등장입니다요! 얌전히 선물을 받으란 말입니다요!
- 하얗고 폭신폭신하고 예쁘… 핫! 악의 조직은 눈 따위에 넋을 잃어서는 안됩니다요!
- 양파, 당근, 감자, 소고기, 카레 루… 심부름 중입니다요. 말 걸지 말란 말입니다요.
- 짜! 라라! 짜라라라라라~! 짜라라라~! 짜잔! 야마와키 님, 방금 노래는 어땠습니까요?!
- 너무 놀아서 머리가 어지러워졌습니다요… 그래도 오늘이 끝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요…
- 설탕이 듬뿍 들어간 케이크를 나누어 줘서 전 세계를 충치투성이로 만들 겁니다요! 켁히히!!
- 야마와키 님! 산타를 기다리는 아이들의 집으로 돌격입니다요! 크리스마스를 정복해야 합니다요!
- 오늘 하루도 즐거웠습니다요. 내일도 즐거울 것 같습니다요… 흐아암… 오늘은 이만 자겠습니다요…
- 옷이 복슬복슬해서 움직이기 힘듭니다요… 그래도 야마와키 님과 같은 옷이니까 조금만 더 입고 있겠습니다요.
삼색 괴인 경단 (확인필요)
칸자키 아델하이드 뒤죽박죽 인법 대난투 (확인필요)
빙화의 Hexerei (없음)
소녀의 휴식 (확인필요)
사츠키 마리 감미로운 Muzzle (없음)
어쌔신 인법 대번창 (확인필요)
Crying Tears (확인필요)
시라카와 유이나 Awakening Iris (확인필요)
Infernal Sanctuary (확인필요)
한여름의 장다름
[ 펼치기 · 접기 ]
- 노블레스 오블리주!
- 여름의 Fairy? 후, 얕보지 마라… 북극의 Berserk다!
- 나도 참, 전시 상황에 이런 복장을 하다니!! 아무도 못 봤겠지?!
- 인류의 운명은 우리 세라프 부대에 걸려 있다. 반드시 승리하도록 하지.
- 바다도 석양도 무척 아름답군. 나는 인류를 위해 이런 훌륭한 경치를 되찾고 싶다.
- 헛…!! 잘 어울린다는 하늘의 계시가 들렸다! 이 하늘의 계시는 뭐지?! 엄마도 아니고!!
- 나는 모두의 선배로서 믿음직스러운 존재일까. 가끔 불안해진다… 아니, 자신감을 가져라! 유이나!
- 헛…! 네가 1위라는 하늘의 계시가 들렸다! 이 하늘의 계시는 뭐지! 제발 "이상적인 선배 랭킹"이기를!
- 네가 남몰래 간직하고 있는 비밀을 가르쳐 줬으면 한다. 그것만으로 특별해지고 강해진다. 대단하지 않나?
- 이 차림을 키류가 봤다가는 "아뇨, 아뇨, 아뇨"라고 할 때처럼 "야해요, 야해요, 야해요!!"라고 할 텐데!!
츠키시로 모나카 깊은 밤이 밝아오면, 일섬심정 (확인필요)
엄폐된 시간 (확인필요)
키류 미야 별들을 붙잡는 비 (확인필요)
풍요의 신비 (확인필요)
어렴풋한 하룻밤의 몽화 (확인필요)
스가와라 치에 종말 로리타 백서 (없음)
망국의 순수한 마음
[ 펼치기 · 접기 ]
- 귀여움은 최강이랍니다.
- 귀여움 선수권 우주 대회 우승자의 이 기술을 받아 보시죠. 우후.
- 로리타라도 화낼 때는 낸답니다. 버럭 캐릭터라고 하지 마!!
- 이 근심에 찬 표정과 포즈를 보세요! 옷과 잘 어울려서 완벽해요!!
- 누가 이 새장에서 저를 꺼내 주세요… 이봐! 방금 웃은 녀석 누구야!
- 역시 저는 스윗 로리타도 잘 어울려요… 뭐야, 그 눈빛?! 불만 있냐!!
- 저한테 푹 빠지셔도 좋아요. 당신과 저, 모두 행복한 멋진 일이랍니다.
- 이 모습 그대로 스노 글로브로 만들어서 당신의 방에 장식… 거기 웃지 마!!
- 로리타는 항상 귀여움을 추구하고 자신을 갈고닦아야 하는 법. 명심해 두세요.
- 흐트러진 모습을 보여 죄송해요. 앞으로도 로리타에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려요.
- 이 북극곰은 로리타 옷을 한층 더 돋보이게 만드는 포인트에요. 야생 북극곰을 길들인 게 아니랍니다.
로리타 스토익
[ 펼치기 · 접기 ]
- 귀여움은 최강이랍니다.
- Search and Track System 기동. 로리타 풀 버스트 모드! 해치워 버려!
- 로리타라도 화낼 때는 낸답니다. 버럭 캐릭터라고 하지 마!!
- 저한테 푹 빠지셔도 좋아요. 당신과 저, 모두 행복한 멋진 일이랍니다.
- 내 앞에 무릎 꿇어. 그래, 그리고 그대로 치마 속을… 지금 뭘 보는 거야!!
- 나야말로 멋짐과 귀여움을 겸비한 새 시대의 로리타! 다들 엎드리도록 해!
- 로리타는 항상 귀여움을 추구하고 자신을 갈고닦아야 하는 법. 명심해 두세요.
- 프릴과 꽃잎이 사뿐히 흩날리고… 혼자서 미소 짓는 저는 장미처럼 아름…다워요.
- 밀리터리 로리타가 아니라 SM 여왕님 같다고? 따끔한 벌 한번 줘 볼까?! 이 자식아!
- 이 미모… 정교하게 만들어진 인형 같아요. 맞아요, 입만 열지 않으면… 자꾸 화나게 할래?!
- 로리타는 때로는 엄격하게 때로는 따뜻하게… 말 그대로 당근과 채찍이죠. 이게 채찍이고 귀여운 저를 바라볼 수 있는 권리가 당근이에요.
오가사와라 히사메 으스름달밤의 불릿 (없음)
찬양하라, 천재 검사 (확인필요)
소망과 동경
[ 펼치기 · 접기 ]
- 다가오면 벤다!
- 어버버…! 이제 부대 최강이에요! 어때요! 어라…?
- 저는 천재니까 존경하셔도 돼요.
- 이 꼬리… 어, 어디에서 솟아나 있는 건가요…
- 귀, 귀엽다고 하지 마세요! 마음이 흐트러진다고요!
- 검을 쓰면 최강이라고요~! 누구한테도 지지 않아요!
- 아으… 아직… 졸려요… 아직 더 자도 될 시간… 이네요…
- 천재 미소녀 검사가 귀여운 고양이 귀 검사로 변했어요!!!
- 이, 이런 모습으로는 제자님 앞에서 위엄을 지킬 수 없어요!
- 어…? 어라?! 이 귀는 대체 뭔가요?! 텐네 씨의 마법약 때문인가요?!
- 귀엽다고 할 거에요… 무조건 할 거라고요… 제 마음이 버티지 못할 거예요!!
쿠라 사토미 이제 바라노니 풍요의 영혼 (확인필요)
젊은 여주인의 나날 (확인필요)
나가이토 미사토 무상의 종국 (없음)
Holiday Ring a Bell (확인필요)
이시이 이로하 격파의 무채색 (없음)
미코토 후부키 종말에 뭐 할 거지? (없음)
무로후시 리사 어서 집으로 돌아가요 (없음)
잠입, 미소로 기술 교류회 (확인필요)
다테 아카리 테니스 코트의 악마 (확인필요)
Holiday Star Night (확인필요)
미즈하라 아이나 록 업 올카 (확인필요)
돌진! 토막! 참치! (확인필요)
오오시마 이치코 끝없는 자애의 수호자 (없음)
Sweet Phantasy (확인필요)
오오시마 니이나 Brand New Mind (없음)
가슴 뛰는 온천 마을 (확인필요)
오오시마 미노리 Realize Your Mind (확인필요)
오오시마 요츠하 깨져버린 나른함 (없음)
꾸벅꾸벅 파자마 나이트 (확인필요)
오오시마 이스즈 승리를 향한 열쇠 (확인필요)
목욕 후의 별천지
[ 펼치기 · 접기 ]
- 오픈 더 락!
- 모처럼이니… 먼저 뜨거운 맛 좀 봐! 뜨거! 앗, 뜨거~!
- 여관방에 비치된 화과자는 먹어도 돈 안내도 돼? 진짜?!
- 목욕 후에 하는 마사지는 효과가 좋아. 괜찮으면 한번 받아볼래?
- 응…? 아~덥고 조금 답답해서 안 입었어… 밑은… 어라? 입었던가…?
- 후, 더워라~ …온천에 너무 오래 들어가 있었어… 조금만 더 쉬다 가자.
- 오픈 더 락. 나한테 걸리면 어떤 문도 열 수 있어. 물론 마음의 문 또한 말이지.
- 딱히 이치코만 소중한 건 아니거든. 니이나도, 미노리도, 요츠하도, 무우아도 소중해.
- 이 기지에는 분명 뭔가 비밀이 있을 거야. 자물쇠 열기 장인의 감이 그렇게 말하고 있어.
- 온천 여관에서 밤바람을 맞으며 흩날리는 단풍잎을 바라본다… 좋은 가족 여행 같지 않아?
오오시마 무우아 위기라서 최고 (없음)
이른 봄의 맞바람
[ 펼치기 · 접기 ]
- 나는 넘어지지 않아.
- 나올 때까지 뽑는다! 하아, 하아… 대길~!!
- 하핫핫핫핫… 하아, 하아, 하아, 하아… 하~ 하~ 하~! 후…히히… 뿌힛!
- 성인식 때는 다 같이 후리소데를 입고 엄마 아빠께 이렇게 잘 컸다고 얘기할 거야.
- 후리소데를 입고 달리려고 하면 평소보다 갑갑해서 꼭 묶여 있는 것 같아. 뭔가… 좋지 않아?
- 저기… 후리소데에 두르는 띠가 헐거워졌는데 꽉 동여매 줄래? 꽉~! 난 상관 말고 꽉 동여매 줘.
- 오오시마네의 운영도 순조롭네! 언젠가 세계가 평화로워지면 언니들이랑 여러 장소에서 장사할 거야!
- 오오시마가에서는 운세 제비를 여섯이서 하나만 뽑아. 대길이 나오면 기쁨이 6배! 흉이 나오면 슬픔이 6분의 1!
- 대단해… 영하의 날씨 속에서 심호흡을 하니까… 가슴 속이 얼 것 같은데 시원해~! 이거… 이러다가 버릇되겠는데~?!
- 피학적 성향이라는 말을 자주 듣는데 그런 거 아니야. 근데… 요즘엔 피학적 성향이라는 말을 안 들으면 뭔가 부족해.
야나기 미온
마루야마 카나타
하나무라 사키
마츠오카 치로루
나츠메 이노리
쿠로사와 마키
캐롤 리퍼
리 잉시아
아이린 레드메인
브리티카 발라크리시난
마리아 데 안젤리스
샬로타 스코폽스카야
타치바나 카나데
나카무라 유리
이리에 미유키

