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01:50:10

해바라기(가수)

파일:external/m1.daumcdn.net/206AF64B50101D5A0C26CD?.jpg

1. 개요2. 활동3. 발매음반 및 멤버 변천사4. 대표곡 〈사랑으로〉에 대하여5. 논란
5.1. 사설 구급차 사적 이용 논란

1. 개요

대한민국포크 듀오. 대표곡으로 사랑으로, 행복을 주는 사람 등이 있다.

2. 활동

이 땅이 끝나는 곳에서 뭉게구름이 되어
저 푸른 하늘 벗삼아 훨훨 날아 다니리라

- 뭉게구름 中
내가 가는 길이 험하고 멀지라도
그대 내게 행복을 주는 사람

- 행복을 주는 사람 中
파일:원년 해바라기.jpg
초창기 해바라기는 1973년 명동 가톨릭회관의 해바라기홀에서 함께 노래를 부른 이정선, 이주호, 한영애, 김영미가 4인조 포크 그룹을 결성하게 되면서 시작된다. 다만 그룹을 결성했으나 정작 팀 이름을 짓지 못하자 가톨릭회관의 콜레트 누아르(Colette Noir) 수녀에게 그룹 이름을 지어달라 권유하게 된다. 콜레트 수녀는 4명이 노래하는 곳이 해바라기홀 이기에 해바라기로 하는 것이 어떠냐고 하는 답변에 4인조는 그룹 이름을 해바라기로 정하게 된다.

그룹명까지 정한 해바라기는 1977년에 데뷔 앨범으로 《해바라기 노래모음 제1집》을 발매한다. 자연을 소재로 작곡한 리더 이정선의 영향으로 맑고 부드러운 포크송이 수록 되었는데 당시로선 보기 어려운 독보적인 합창과 혼성이 특징이다. 위 특징을 잘 살려낸 수록곡인 <구름, 들꽃, 돌, 연인>은 당시 청년층들이 즐겨 부르며 해바라기의 위세를 떨치게 되는 계기가 된다.

1979년에는 멤버였던 이주호는 군 입대로 인하여 탈퇴하게 되고 이주호의 자리를 대신하여 이광조가 합류한다. 이후 두 번째 정규 앨범인 《해바라기 2집》을 발매한다. 1집과 다르게 2집에서는 포크, 동요, 트로트 등 다양한 장르의 곡을 수록한게 특징인데 대표적으로 <여름>, <추억의 백마강> 등이 대중적으로 히트를 하게된다. 많은 곡들이 인기를 끌게되지만 그중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는 곡인 <뭉게구름>은 서정적인 가사와 동요같은 반주로 현재까지 회자될만큼 가장 높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이후 1982년 이주호는 유익종과 함께 2인조 체제의 해바라기를 새롭게 결성했고, 1983년 정규 1집을 냈다. 이주호가 이끄는 듀오 '해바라기'와 이정선, 한영애가 주축이 된 4인조 '해바라기'는 별개의 존재.[1]

이주호, 유익종 2인의 원년 듀오 멤버가 1980년대 중반을 산 사람들에게는 가장 잘 알려져 있을 텐데, 해바라기의 대표곡인 행복을 주는 사람모두가 사랑이에요, 어서 말을 해내 마음의 보석상자, 등이 전부 이 두 명이 활동할 때 처음 발매된 노래이기 때문이다. 또다른 대표곡인 사랑으로는 유익종이 팀을 나와 솔로로 전향한 뒤 이주호와 이광준이 함께 활동할 때인 1989년 발매된 것이다.

상기했듯 유익종이 탈퇴한 이후로는 이주호가 팀의 구심점이 되어 다른 한 명의 멤버만 몇 번씩 바뀌었다. 이광준, 심명기, 그리고 자전거 탄 풍경의 송봉주가 팀을 거쳐갔으며, 1999년부터 강성운과 호흡을 맞췄다가 2016년, 강성운이 탈퇴한 이후로는 아들 '이상'(본명 이상수) [2]과 윤종부, 김범준과 4인조로 밴드를 재편해서 활동 중이다.

2023, 2024년 현재는 1985년 2집 당시 멤버였던 이광준이 다시 합류하여 활동 중이나 예전만큼 활발하게 활동은 하지 않고 있다.

