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5 23:10:32

해리 쇼벨

<colbgcolor=#000038><colcolor=#fff> 호주 제11대 육군참모장
해리 쇼벨
Harry Chauvel
GCMC, KCB
파일:1000082431.jpg
본명 해리 조지 쇼벨 경
Sir Henry George Chauvel
출생 1865년 4월 16일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호주 식민지 뉴사우스웨일스 태벌런
사망 1945년 3월 4일 (향년 79세)
호주 자치령 빅토리아주 멜버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투움바 문법학교
복무 호주 식민지군
호주 자치령 육군 (1884~1930, 1940~1945)
최종 계급 대장
참전 보어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재임기간 제11대 육군참모장
1923년 6월 11일 ~ 1930년 4월 15일

1. 개요2. 생애

1. 개요

호주의 군인.

2. 생애

태벌런 출신으로 투움바 문법학교를 졸업하고 호주식민지군 사병으로 입대해 상병까지 진급했고 기병 대위로 있던 형 찰스의 추천으로 두 동생들과 함께 소위로 임관하게 된다. 주로 경기병연대에서 복무했고 자국 내에서 양모업자 파업 진압에도 참가하며 군사경찰의 임무도 수행했다.

1897년 영국 켄트주에 있는 왕립경보병군단에서 복무하다가 귀국해 퀸즐랜드방위군 참모로 있었다. 1899년 보어 전쟁에 참가해 존 프렌치가 이끄는 기병사단에 속해 킴벌리 공방전에서 구원군으로 참가하게 되며 첫 실전을 겪었다. 이후 승마보병으로 에드워드 허튼이 이끄는 제1혼성보병여단[1]으로 다이아몬드 힐 전투에서 공을 세워 훈장을 수여받았다.

귀국 후 호주 자치령군이 새로 만들어지자 일원이 되었고 퀸즐랜드 타운스빌에 위치한 북부지구 참모장이 되었으며 이후 제7호주경기병대대장으로 있었다. 이후 보어 전쟁의 전훈을 바탕으로 호주군의 체계를 개편시키는데 힘썼다. 1913년 대령으로 진급했고 제국참모본부에 입성해 호주 대표로 있었다.

1차 대전이 발발하며 제1호주경기병여단은 지휘할 예정이였다. 하지만 솔즈베리에 있는 영연방기지의 막사구축이 지연되어 노숙을 할 것을 걱정해 조지 리드와 허버트 키치너에게 이집트로 집결지 변경을 요청했다. 이집트에서 훈련을 진행하고 ANZAC 부대로 편성되었다.

다른 ANZAC 부대가 갈리폴리 전투에 투입되었으나 쇼벨이 이끄는 경기병여단은 이집트에 잔류했다. 그러던 중 갈리폴리를 구원하러 축차투입되었고 튀르크군의 저격수로 피해를 받는 아군을 구원하기 위해 저격수를 차출해 대항저격으로 대응했고 과감한 돌격으로 고지를 확보하기도 했다. 준장으로 진급하고 복막염으로 8주간 입원해있었으며 복귀 후 복귀해 ANZAC 사단의 권한대행이 되었고 임시계급 소장으로 진급했다. 철수 작전에서도 공을 세워 바스 훈장을 수여받았다.

1916년 창설된 이집트 원정군예하 ANZAC 기병사단장이 되었으며 중동전선에 배치되었다. 로미니 전투에서 적절한 위치선정, 포격지원, 좋은 타이밍에 지원군을 투입해 튀르크군을 격파했다. 1917년 라파 전투에서도 공을 세웠다.

다만 동부군단 사령관인 찰스 맥퍼슨 도벨과의 갈등과 물, 병력부족에 항상 시달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1차 가자 전투에서 병력에 열세임에도 불구하고 승리를 거뒀다. 반면 도벨은 제2차 가자 전투 당시 패배로 인해 해임되었다.

이후 사막기병군단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ANZAC, 영국 본토군, 제국낙타여단으로 편성되었다. 1917년 10월 베르사바 전투 당시 야간 행군으로 우회했고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제4기병여단의 기병 돌격으로 튀르크군을 흔들며 대승을 거뒀다. 얼마 안 가 예루살렘을 점령했다.

쇼벨은 튀르크군을 섬멸하기 위해 트란스요르단 지역에서 전투를 치렀으나 병력부족과 튀르크의 구원군으로 퇴각해야했다. 1918년 9월 메기도 전투에서 아랍 민병대와 연합해 튀르크군을 격파하고 다마스쿠스까지 점령해 알레포 방향으로 전진했다. 이 전투 이후 튀르크는 협상에 응하게 되었다.

이후 시리아, 이집트 상황이 좋지 않아 중동에 있다가 맹장염으로 수술하기 위해 런던에 입원했다. 1차 대전의 전공으로 여러 훈장을 수여받았다. 전후 1920년 중장으로 진급했고 육군참모장이 되었다, 1929년 호주 군인 최초로 대장으로 진급하고 1930년 육군참모장의 임기가 종료되고 예편했다. 그가 재직하던 시기 군사비 감축이 주요 과제였고 징병제에서 모병제로 개편했다.

2차 대전이 발발하자 군으로 복귀했고 일선에 나오지 못했음에도 호주 홈가드 사령관을 지내다가 1945년 종전을 보지 못하고 사망했다.


[1]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자치령군으로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