여담으로 항성 소탕 전선이 시작되면 기본값의 경우 밖이 밤이고 유성우가 내리며, 다른 스타일로 설정한 경우 기간 중 처음 접속했을 때에 한해 기본값으로 나온다.

5. 콘텐츠

게임 콘텐츠 전체가 아니라, 홈 화면 메뉴 중 콘텐츠 메뉴에 대한 내용이다.

5.1. 디오라마

각종 배경에 가지고 있는 스타일의 3D 모델을 배치하여 컨셉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업데이트를 통해서 대사도 삽입할 수 있게 되었다. 배경도 다수 추가되기도 했으며, 추가로 이모티콘도 추가되었다.
다만 모델들의 동작은 몇 가지로 제한되어 있어 구현할 수 있는 동작이 많지 않다.

5.2. 라이브 모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헤븐 번즈 레드/콘텐츠/라이브 모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She is Legend의 곡을 리듬 게임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미니게임 모드.

5.3. 갤러리

메인 스토리, 이벤트 스토리, 메모리 이벤트에서 얻은 CG를 감상할 수 있다.

5.4. 아츠 배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헤븐 번즈 레드/콘텐츠/아츠 배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강화/육성

6.1. 기억의 정원

메인 화면에서 기억의 정원을 선택할 경우 기억의 정원으로 이동한다. 기억의 정원은 저녁놀의 부대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맵에 주인공 루카를 제외한 캐릭터들이 노이즈가 낀 채로 구현되어 있다. 이들의 대사 역시 완전한 노이즈로 처리되어 있는데, 시계탑, 프리즘 배틀, 오브 보스의 적을 잡을 때 얻는 기억의 조각을 20개씩 소모함으로써 캐릭터 당 총 5번의 기억 수복을 하여 서서히 대사를 복구해낼 수 있다. SS 스타일이 실장된 캐릭터는 기억 수복을 통해 메모리 스토리를 감상할 수 있고, 보상으로 해당 캐릭터의 SS 스타일 전용 액세서리를 얻을 수 있다.

이 기억 수복 대사도 여러모로 떡밥을 던지는 요소로, 기억 수복 대사들은 캐릭터들마다 그 시점이 다 다르다. 그 때문인지 그냥 일반적인 것으로 보이는 대사도 있는 반면, 본편 시나리오 감상을 전제로 한 대사도 있기에 본편 감상 후에 보면 그 견해가 달라지는 경우도 많다.

추가로 기억의 정원에서는 매일 맵에 총 7개의 아이템이 드랍되어 GP와 경험치 책 중 랜덤 보상(200/2000/20000GP, 배틀 교재 I부터 III까지 나오며, 물론 높은 보상일수록 확률이 낮다)을 획득할 수 있고, 루카를 따라다니는 고양이에게 말을 걸어 GP로 경험치 책과 루카의 전용 악세사리를, GGP[25]로 경험치 책이나 미소지 A등급 캐릭터를 구매할 수 있다. 당초엔 이와 같이 창렬급 교환 정책으로 욕을 먹었지만 이후 패치로 교환 대상 물품이 대폭 늘어나고 그 질 또한 스킬 레벨을 확정적으로 올릴 수 있는 스킬 가이드 등이 들어온 덕에 좋아졌다. 또한 기존에 쓸데없는 경험치 책(...)을 샀던 유저들에게 GGP를 페이백 해주는 정책을 보이면서 호평을 들었다.

6.1.1. 교환 & 연성

정원에서 늘 따라다니는 고양이에게 말을 걸어 이용할 수 있다. 대화를 제외하면 홈에서도 바로 할 수 있다.

