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21:01:54

해대부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CF08A,#FFB6D9><tablebgcolor=#3B3A36><tablecolor=#FCF08A,#FFB6D9> 녹정기 鹿鼎記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2px"
저자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김용(金庸)
등장인물
주인공 7명의 부인
위소보
쌍아 · 아가 · 건녕공주
목검병 · 증유 · 방이 · 소전
<rowcolor=black,#f1f1f1> 파일:청나라 국기.svg 대청국 천지회
강희제 · 황태후 · 해대부 · 오배 · 걸서 · 색액도 · 다륭 · 시랑 · 장용 · 왕진보 · 손사극 · 조양동 · 장강년 · 조제현 · 서동 · 오지영 진근남 · 오륙기 · 서천천 · 현정도인 · 풍제중 · 전노본
철검문 신룡교
구난사태 · 아기 · 도홍영[A] 홍안통 · 모동주 · 유연 · 육고헌 · 반두타 · 수두타 · 등병춘 · 종지령 · 장담월 · 무근 · 허설정 · 은금
목왕부 화산파
목검성 · 유대홍 · 오립신 · 유일주 · 오표 · 백한풍 · 백한송 귀신수 · 귀이랑 · 귀종 · 하척수
소림사 청량사
회총 · 징관 · 징심 · 징통 징광 · 옥림 · 행치 · 행전
평서왕부 동녕국
오삼계 · 오응웅 · 하국상 · 양익지 · 마보 · 노일봉 정극상 · 풍석범
한족 유학자 기타 인물
고염무 · 황종희 · 여유량 · 사계좌 · 명사안 위춘방 · 모십팔 · 장씨 부인 · 진원원 · 이자성 · 소피아 · 갈이단
2차 창작
영화
녹정기 (1983) · 녹정기 시리즈 (1992) · 마등출영 (1993)
드라마
녹정기 (1977) · 녹정기 (1984 / 홍콩) · 녹정기 (1984 / 대만) · 녹정기 (1998) · 소보와 강희 (2000) · 녹정기 (2008) · 녹정기 (2014) · 녹정기 (2020)
[A]: 도홍영은 철검문 제자는 아니나, 구난사태의 공주 시절 궁녀로서 그의 지시를 충실히 따르므로 같은 칸에 표기함. }}}}}}}}}
녹정기의 등장인물
해대부
海大富 / Hăi Dàfù
파일:녹정기 드라마 2020 해대부.jpg
드라마 〈녹정기 2020〉의
해대부(톈위(田雨) 분)
<colbgcolor=#3B3A36><colcolor=#FCF08A,#FFB6D9> 성별 남성
자택 자금성
(청나라 직예성 북경순천부)
소속 파일:청나라 국기.svg 대청국
관직 상선사 부총관 태감(尙膳司副總管太監)
등장작품 - 소설 《녹정기(원작)
- 각종 2차 창작 작품
1. 개요2. 작중 행적3. 평가4. 영화판

[clearfix]

1. 개요

海大富

소설 《녹정기》의 등장인물.

청나라 황궁의 환관이며, 직책은 상선감[1] 부총관 태감. 공동파의 고수이다.

2. 작중 행적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녹정기 영화 1992 해대부.jpg
<rowcolor=#FCF08A,#FFB6D9> 영화 〈녹정기 시리즈(1992)에서의 모습
(오맹달(吳孟達) 분)

오배와 겨루겠다고 큰소리를 치고 북경으로 올라온 모십팔위소보를 반점에서 우연히 만나 그들이 싸우는 것을 지켜보다가 모십팔을 천지회 사람으로 오해하고 이들을 납치해 황궁으로 끌고 온다. 하지만 오해가 풀린 다음에도 강호의 규칙에 따라 모십팔에게 양 손모가지와 눈 한쪽을 내놓고 가라는 요구를 했기에 마침 해대부의 지병인 폐병이 발작을 일으켜 잠깐 물항아리로 다녀온 사이에 위소보가 그가 약과 함께 먹던 술에 약을 더 타서 그걸 마시는 바람에 눈이 멀게 된다.

눈이 먼 뒤 조용히 틀어박혀 있었고 바깥 소식을 위소보가 소계자 행세를 하면서 전부 가르쳐주게 되나 소현자와 시비가 붙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위소보에게 소림사 무공을 가르쳐준다.[2] 그리고 소계자 행세를 하는 위소보를 부려서 사십이장경을 황제의 서재에서 빼내오려 했지만 오히려 위소보와 소현자가 친구가 되고, 서재에 있던 사십이장경을 찾지 못했다.

그 도중 오배가 잡혀서 가산이 몰수될 때 그를 시켜 사십이장경을 다시 빼낼 기회를 노리지만 사십이장경이 태후의 손에 들어갔다는 소식을 듣고 침울해져 있다가 몰래 외출하려는 위소보를 붙잡아 뜬금없이 양주에 대한 이야기 등을 한다.