지금이야 콘서트 7080의 단골 가수 정도로만 인식되지만, 통기타를 배우는 것이 하나의 통과의례였던 1980년대의 청춘들에겐 해바라기의 음악은 거의 바이블 수준이다. 서정적인 기타 음률에 조용하면서도 어딘가 약간 꿈을 바라는 듯한 노래는 그 당시 청춘들 뿐만 아니라 전 연령에 걸쳐 사랑받았고 그만큼 명곡들이 많다.

'행복을 주는 사람'은 경연 프로그램이나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여러 차례 리메이크되며 젊은 층에게도 널리 알려졌다. '사랑으로'는 함께 살아가는 이상을 바라는 노래로 발매 당시 사람들의 마음을 적신 곡이며 김범수의 진지한 리메이크도 이루어진 적이 있고 '어서 말을 해' 같은 경우에는 2012년 국카스텐이 잔잔한 마이너 포크 발라드를 사이키델릭 하드 락으로 편곡해 불러서 화제가 된 바 있다.

3. 발매음반 및 멤버 변천사

현재의 해바라기는 상기했듯이 1976년 4인조 그룹을 계승한 팀으로 듀오로 활동하며 멤버 교체가 잦았다.
1. 4인조 해바라기 시절
- 1976년~1977년 1집: 이정선(리더, 기타, 보컬), 이주호(기타, 보컬), 한영애(보컬), 김영미(보컬)
- 1979년 2집: 이정선(리더, 기타, 보컬), 한영애(보컬), 김영미(보컬), 이광조(보컬)[3]
2. 듀오 해바라기 시절
- 1983년 1집: 이주호(리더, 기타, 보컬), 유익종(기타, 보컬)
유익종은 이주호와 음악적 견해가 메우 달랐다. 유익종은 자신만의 색채가 분명한 싱어송라이터로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싶어했었고 리더 이주호와 불화로 탈퇴한다.
- 1985년 2집: 이주호(리더, 기타, 보컬), 이광준(기타, 보컬)
1집의 성공 이후 연달아 2집도 성공하게 된다. 특히 2집은 최상의 녹음 상태로 극찬을 받았다.
유익종 탈퇴 후 새롭게 이광준이 합류한다. 이광준은 1982년 명동 등지 언더그라운드 무대에서 활동했다가 우연히 이를 본 이주호가 영입하여 현재까지 활동하게 된다.
- 1986년 3집: 이주호(리더, 기타, 보컬), 유익종(기타, 보컬)
1집 멤버 유익종이 다시 합류하게 된다. 3집은 이주호가 주로 노래하고 다른 멤버가 가볍게 화음을 넣는 합창에서 벗어나 서로 주고받는 식으로 녹음하여 듀엣의 장점을 잘 살렸다고 호평을 받았다.
- 1988년 5월 4집: 이주호(리더, 기타, 보컬), 이광준(기타, 보컬)
2집 멤버였던 이광준이 다시 합류했다. 이 체재로 6집까지 이어지다가 이광준은 대마초 사건으로 팀을 탈퇴한다.
- 1988년 12월 5집: 이주호(리더, 기타, 보컬), 이광준(기타, 보컬)
- 1989년 6집 ('89 해바라기): 이주호(리더, 기타, 보컬), 이광준(기타, 보컬)
최대의 히트곡 <사랑으로>가 실린 앨범이다. 해바라기는 이 앨범 이후 계속해서 앨범을 발매하며 활동했으나 히트곡은 없었다.
- 1992년 '92 해바라기: 이주호(리더, 기타, 보컬), 심명기(기타, 보컬)
- 2000년
- 2003 해바라기(아름다운 약속): 이주호, 강성운
멤버 강성운은 2017년까지 활동하였다가 탈퇴했다. 현재는 카페를 운영 중이다.
- 2005 해바라기:
- 2009 해바라기 사랑1
- 2012 해바라기 한송이
- 2013 해바라기 두송이

4. 대표곡 〈사랑으로〉에 대하여

해바라기의 대표곡 〈사랑으로〉의 가사에 관한 일화가 있다.
이주호가 작곡을 하고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때 발표하려 했으나 가사를 완성하지 못했고, 1988년 서울 올림픽 때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다 1989년 2월 27일 서울 강서구 공항동에서 부모가 집에 없는 사이에 4자매가 생활고 등을 이유로 음독 자살을 시도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어머니의 발견으로 병원으로 옮겨져 막내딸은 사망, 첫째부터 셋째까지는 중태에 빠졌다가 나중에 회복해서 퇴원하게 되었는데 이 사건을 신문에서 보고 채 2분도 걸리지 않아 가사를 완성했다고 한다. #
"연쇄진학 부모님부담" 어린 4자매 자살 기도

27일 하오(오후) 2시 30분쯤 서울 강서구 공항동4의43, 김원묵 씨(52) 집 지하셋 방에서 양태범 씨(44)의 큰딸 순미 양(14) 둘째딸 정미 양(10) 셋째딸 은미 양(8) 막내딸 세원 양(6) 등 4자매가 생활고를 비관한 끝에 극약을 마시고 신음중인것을 어머니 김옥순 씨(36)가 발견, 병원으로 옮겼으나 막내딸은 숨지고 나머지 3명은 중태다.