6.1.2. 메모리 스토리

주인공인 루카와 콜라보 캐릭터를 제외한 모든 세라프 대원들이 정원 어딘가에 배치되어 있어 말을 걸 수 있다. 처음엔 홀로그램처럼 지직거리고 말도 없지만, 기억의 조각을 20개씩 줄 때마다 조금씩 정착되면서 대사도 조금씩 나타난다. 또한 캐릭터별로 일정 단계까지 개방하면 교류와 동일한 메모리 스토리를 볼 수 있다. 대개 SS 스타일 전용 액세서리를 주는 이벤트이기 때문에 SS 스타일이 많을수록 메모리 이벤트도 많다.

캐릭터들은 각 부대별로 정해진 위치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부대만 기억하면 찾기는 어렵지 않다.위치 링크 단 홈에서 교류/메모리 스토리 항목을 통해 해당 캐릭터에게 바로 갈 수도 있으므로 위치를 꼭 기억할 필요는 없다.

6.2. 던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헤븐 번즈 레드/콘텐츠/던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라이프 2개 혹은 던전 티켓 한 장을 소모하여 입장할 수 있는 콘텐츠.

6.3. 프리즘 배틀/보석 프리즘

강화 소재, GP, 대량의 경험치 등 재화를 얻기 위한 배틀.

6.3.1. 프리즘 배틀

스킬 개방에 필요한 소재(별의 모래~슈바르츠실트의 핵)와, 5성까지의 액세서리를 얻을 수 있는 전투. 권장 전력이 3000~11500으로 낮아서 초반 캐릭터 육성에도 자주 쓰인다.
약점 내성
어비스 노커 베기 관통
다이아몬드 아이 타격 베기
니들 버드 관통 타격
레벨 별 보상
레벨 권장 전력 토벌 보상 드롭 아이템
플레이어 랭크 Exp 소재 액세서리[26] 기억의 조각 꿈의 눈물
1 3000 50 모래 1 2
2 4500 50 모래
광석(확률)
★★ 1 2
3 5000 50 모래
광석(확률)
★★ 1 3
4 5800 50 모래
광석
★★★ 1 3
5 6500 50 모래
광석
천연수(확률)
★★★ 1 3
6 7500 50 모래
광석
천연수(확률)
★★★★ 1 4
7 8500 50 모래
광석
천연수
★★★★ 1 5
8 9500 50 모래
광석
천연수
핵(확률)
★★★★ 1 6
9 10500 50 모래
광석
천연수
핵(확률)
★★★★★ 1 7
10 11500 50 모래
광석
천연수
★★★★★ 1 8

6.3.2. 보석 프리즘

주로 6성 액세서리를 연성하는 데 사용되는, 보석을 얻을 수 있는 전투. 경험치 효율도 좋아서 중후반 육성은 대개 여기서 한다.[27][28] 일반 프리즘의 약점/내성이 공격 타입과 관련된 거라면 여기는 공격 속성도 관련되어 있다.
약점 내성 주 드랍 보석
베르크 노커 얼음, 관통 불, 타격 루비
헤일 호스 번개, 관통 얼음, 타격 사파이어
파일 골렘 T 타격 번개, 베기 토파즈
셸 프로텍션 어둠, 타격 빛, 베기 진주
베일드 데스 O 빛, 베기 어둠, 관통 오닉스
아라크네 라인 A - 무속성 알렉산드라이트
레벨 별 보상(아라크네 라인 제외) 레벨 별 보상(아라크네 라인)
레벨 권장 전력 토벌 보상 드롭 아이템 레벨 권장 전력 토벌 보상 드롭 아이템
8 9500 플레이어 랭크 Exp*50
주 보석
다이아몬드(확률)
기억의 조각
GP*4000
꿈의 눈물*6
13 14000 플레이어 랭크 Exp*50
알렉산드라이트
루비(확률)
사파이어(확률)
토파즈(확률)
진주(확률)
오닉스(확률)
기억의 조각
GP*6500
꿈의 눈물*11
9 10500 플레이어 랭크 Exp*50
주 보석
다이아몬드(확률)
기억의 조각
GP*4500
꿈의 눈물*7
14 15000 플레이어 랭크 Exp*50
알렉산드라이트
루비(확률)
사파이어(확률)
토파즈(확률)
진주(확률)
오닉스(확률)
알렉산드라이트(확률)
기억의 조각
GP*6500
꿈의 눈물*12
10 11500 플레이어 랭크 Exp*50
주 보석
다이아몬드
기억의 조각
GP*5000
꿈의 눈물*8
15 16000 플레이어 랭크 Exp*50
알렉산드라이트
루비(확률)
사파이어(확률)
토파즈(확률)
진주(확률)
오닉스(확률)
알렉산드라이트(확률)
기억의 조각
GP*6500
꿈의 눈물*13
11 12500 플레이어 랭크 Exp*50
주 보석
주 보석(확률)
다이아몬드
기억의 조각
GP*5500
꿈의 눈물*9
16 17000 플레이어 랭크 Exp*50
알렉산드라이트 2개
루비(확률)
사파이어(확률)
토파즈(확률)
진주(확률)
오닉스(확률)
알렉산드라이트(확률)
기억의 조각
GP*6500
꿈의 눈물*14
12 13500 플레이어 랭크 Exp*50
주 보석 2개
주 보석(확률)
다이아몬드
기억의 조각
GP*6000
꿈의 눈물*10
13 14000 플레이어 랭크 Exp*50
주 보석 3개
주 보석(확률)
다이아몬드
기억의 조각
GP*6500
꿈의 눈물*11

6.3.3. 이벤트 프리즘

현재 새로 생긴 이벤트에 한해 정원에서도 이벤트 프리즘 배틀을 할 수 있는 문이 있다. 각 이벤트별로 다른 교환소 메달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는 그 이벤트의 교환소에서 재화와 교환할 수 있다.
정원을 통하지 않고 홈에서 바로 이벤트로 들어가면 보든 종류의 이벤트 프리즘에 도전할 수 있다.(단, 생긴 지 일정 기간이 지난 이벤트의 이벤트 프리즘은 우선 에델바이스로 해금할 필요 있음) 난이도는 초기 이벤트는 D~S 정도였지만 조금씩 난이도 범위가 바뀌었고, 초기 이벤트도 3배 보상 이벤트가 열릴 때마다 추가되고 있어서 현재 최고난이도인 XIII가 없는 이벤트는 한개밖에 없다.
이벤트 스토리 D C B A S S+ SS XI XII XIII
따뜻함과 서글픔, 든든함…
Requiem for the Blue
이 별에 펼치는 한 수
행동 관찰 보고서 제1186호
가라! 꼬맹이 대작전 U140
A Little Tear, Forgotten Memories
여름! 수영복! 트로피컬 축제! - -
Dear My Little HERO - - -
신탁과 하얀 백합 - - -
That day's Friend - - -
세라프 검도 무술제 - -
신년! 31A 무인도 서바이벌 생활 ~때로는 게임 오버~ - - - - - -
오오시마네 이야기 - - -
그대에게 보내는 동경
고고하고 덧없는 존재들 - - -
죄와 벌과 사랑과 - -
Peace of Cradle - - -
너는 이 여름의 Fairy, 나는 그 모습을 눈동자 속에 Rec.
작은 황제와 평화로운 조식 - -
미인 온천 이야기 모락모락 천자만홍 - - -
붉은 비에 젖는 소맷동 - - -
Letters on The Back
사립 세라핌 학교 ~아오이, 아이돌이 될게요!~
괴인 노트와 은시계 - -
28m의 영원
아이린 레드메인의 사건부 ~명탐정과 숲속의 마녀~ - - - -
레벨 별 보상
난이도 권장 전력 토벌 보상 드롭 아이템
플레이어 랭크 Exp 교환소 메달[29] 기억의 조각 꿈의 눈물
D 3000 50 15 1 2
C 5000 50 20 1 3
B 5800 50 25 1 3
A 7500 50 35 1 4
S 9500 50 40 1 6
S+ 10500 50 45 1 7
SS 11500 50 50 1 8
XI 12500 50 55 1 9
XII 13500 50 60 1 10
XIII 14000 50 65 1 11