사실 해대부는 위소보가 약을 타 자신을 장님으로 만들고 자기가 부리던 소환관인 소계자를 살해했던 것을 이미 알고 있었다. 하지만 해대부는 위소보가 분명히 누군가의 사주를 받고 잠입했을 것이라고 지레짐작을 하면서 위소보에게 최대한 온화하게 대하면서 배후를 알아내려고 했던 것. 거기다 위소보가 먹던 음식에 조금씩 독까지 타서 중독도 시켜 놓았다. 원래는 완전히 중독시킨 다음 쫓아내고 고통에 몸부림치다 죽게 만들려 했으나 자신의 몸 상태가 생각보다 악화되어 더 이상 기다릴 수 없자 서둘러 위소보의 배후를 캐내려 했던 것.

결국 궁지에 몰린 위소보가 칼을 꺼내고 자기를 죽이려 하자 위소보에게 한 방을 먹였으나 위소보의 비수가 오배의 집에서 슬쩍한 현철제라 손가락 4개가 잘렸다. 응급처치 후 위소보를 쫓아갔지만 눈이 멀어서 눈 앞에 위소보가 있는 줄도 모르고 살피다 태후가 있는 자녕궁으로 가게 된다.

사실 해대부는 강희제의 아버지인 전 황제 순치제의 충복으로 원래는 순치제를 따라 함께 출가했어야 하나 순치제가 사랑하던 후궁 단경황후 동악비, 그 아들 영친왕, 동악비의 사촌동생 정비에 더해 강희제의 친모인 효강장황후까지 화골면장을 쓰는 고수에게 살해당했다는 것을 알고는 순치제의 명령에 따라 궁궐에 남아 그 범인을 찾고 있었던 것이었다. 위소보를 이용해 함정을 파 태후가 수상하다는 것은 알았지만 실행범이 누군지는 알아내지 못하여 직접 태후를 찾아가 태후를 떠보고 그녀가 범인이라는 것도 알아내고 제압하는 데까지 성공한다. 그러나 숨어서 해대부와 태후의 대화를 전부 들은 위소보가 달려들자 뒷발질로 떨구나 그 틈에 태후가 아미자로 찔러 결국 쓰러져 죽는다. 태후가 공격해 오는 것은 알았으나 눈이 멀어 무기로 공격한다는 것을 깨닫지 못한 것이 패인. 최후의 발악으로 태후는 죽이고 가려 했으나 태후가 혼신의 힘으로 피한 탓에 그것조차 실패했다.

위소보가 가장 두려워했던 인물 중 하나. 심지어 해대부가 죽을 때조차 단검을 그의 등에 찌르고 미동도 하지 않은 것을 안 뒤에야 비로소 죽음을 확인했을 정도.

3. 평가

전 황제가 제일 신뢰한 인물로 충성심과 능력이 뛰어났으나 그 음험함 탓에 다 망친 인물. 위소보에게 무공을 가르칠 때도 자신은 공동파임에도 불구하고 강희제 주변에 있을 흉수에게 잘못된 정보를 주기 위해 소림사 무공만 가르치고 위소보 본인은 몰래 중독시켰으며 범인이 누구인지 완전히 알아내지 못한 상태에서 직접 태후를 찾아가 그 범인까지 완전히 밝혀내는 용의주도함과 지략은 물론 시력을 잃고 손가락 네 개가 잘려 나간 상태에서도 태후를 제압하는 무공도 선보였으나 결국 막판에 위소보 때문에 실패했다. 모십팔과 위소보만 건드리지 않거나, 오해가 풀렸을 때 그냥 보내주기만 했어도 될 것을 괜히 음험하게 대했다가 임무를 망쳤으니 어찌보면 자업자득. 사십이장경도 회수하여 전 황제가 있는 오대산에 전해주려고 한 듯하지만 이미 작중 초반에 죽어서 물거품이 되었다. 다만 해대부 입장에서 보자면 반정부 조직인 천지회에 호의적인 고수 하나를 그냥 보내줄 수도 없었긴 했다. 모십팔은 이미 탈옥한 수배범이기도 했고 관병이랑 투닥거리다 몇 명 죽이기까지 했다.

4. 영화판

오맹달이 분했다. 원작처럼 무공에 능하긴 하지만[3] 속을 알 수 없는 음험한 원작과 달리 주성치 영화답게 허당끼 있는 코믹 캐릭터가 되었으며 위소보에게 눈이 머는 설정이나 순치제의 충신이라는 설정 등은 안 나온다. 가짜 태후와 대결한 후 내상을 입고 위소보가 아무렇게나 준 약을 먹고 바보가 되어 위소보가 하는 대로 움직이는 꼭두각시가 되지만, 나중에 제정신을 차리고 오배를 죽이는데 일조한다. 그러나 치명상을 입어 얼마 지나지 않아 숨을 거두었고, 그 때문에 2편에선 등장하지 않는다.


[1] 궁중에 납품되는 식재료 따위를 관장하는 기관[2] 대부분 가짜였다. 이는 위소보가 진근남을 만날 때 확실하게 밝혀졌다.[3] 가짜 태후 모동주의 무공인 화골면장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