어머니 김 씨에 따르면 하오 2시쯤 집근처 가게에서 쌀을 사갖고 돌아와보니 네 딸이 방안과 지하실입구 등에 쓰러져 신음중이고 막내아들(2)은 방안에서 울고 있었다는 것이다.

큰딸은 안방책상위에 묵은달력을 뜯어 「엄마, 아빠 정말 죄송합니다. 저는 걱정마세요. 나쁜딸 올림. 부모님께」라는 내용의 유서를 검은색 사인펜으로 써놓았다.

큰딸 순미 양은 병원에서 "집안 살림이 어려운데다 나는 중학교에 새로 입학하게 되고 넷째도 올해 국민학교에 진학하게 돼 집안부담이 너무 커질 것 같아 동생들과 함께 극약을 마셨다"고 말했다.

아버지 양 씨는 경기도 부천에 있는 한비산업주식회사에서 공원으로 일하면서 월25만원 정도의 수입으로[4] 6명의 식구를 부양해 왔으며, 지난 87년 4월부터 이집 지하실방 2칸을 8백만원에 전세내 살아왔다.

부모들은 경찰에서 "큰딸과 둘째딸은 어려움 속에서도 지난해 우등상을 탈 정도로 학교 성적이 우수했으며 평소 명량한 성격으로 이같은 일이 있을 것이라고는 전혀 생각지 못했다"고 진술했다.
경향신문, 1989년 2월 28일 기사 원문[5]
이런 사연이 있어서인지, 나는 가수다에서 김범수가 리메이크를 할 때 리메이크는 허용했으나, 음원 발매는 허용하지 않았는데, 방송에서 김범수의 무대를 보고 음원 발매를 허용했다는 뒷이야기가 있다.

5. 논란

5.1. 사설 구급차 사적 이용 논란


2021년에 청주시에 머무르던 이주호가 남양주시에서 열린 행사에 참여하려고 사설 구급차를 개인적인 용도로 이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주말이라 교통정체로 3시간이 넘게 걸리는 거리인데 사이렌을 키고 달리니 2시간도 걸리지 않고 도착하였다. 소속사에선 실제로 고열에 혈압이 높아 사설 구급차를 불렀으나 컨디션이 나아져서 공연장으로 갔다며 중간에 몸 상태가 나아졌다고 구급차에서 내려야 되냐며 설명하였으나 남양주시와 주최에서는 컨디션이 좋지 않아 늦거나 참석이 어렵다는 통보를 받지 않았다고 한다. 이에 보건복지부와 관할 지자체는 구급업체를 조사한 후 위반사항이 발견되면 고발할 예정이라 밝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물론 이주호의 해바라기가 4인조 해바라기에서 파생된 것은 맞지만, 1983년 듀오 해바라기의 결성 이후에도 1986년 이정선, 한영애, 이광조, 그리고 미국에서 잠시 귀국한 김영미가 해바라기라는 이름으로 정규 3집을 내며 다시 활동한 바 있기 때문에 둘은 구별하는 것이 옳다. 참고로 이때 이정선이 작사, 작곡해 수록한 '우리네 인생'은 후에 김현식이 리메이크해 더욱 유명해졌다.[2] '썬플라워 리퍼블릭 91'의 싱어송라이터로, 미국에서 회계사 공부를 하면서 음악 활동을 병행했다. 공부하고 있을 것이라고만 생각했던 아버지 이주호를 놀라게 했을 정도로 음악에 대한 재능을 선보였다고 한다.[3] 이주호의 군 입대로 인한 탈퇴로 새로 합류하여 활동했다. 이후에는 80년대 솔로 발라드 가수로 활동했다.[4] 2020년 물가로 환산해도 200만원이 채 안 되는 수입이다.[5] 동아일보 1989년 2월 28일기사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