6.4. 오브 보스

범용 스킬을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액세서리인 오브를 획득하기 위한 보스 배틀. 제4장 전편 Day6를 클리어하면 정원 내 기숙사에서 라이프 2개 혹은 오브 보스 티켓 1장으로 도전할 수 있다.[30] 도전하기 이전에 개방도 해야 하는데, 3단계의 레벨이 있고 각각 20 / 30 / 50개의 기억의 조각을 사용해야 한다.
2024년 5월 기준, 세 가지 레벨의 보스가 있으며, 각각의 레벨마다 속성 별 최대 5종류의 오브 보스가 존재한다. 모든 보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사항으로 전투 시작 시점에 본인 속성의 필드를 깐다.

각 레벨마다 첫 클리어시 오브를 하나 획득하게 된다. 오브를 장착한 캐릭은 오브의 고유 스킬을 쓸 수 있다. 또한 장착한 캐릭이 해당 오브 보스를 이기면 오브의 숙련도가 오르며, 100%를 달성하면 오브 없이도 오브 스킬을 쓸 수 있게 된다.[31]
오브 외에도 브레이슬릿을 획득하며, 2번째부터는 확률적으로 획득한다. 오브 보스 레벨 별로 드랍되는 브레이슬릿의 레벨도 다른데, 레벨 별로 해당 오브 보스에게 받는 피격 대미지를 25% ~ 75%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고난이도로 가면 전용 브레스 장착이 반 쯤 필수가 된다. 그 외에 체력과 정신을 35나 올려주기도 하므로 다른 상황에서 사용해도 괜찮은 편.[32]

6.4.1. 오브 보스 Ⅰ

기억의 정원 내 기숙사에서 싸울 수 있는 엑소 워처 시리즈. 권장 전력은 13000~15000.
오브 보스 레벨 권장 전력 내성 약점 토벌 보상(초회) 토벌 보상(2회 이후)
엑소 워처 R 1 13000 얼음 회심의 오브
화문의 브레이슬릿
화문의 브레이슬릿(확률)
오브 숙련치+0.4%
2 14000 얼음 회심의 오브
화문의 브레이슬릿+1
오브 숙련치+1.2%
화문의 브레이슬릿+1(확률)
오브 숙련치+1.2%
3 15000 얼음 회심의 오브
화문의 브레이슬릿+2
오브 숙련치+3.6%
화문의 브레이슬릿+2(확률)
오브 숙련치+3.6%
엑소 워처 B 1 13000 얼음 번개 부활의 오브
빙문의 브레이슬릿
빙문의 브레이슬릿(확률)
오브 숙련치+0.4%
2 14000 얼음 번개 부활의 오브
빙문의 브레이슬릿+1
오브 숙련치+1.2%
빙문의 브레이슬릿+1(확률)
오브 숙련치+1.2%
3 15000 얼음 번개 부활의 오브
빙문의 브레이슬릿+2
오브 숙련치+3.6%
빙문의 브레이슬릿+2(확률)
오브 숙련치+3.6%
엑소 워처 Y 1 13000 번개 구동의 오브
뇌문의 브레이슬릿
뇌문의 브레이슬릿(확률)
오브 숙련치+0.4%
2 14000 번개 구동의 오브
뇌문의 브레이슬릿+1
오브 숙련치+1.2%
뇌문의 브레이슬릿+1(확률)
오브 숙련치+1.2%
3 15000 번개 구동의 오브
뇌문의 브레이슬릿+2
오브 숙련치+3.6%
뇌문의 브레이슬릿+2(확률)
오브 숙련치+3.6%
엑소 워처 W 1 13000 어둠 방어의 오브
광문의 브레이슬릿
광문의 브레이슬릿(확률)
오브 숙련치+0.4%
2 14000 어둠 방어의 오브
광문의 브레이슬릿+1
오브 숙련치+1.2%
광문의 브레이슬릿+1(확률)
오브 숙련치+1.2%
3 15000 어둠 방어의 오브
광문의 브레이슬릿+2
오브 숙련치+3.6%
광문의 브레이슬릿+2(확률)
오브 숙련치+3.6%
엑소 워처 P 1 13000 어둠 공격의 오브
암문의 브레이슬릿
암문의 브레이슬릿(확률)
오브 숙련치+0.4%
2 14000 어둠 공격의 오브
암문의 브레이슬릿+1
오브 숙련치+1.2%
암문의 브레이슬릿+1(확률)
오브 숙련치+1.2%
3 15000 어둠 공격의 오브
암문의 브레이슬릿+2
오브 숙련치+3.6%
암문의 브레이슬릿+2(확률)
오브 숙련치+3.6%

6.4.2. 오브 보스 Ⅱ

기억의 정원 내 아카데미에서 싸울 수 있는 시니스터 & 렉투스 닐 시리즈. 권장 전력은 14500~16500. 2마리를 상대해야 하며, 한쪽이 죽으면 나머지가 광폭화되어 능력치 상승 및 행동 횟수가 증가하므로 동시에 잡는 것이 좋다.
오브 보스 레벨 권장 전력 내성 약점 토벌 보상(초회) 토벌 보상(2회 이후)
시니스터 &
렉투스 닐 R
1 14500 얼음 집중의 오브
화문의 브레이슬릿Ⅱ
오브 숙련치+0.4%
화문의 브레이슬릿Ⅱ(확률)
오브 숙련치+0.4%
2 15500 얼음 집중의 오브
화문의 브레이슬릿Ⅱ+1
오브 숙련치+1.2%
화문의 브레이슬릿Ⅱ+1(확률)
오브 숙련치+1.2%
3 16500 얼음 집중의 오브
화문의 브레이슬릿Ⅱ+2
오브 숙련치+3.6%
화문의 브레이슬릿Ⅱ+2(확률)
오브 숙련치+3.6%
시니스터 &
렉투스 닐 B
1 14500 얼음 번개 충전의 오브
빙문의 브레이슬릿Ⅱ
오브 숙련치+0.4%
빙문의 브레이슬릿Ⅱ(확률)
오브 숙련치+0.4%
2 15500 얼음 번개 충전의 오브
빙문의 브레이슬릿Ⅱ+1
오브 숙련치+1.2%
빙문의 브레이슬릿Ⅱ+1(확률)
오브 숙련치+1.2%
3 16500 얼음 번개 충전의 오브
빙문의 브레이슬릿Ⅱ+2
오브 숙련치+3.6%
빙문의 브레이슬릿Ⅱ+2(확률)
오브 숙련치+3.6%
시니스터 &
렉투스 닐 Y
1 14500 번개 회복의 오브
뇌문의 브레이슬릿Ⅱ
오브 숙련치+0.4%
뇌문의 브레이슬릿Ⅱ(확률)
오브 숙련치+0.4%
2 15500 번개 회복의 오브
뇌문의 브레이슬릿Ⅱ+1
오브 숙련치+1.2%
뇌문의 브레이슬릿Ⅱ+1(확률)
오브 숙련치+1.2%
3 16500 번개 회복의 오브
뇌문의 브레이슬릿Ⅱ+2
오브 숙련치+3.6%
뇌문의 브레이슬릿Ⅱ+2(확률)
오브 숙련치+3.6%
시니스터 &
렉투스 닐 W
1 14500 어둠 연화의 오브
광문의 브레이슬릿Ⅱ
오브 숙련치+0.4%
광문의 브레이슬릿Ⅱ(확률)
오브 숙련치+0.4%
2 15500 어둠 연화의 오브
광문의 브레이슬릿Ⅱ+1
오브 숙련치+1.2%
광문의 브레이슬릿Ⅱ+1(확률)
오브 숙련치+1.2%
3 16500 어둠 연화의 오브
광문의 브레이슬릿Ⅱ+2
오브 숙련치+3.6%
광문의 브레이슬릿Ⅱ+2(확률)
오브 숙련치+3.6%
시니스터 &
렉투스 닐 P
1 14500 어둠 감쇠의 오브
암문의 브레이슬릿Ⅱ
오브 숙련치+0.4%
암문의 브레이슬릿Ⅱ(확률)
오브 숙련치+0.4%
2 15500 어둠 감쇠의 오브
암문의 브레이슬릿Ⅱ+1
오브 숙련치+1.2%
암문의 브레이슬릿Ⅱ+1(확률)
오브 숙련치+1.2%
3 16500 어둠 감쇠의 오브
암문의 브레이슬릿Ⅱ+2
오브 숙련치+3.6%
암문의 브레이슬릿Ⅱ+2(확률)
오브 숙련치+3.6%

