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5BABD 80%, #45BABD 20%); min-height: 31px;" {{{#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6px;" | <colbgcolor=#45BABD><colcolor=#fff> | |||
전국당대회 의장 | 정균환 | <colbgcolor=#45BABD><colcolor=#fff> 전국운영위원회 의장 | ||
| ||||
당대표 | 전병헌 | |||
최고위원 | 이미영 (수석) · 이근규 · 신재용 · 진예찬 · 정형호 (지명) · 서효영 (지명) | |||
| ||||
사무총장 | 남평오 | |||
총무사무부총장 | 이병구 | 조직사무부총장 | 허기회 | |
전략기획위원장 | 이영주 | 국민소통위원장 | 김효은 | |
홍보위원장 | 허길숙 | 법률위원장 | 조성호 | |
당대표 비서실장 | 김재열 | 수석대변인 | 김양정 | |
대변인 | 김연욱 (선임) · 이영주 · 조덕호 · 추민규 · 홍서윤 | |||
| ||||
새미래연구원장 | 김성주 | 윤리심판원장 | 이임성 | |
| ||||
정책위원회 의장 | 장덕천 | 사회경제위원장 | 전용태 | |
여성위원장 | 이미영 | 노인위원장 | 최형주 | |
청년위원장 | 신재용 | 대학생위원장 | 오경현 | |
장애인위원장 | 고관철 | 직능위원장 | 김명섭 | |
소상공인위원장 | 김영남 | 다문화위원장 | 구미정 | |
교육위원장 | 홍경표 | 지방자치위원장 | 조덕호 | |
기후환경위원장 | 이종천 | 당무감사위원장 | 김양규 | |
| ||||
문화체육특별위원장 | 박종천 | 서해권발전특별위원장 | 김용인 | |
ESG특별위원장 | 신순여 | 남북고속철도추진특별위원장 | 이근규 | |
민생경제특별위원장 | 김명기 | 도시재생특별위원장 | 최태식 | |
보편적복지특별위원장 | 김상호 | }}}}}}}}}}}}}}} |
許基會
1965년 9월 3일 ~ ([age(1965-09-03)]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당적은 새미래민주당이다.
1965년 전라북도 정읍시 산내면에서 태어났다. 칠보중학교, 칠보고등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했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서울특별시 관악구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서울특별시 관악구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관악구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행자의 사직(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으로 치러진 2016년 재보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더불어민주당 관악구청장 공천과정에서 배제되자 '최소한의 경쟁과 검증조차 허용하지 않고 기득권의 반칙에 편승했다' 비판하며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였다.
1.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95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관악 신림제13동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290 (37.90%) | 당선 (1위) | 초선 |
1998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2,502 (42.61%) | 낙선 (2위) | |||
2002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2,268 (45.44%) |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관악 바 | [[민주당(2005년)| | 3,474 (23.04%) | 당선 (1위) | 재선 |
2016 | 재보궐선거 (광역의회의원) | 서울 관악 3 | | 21,094 (35.24%) | 초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