6.4.3. 오브 보스 Ⅲ

기억의 정원 내 레저 거리에서 싸울 수 있는 아몬 시리즈. 권장 전력은 18000~19000. 기존의 해금 조건에 더해 액세서리 레벨 합이 250을 넘긴 부대를 가진 적이 있어야 해금된다. DP 게이지가 3개 있어 한 턴에 하나의 게이지만 깰 수 있다.
오브 보스 레벨 권장 전력 내성 약점 토벌 보상(초회) 토벌 보상(2회 이후)
아몬 B 1 18000 얼음 번개 가중의 오브(번개)
빙문의 브레이슬릿Ⅲ
오브 숙련치+0.4%
빙문의 브레이슬릿Ⅲ(확률)
오브 숙련치+0.4%
2 18500 얼음 번개 가중의 오브(번개)
빙문의 브레이슬릿Ⅲ+1
오브 숙련치+1.2%
빙문의 브레이슬릿Ⅲ+1(확률)
오브 숙련치+1.2%
3 19000 얼음 번개 가중의 오브(번개)
빙문의 브레이슬릿Ⅲ+2
오브 숙련치+3.6%
빙문의 브레이슬릿Ⅲ+2(확률)
오브 숙련치+3.6%
아몬 Y 1 18000 번개 가중의 오브(불)
뇌문의 브레이슬릿Ⅲ
오브 숙련치+0.4%
뇌문의 브레이슬릿Ⅲ(확률)
오브 숙련치+0.4%
2 18500 번개 가중의 오브(불)
뇌문의 브레이슬릿Ⅲ+1
오브 숙련치+1.2%
뇌문의 브레이슬릿Ⅲ+1(확률)
오브 숙련치+1.2%
3 19000 번개 가중의 오브(불)
뇌문의 브레이슬릿Ⅲ+2
오브 숙련치+3.6%
뇌문의 브레이슬릿Ⅲ+2(확률)
오브 숙련치+3.6%
아몬 W 1 18000 어둠 가중의 오브(어둠)
광문의 브레이슬릿Ⅲ
오브 숙련치+0.4%
광문의 브레이슬릿Ⅲ(확률)
오브 숙련치+0.4%
2 18500 어둠 가중의 오브(어둠)
광문의 브레이슬릿Ⅲ+1
오브 숙련치+1.2%
광문의 브레이슬릿Ⅲ+1(확률)
오브 숙련치+1.2%
3 19000 어둠 가중의 오브(어둠)
광문의 브레이슬릿Ⅲ+2
오브 숙련치+3.6%
광문의 브레이슬릿Ⅲ+2(확률)
오브 숙련치+3.6%
아몬 P 1 18000 어둠 가중의 오브(빛)
암문의 브레이슬릿Ⅲ
오브 숙련치+0.4%
암문의 브레이슬릿Ⅲ(확률)
오브 숙련치+0.4%
2 18500 어둠 가중의 오브(빛)
암문의 브레이슬릿Ⅲ+1
오브 숙련치+1.2%
암문의 브레이슬릿Ⅲ+1(확률)
오브 숙련치+1.2%
3 19000 어둠 가중의 오브(빛)
암문의 브레이슬릿Ⅲ+2
오브 숙련치+3.6%
암문의 브레이슬릿Ⅲ+2(확률)
오브 숙련치+3.6%

6.5. 시간의 수련장

2장 DAY23 종료 이후 해금된다. 약점과 내성이 없는 적인 아니마 스피어를 상대로 전투를 하게 되며, 전투 보상을 보상 pt 상한 내에서 정할 수 있다. 보상 pt 상한은 처음엔 30이지만 메인 스토리를 일정 이상 진행할 때마다 높아진다. 현재는 100이 최대이다. 사용하는 보상 pt 수치가 높아질수록 적의 전투력이 강해지며, 그 대신 획득하는 GP와 경험치도 상승한다.

각 속성 강화 재료들과 보석류를 전투 보상으로 선택이 가능하며, 계수는 전투 100회시 평균 획득 갯수로, 한 판에 (기댓값)%확률로 드롭된다 생각하면 된다. 아레나에선 얻을 수 없는 융합된 광석/노바 천연수/슈바르츠실트의 핵과 보석류도 선택에 따라 얻는 게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시간당 돌의 조각이나 용액의 획득량은 셔틀런[33]은 물론이고 아레나보다도 낮으며[34], 악세사리 관련 재료인 푸른 호박의 물방울이나 태양의 물방울을 얻을 순 없다는 단점이 있다.[35]

아레나와 마찬가지로 저전력 모드에도 대응이 가능하며, 아레나처럼 1회 주회 시간이 마지막으로 클리어한 타임+20초를 더한 값으로 정해지는 것은 동일하다. 단, 최소 클리어타임은 1분으로 저전력 1회차는 80초 미만으로 줄지 않기 때문에 1분 이내라면 무리해서 더 줄일 필요는 없다.
사용 Pt 권장 전력 Exp Gp
1~10 5500 505 198
11~15 6500 602 236
16~20 7800 709 236
21~25 9800 811 311
26~30 11000 1031 349
31~40 12000 1211 388
41~50 13800 1580 426
51~60 14300 2219 469
61~70 14800 3003 508
71~80 15300 3239 510
81~90 15800 3399 512
91~100 16300 3770 525

6.6. 시계탑

처음 출시할 때에는 스토리 진행에 따라 열리는 층들을 전투를 거치며 올라가는 곳이었으나, 1.5주년(Ver.3.6.0) 때 사라지고 Ver.3.8.0 때 리뉴얼되었다.
구역별로 4~5번의 전투를 50턴 내에 클리어하는 방식으로, 스킬 진화 소재인 다크 매터를 얻을 수 있다.

노멀 난이도와 헬 난이도가 따로 있는데 노멀 난이도는 난이도 하향 후의 4장 후편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헬 난이도는 난이도 하향 전의 4장 후편보다도 더 어렵다. 헬 난이도에서 적들의 보더값이 최소 380으로 엄청나게 높아서[36] 어정쩡한 세팅으로는 택도 없으니 단단히 준비하고 가야한다.

* 하이 스코어 보상
각 구열별로 하이 스코어를 산출하고, 그 합에 따라 보상을 받는다. 총 50턴이 주어지며, 에어리어 클리어 후 남은 턴수 당 노멀 100점, 헬 125점이 주어진다. 여기에 헬은 보너스 3000점이 추가. 각 에어리어 당 평균 6000점을 얻으면 모든 보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는 노멀 난이도로는 달성 불가능하며, 헬 난이도 기준으로 도합 26턴 이내로 각 에어리어를 클리어하면 획득할 수 있다. 뒤로 갈수록 난이도가 계속 올라가기 때문에 모든 보상을 얻으려는 경우 초기 에어리어에서 조금 더 점수를 벌어 놓는게 일반적이다.
보상 스코어
보주(베기 속성)×5 500 / 6500 / 12500 / 18500 / 24500 / 30500 / 36500 / 42500 / 48500
보주(관통 속성)×5 1000 / 7000 / 13000 / 19000 / 25000 / 31000 / 37000 / 43000 / 49000
보주(타격 속성)×5 1500 / 7500 / 13500 / 19500 / 25500 / 31500 / 37500 / 43500 / 49500
오브 보스 티켓×1 2000 / 4000 / 8000 / 10000 / 14000 / 16000 / 20000 / 22000 /
26000 / 28000 / 32000 / 34000 / 38000/ 40000 / 44000 / 46000 / 50000 / 52000
보주(불 속성)×5 2500 / 8500 / 14500 / 20500 / 26500 / 32500 / 38500 / 44500 / 50500
보주(얼음 속성)×5 3000 / 9000 / 15000 / 21000 / 27000 / 33000 / 39000 / 45000 / 51000
보주(번개 속성)×5 3500 / 9500 / 15500 / 21500 / 27500 / 33500 / 39500 / 45500 / 51500
보주(빛 속성)×5 4500 / 10500 / 16500 / 22500 / 28500 / 34500 / 40500 / 46500 / 52500
보주(어둠 속성)×5 5000 / 11000 / 17000 / 23000 / 29000 / 35000 / 41000 / 47000 / 53000
새벽의 방울×1 5500 / 23500 / 41500
황혼의 방울×1 11500 / 29500 / 47500
초저녁의 방울×1 17500 / 35500 / 53500
스킬 가이드×1 6000 / 12000 / 18000 / 24000 / 30000 / 36000 / 42000 / 48000 / 54000

* 출현하는 적
구역 권장 전력(노멀) 약점 내성 첫 클리어 보상
1 1 14000 몰 암즈 α×2 불, 얼음, 번개, 빛, 어둠 무속성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2 14000 서밋 골렘
커스 돌
트라이 클로
타격
타격
-
베기
-
-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3 14000 배럴 워커×2 베기 관통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4 14000 그림자 유키 [Spitfire] 관통 베기, 타격 쿼츠×50
[유성] 다크 매터×1
5 14000 데스 슬러그 - -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2 6 14000 슈림프 크랩×2 관통 베기, 타격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7 14000 그림자 히사메 [불릿] 관통 베기, 타격 쿼츠×50
[미카즈키 무네치카] 다크 매터×1
8 14000 어비스 노커 베기 관통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9 14000 그림자 니이나 [BrandNew] - 쿼츠×50
[순애 앰비셔스] 다크 매터×1
3 10 14500 와이어 퍼플γ×2 빛, 베기 -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11 14500 그림자 스가와라 [로리타 백서] 타격 베기, 관통 쿼츠×50
[이노센트 와일드] 다크 매터×1
12 14500 아라크네 블루 라인 번개, 관통 타격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13 14500 그림자 미사토 [종국] 어둠 - 쿼츠×50
[석탑의 수] 다크 매터×1
14 14500 셸 프로텍션 어둠, 타격 빛, 베기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4 15 14500 파이어 노커×2 얼음, 베기 -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16 14500 그림자 메구미 [Ikki Burst] 타격 베기, 관통 쿼츠×50
[리미트 임팩트] 다크 매터×1
17 14500 라이트 배럴 워커 Ω 어둠 무속성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18 14500 그림자 치로루 [질풍 고속] 타격 베기, 관통 쿼츠×50
[필멸! 베인 킥] 다크 매터×1
19 14500 퍼플 필러 가디언×2 빛, 타격 베기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5 20 15000 힐 호퍼
캣 혼 β×2
-
타격
-
-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21 15000 그림자 이치고 [폴 인 러브] 번개, 관통 타격 쿼츠×50
[스파클 트라이샷] 다크 매터×1
22 15000 슬라이미 선더 α×2 불, 베기 관통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23 15000 그림자 스모모 [빛] 번개, 베기 타격 쿼츠×50
[스파클 트라이 에지] 다크 매터×1
6 24 15000 옥토퍼스 테일 γ×2 관통 -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25 15000 그림자 야마와키 [Knight] 얼음, 베기 타격 쿼츠×50
[절대영도] 다크 매터×1
26 15000 아이보리 스쿠퍼×2 타격 베기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27 15000 그림자 루카 [이모셔널 소울] 불, 베기 관통 쿼츠×50
[성화요원] 다크 매터×1
28 15000 선더 버드 불, 관통 타격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7 29 15500 오브젝션 퍼플×2 빛, 타격 -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30 15500 그림자 츠카사 [메멘토 모리] 타격 쿼츠×50
[메멘토 모리] 다크 매터×1
31 15500 베일드 데스 불, 얼음, 번개 -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32 15500 그림자 코즈에 [녹턴] 번개, 베기 관통 쿼츠×50
[클레어 드 룬] 다크 매터×1
33 15500 다이아몬드 아이 S 타격 베기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8 34 15500 와이어 레드 β×2 얼음, 베기 -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35 15500 그림자 마루야마 [에볼루션] 어둠, 관통 타격 쿼츠×50
[보이드 스톰] 다크 매터×1
36 15500 퍼플 엘리펀트 휩 빛, 베기 관통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37 15500 그림자 마루야마 [에볼루션]
그림자 야나기 [Rose]
어둠, 관통
어둠, 관통
타격
타격
쿼츠×50
[엘레강트 셸] 다크 매터×1
9 38 16000 코롤라 사이스
커스 돌
관통
타격
-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39 16000 그림자 사쿠라바 [별의 바다] 타격 베기, 관통 쿼츠×50
[별들의 항로] 다크 매터×1
40 16000 지라프 아이스 번개, 타격 베기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41 16000 그림자 아이린 [카벙클] 관통 - 쿼츠×50
[트루 페니트레이터] 다크 매터×1
42 16000 아라크네 레드 라인 얼음, 관통 타격 쿼츠×50
태양의 물방울×5

* 진화 스킬
구역 스킬 캐릭터 스킬 습득 스타일
1 4 유성 이즈미 유키 종말의 Spitfire
2 7 미카즈키 무네치카 오가사하라 히사메 으스름달밤의 불릿
9 순애 앰비셔스 오오시마 니이나 Brand New Mind
3 11 이노센트 와일드 스가와라 치에 종말 로리타 백서
13 석탑의 수 니카이도 미사토 무상의 종국
4 16 리미트 임팩트 아이카와 메구미 Ikki Burst Strike
18 필멸! 베인 킥 마츠오카 치로루 질풍 고속, 멸망의 봉화
5 21 스파클 트라이샷 미나세 이치고 다가오는 환희의 폴 인 러브
23 스파클 트라이 에지 미나세 스모모 잔광
6 25 절대영도 야마와키 본 이바르 Ebon Knight
27 성화요원 카야모리 루카 여명의 이모셔널 소울
7 30 메멘토 모리 토죠 츠카사 메멘토 모리의 미소녀
32 클레어 드 룬 히이라기 코즈에 푸르른 녹턴
8 35 보이드 스톰 마루야마 카나타 에볼루션한 감수성
37 엘레강트 셸 야나기 미온 Wild Rose
9 39 별들의 항로 사쿠라바 세이라 별의 바다, 일렁이는 포춘텔러
41 트루 페니트레이터 아이린 레드메인 푸른 카벙클

6.7. 한계 돌파 수정

헬리포트 옆에 있다. SS 스타일을 피스 없이 한 단계 한계 돌파를 시켜준다. 그러기 위해서는 수정에 힘을 축적해야 하는데, 미션 중 1주일마다 갱신되는 위클리 미션을 달성할 때마다 퍼센트 단위로 충전된다. 1주일 동안 미션을 전부 달성해도 7.25%밖에 되지 않아서 무려 14주를 열심히 해야 100%를 채울 수 있다. 거기다 보통 한계 돌파가 2단계부터는 피스를 2배로 요구하듯 여기서도 2단계부터는 힘을 200%까지 채워야 겨우 할 수 있게 된다. 신경 쓰지 않고 하다가 어느 순간 찼다면 아차 하고 써주자.

전용 피스가 있는 경우 3/4단계 돌파에서도 섞어 쓸 수 있는 만능 피스와는 달리 한계 돌파 수정은 200%까지 채워야만 3/4단계 돌파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양 쪽 모두 사용이 가능한 경우 한계 돌파 수정을 먼저 사용하는 것이 낫다. 만능 피스는 한계 돌파 수정을 언제나 대체 가능한 상위 호환재이기 때문.

6.8. 뒤틀린 시간층

원문은 이시층(異時層). 매주 금요일 11시부터 화요일 11시까지 열리는, 스토리상 각 장의 중간보스 및 최종보스 중 하나와 싸우는 HARD 난이도 보스 배틀.

4.5.0 버젼 이전과 이후의 사양이 매우 크게 다르다.
====# 4.5.0 이전 버전 #====
스토리상 해당 보스와 싸우는 시간대를 진행하며, 보스의 난이도가 크게 올라간 상태가 된다. 1회 한정으로 교체가 가능한 2부대 편성을 할 수 있고, 특정 속성 또는 부대를 대상으로 추가 효과가 발생하는 것이 메인 스토리와의 차이.

도전 가능한 보스는 매주 바뀌며, 스토리 기반인만큼 초반 보스일수록 그나마 쉬운 편이지만 결코 쉽다고는 할 수 없다. 2부대 편성을 잘 활용해 DP 브레이크 역할과 HP 어택 역할을 분담하거나, 사용 횟수 제한이 있는 전용 스킬을 더 많이 쓸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당연히 SS레어, 그것도 가능하면 한계 돌파까지 어느 정도 한 캐릭을 필요한 역할이나 속성으로 1~2부대나 갖고 있어야 하는 엔드 콘텐츠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무시할 수 없는 것이, 매주 최초 클리어 보상으로 스킬 가이드와, SS스타일 전용 스킬을 다른 스타일에서도 쓸 수 있게 하는 제너럴라이즈의 소재인 노르드스트롬 결정을 준다. 이 노르드스트롬 결정은 가끔 나오는 기간 한정 미션 외에는 뒤틀린 시간층과 스코어 어택에서만 나오는 매우 희귀한 소재인지라 가능한 만큼 도전해서 얻어두어야 한다. 뒤틀린 시간층을 클리어하면 매번 미션에서 쿼츠 50개를 얻을 수 있으니 잊지 말고 꼭 받자.

적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보스 캔서 설명을 참고.

6.8.1. 4.5.0 리뉴얼 버전


뒤틀린 시간층 티켓은 매주 월요일 오전 4시에 1장씩 지급되며, 뒤틀린 시간층 화면에서 수령할 수 있다. 미수령한 채로 다음 주가 되어도 사라지지는 않고 이월된다. 한번에 10장까지 한번에 받지만, 11장 이상이어도 나눠받을 뿐 사라지는 건 아니다. 다른 티켓과 마찬가지로 플레이어 랭크에 따라 5장까지 한번에 써서 보상을 배로 챙길 수 있다.[40]

리뉴얼되면서 첫번째인 데스 슬러그만 싸울 수 있게 되었고, 이후는 하나씩 이길 때마다 해금된다.(물론 스토리 진행 조건도 충족해야 함) 한 번 해금되면 다음 달이 되어도 해금된 상태는 유지된다.

2부대 출격 형태는 동일하다.

꿈의 눈물을 쓰면 일시적으로 모든 멤버들의 스테이터스를 올릴 수 있는데, 총 5단계까지 있다. 소비량과 효과는 적에 따라 다르다.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소비량 효과 소비량 효과 소비량 효과 소비량 효과 소비량 효과
데스 슬러그 30 DP+140
모든 능력+12
60 DP+280
모든 능력+24
90 DP+420
모든 능력+36
120 DP+560
모든 능력+48
150 DP+700
모든 능력+60
로터리 몰 40 DP+150
모든 능력+12
80 DP+300
모든 능력+24
120 DP+450
모든 능력+36
160 DP+600
모든 능력+48
200 DP+750
모든 능력+60
레드 크림슨 50 DP+150
모든 능력+15
100 DP+300
모든 능력+30
150 DP+450
모든 능력+45
200 DP+600
모든 능력+60
250 DP+750
모든 능력+75
휠러 75 DP+150
모든 능력+15
150 DP+300
모든 능력+30
225 DP+450
모든 능력+45
300 DP+600
모든 능력+60
375 DP+750
모든 능력+75
플랫 핸드(3장) 100 DP+160
모든 능력+15
200 DP+320
모든 능력+30
300 DP+480
모든 능력+45
400 DP+640
모든 능력+60
500 DP+800
모든 능력+75
얼티밋 휠러 125 DP+170
모든 능력+15
250 DP+340
모든 능력+30
375 DP+510
모든 능력+45
500 DP+680
모든 능력+60
625 DP+850
모든 능력+75
플랫 핸드(4장) 150 DP+190
모든 능력+20
300 DP+380
모든 능력+40
450 DP+570
모든 능력+60
600 DP+760
모든 능력+80
750 DP+950
모든 능력+100
데저트 덴드론 200 DP+200
모든 능력+20
400 DP+400
모든 능력+40
600 DP+600
모든 능력+60
800 DP+800
모든 능력+80
1000 DP+1000
모든 능력+100

클리어 보상으로는 첫 승리시에만 주는 첫 보상과, 반복해서 주는 토벌 보상이 있다.유구의 다프네는 재능 개화에 쓰이며, 스타일별로 1번만 할 수 있으며 취소할 수 없다. 재능 개화되면 모든 능력치가 10% 올라가고, 스킬 소지 수가 1개 증가한다. 이는 1회 한계 돌파 및 5회 전생 효과와 맞먹는 상당한 가치이다. 프리미어 메달은 프리미어 메달 교환소에서 교환하는데 쓰인다. 교환 품목은 이렇다.

[1] 전투 결과로 얻는 양과 주회를 종료할 때 얻는 양을 합한 값[2] 런칭 당시에는 처음의 로딩 시간 역시 포함되는 탓에 로딩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한 번 더 돈 뒤에 로딩 시간이 빠진 클리어타임으로 자동을 돌려야 했다.[3] 던전이나 토벌 등의 콘텐츠와는 달리 메인 시나리오의 탐색은 라이프를 소모하지 않는데, 이를 이용해 용액을 파밍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 방법으로는 스킬 레벨도 올릴 수 있고 용액 드랍량도 많은 편.[4] 단 과거에 팔던 아이템이 필요하면 직접 과거의 자유 시간으로 이동해서 가야 한다.[5] 다만 부대별로 장비품 상태가 별도 설정되므로 부스터를 12개, 18개 살 필요는 없이 6개면 충분하다. 그래도 역할별로 모자라진 않도록 조금 넉넉히 사두는 게 좋다.[6] 다만 예외적으로 4장 전편 10일, 5장 전편 12일에 할 수 있는 토벌은 이미 탐색되어 있어 그날 바로 보스전이 가능하다.[7] 5장 전편까지 클리어했다면 80까지 가능하다.[8] 상술한 이벤트를 전부 보려는 게 아니면 굳이 최고치까지 올릴 이유도 없다.[대사] 선택지가 없는 대신 첫 대사부터 달라진다.[대사] [11] 에델바이스로 열어서 플레이하는 기존 이벤트엔 여전히 존재하는 콘텐츠니 유의할 것.[12] 복각 이벤트를 상시로 푸는 게임이 이 게임이 최초는 아니지만, 라스트오리진이나 가디언 테일즈처럼 첫 이벤트 진행 후 상당한 시일이 지나야 상시화가 되거나 Fate/Grand Order처럼 몇몇 중요 이벤트만 상시로 전환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정말로 비슷한 시스템을 채택한 게임은 테일즈 오브 더 레이즈 정도인데, 여기선 여는 데 사용되는 복각 티켓이 정말 가끔 부정기적으로 배포하는 경우가 아니면 유료재화로 구매하는 게 유일한 획득처라 사실상 유료 콘텐츠. 심지어 본작에선 이벤트 프리즘&교환소 말고 스토리 자체는 에델바이스를 안 써도 진입조건만 만족한다면 아무 제한 없이 볼 수 있다.[13] 다만 이쪽은 집사인 야나기의 수복 대사가 이벤트의 주제와 일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야나기는 기억 수복 대사에서 카나타와 친구가 되어달라며 넌지시 카나타의 자립을 바라고 있고, 실제로 주역인 이벤트에서 임시부대를 맡게 된 카나타가 끝까지 잘 해낼 수 있을지 시험하고 있었으며, 실제로 마지막을 제외하면 성공했다. 반면 카나타 또한 어느 정도 자립 의지가 있는 건지 루카가 야나기와 친구로 지냈으면 하는 바람을 품고 있다.[14] 이벤트마다 다르지만 제일 많은 경우엔 난이도 D(권장 전력 3000)~난이도 XIII(권장 전력 14000)까지 있다.[15] 참고로 이벤트 던전은 모든 이벤트에 있지는 않다. 오히려 던전 있는 이벤트는 6개뿐이고 최근 생기는 이벤트에는 없는 추세이다.[16] 메달 입수는 이벤트 프리즘 보상이 제일 많지만 이벤트 미션, 스코어 어택으로도 입수할 수 있다. 참고로 스코어 어택은 2주마다 바뀌기 때문에 3주 후 공개가 풀려도 4주까진 메달을 획득할 기회가 있다.[17] 다만 속성별 성장 재료의 경우 게임 초창기 스토리 이벤트 몇개 이후로는 이벤트 던전 등이 개편되면서 교환 대상에서 사라졌다[18] 단, 어드밴스는 30 난이도를 클리어하지 않아도 도전 가능[19] 브레이크 당했어도 부활 스킬로 전원 부활했다면 획득된다.[20] 이 미션은 특별한 스코어 어택에만 등장한다.[21] 비공개로 되어있으나 100씩 증가, 18100~20000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22] 현재까지 없던 패턴으로, 모든 글자가 대문자로 되어있다.[23] 단 스타일을 기준으로 하기에 파견한 멤버의 다른 스타일이라면 참전이 가능하다. 또한 장비품은 빼서 쓸 수 있다.[24] 5장 전편에서 옛날에 살던 집으로 밝혀졌다.[25] 종료된 가챠의 남은 포인트가 변환된 재화.[26] 전부 확률 드랍이며, 레어도로 표시하였다. 레어도별 목록은 여기를 참고[27] 오브 보스 등 더 강한 적들은 많지만 소비 라이프 당 경험치는 더 낮다.[28] 아라크네 라인은 권장 전력이 다른 것들보다 높지만 경험치는 거의 동일하므로 효율만 본다면 비추천[29] 물론, 해당 이벤트에서만 쓸 수 있는 메달이다.[30] 초기에는 엑소 워처 R, B, Y가 기숙사에 있고 W, P는 아카데미에 있었으나 렉투스 닐이 추가되면서 기숙사에 엑소 워처들이, 아카데미에 시니스터 & 렉투스 닐이 위치하게 되었다.[31] 숙련도는 캐릭별로 따로 있으며, 오브 장착을 해제했다 다시 장착해도 숙련도는 돌아온다. 참고로 1명의 숙련도를 100%로 만들려면 숙련도 이벤트가 없는 경우 3레벨 보스를 28번은 잡아야 한다.[32] 다만 연성 브레이슬릿이 잘 나오면 더 높은 성능이 나오기에 자주 이용할 일은 없다.[33] 스킬레벨이나 용액을 노리고 말 그대로 던전의 시작과 끝점을 반복하는 것. 초반엔 2-24를 돌리다가 트로피컬 이벤트 던전에서 용액류를 파밍하고 3-14에서 스킬 레벨을 올리기 위해 노가다를 하는 지역[34] 후술하듯 해당 콘텐츠의 최소 주회타임은 80초로, 50초인 아레나의 1.6배나 된다. 거기다 적이 1마리밖에 없어서 대개 2~3마리인 아레나에 비하면 드랍률이 1/3~1/2배로 낮다.[35] 다만 전력이 충분하고 한 종류만 얻을 필요가 없다면 2~3종 용액을 전부 체크해 훨씬 더 높은 기댓값으로 획득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소재와 전력에 따라 어느 쪽이 나은지 판단할 필요가 있다.[36] 최고난도 보스로 악명높은 뒤틀린 시간층 4장 전편 플랫 핸드와 똑같은 보더값이다.[37] 프리즘 배틀, 보석 프리즘, 이벤트 프리즘 전부 다 나온다.[38] 참고로 권장 전력 1.4만인 보석 프리즘 최고난이도, 이벤트 프리즘 최고난이도에선 11개 나온다. 권장 전력 1.7만인 아라크네 라인O 최고난이도의 경우엔 14개 나온다.[39] 레드 크림슨과 3장 플랫 핸드는 클리어하면 첨탑이 되는 장면도 전부 스킵하고 클리어하자마자 바로 게임이 끝난다. 3장 플랫 핸드는 3페이즈도 바로 스킵한다.[40] 단, 처음에는 1장만 쓸 수 있고 이긴 후부터 가능하다.[41] 공지에선 4개월마다 보충될 예정이라고 언급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98
, 8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9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