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셀블라드 HASSELBLAD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기업명 | Victor Hasselblad AB 빅토르 하셀블라드 주식회사 |
분야 | 광학, 카메라 |
설립 연도 | 1841년([age(1841-01-01)]주년) |
본사 소재지 | 예테보리(Göteborg) |
국가 | |
창립자 | 빅토르 하셀블라드(VICTOR HASSELBLAD) |
대표 | Paul-Bram (CEO) |
제품 | 광학 기기, 카메라 등 |
지도 | Utvecklingsgatan 2, 417 56 Göteborg |
공식 사이트 |
<colbgcolor=#000><colcolor=#000> 스웨덴 예테보리(Göteborg)에 위치한 핫셀블라드의 본사 |
슬로건 : “Create To Inspire."
Since 1941, Hasselblad has been devoted to creating cameras that live up to our motto, “Create To Inspire.” And over 80 years, Hasselblad cameras have been there to capture some of the most important moments and figures in the story of the world, including the first steps on the Moon. Our goal is to continue pushing the boundaries on imaging technology. We are committed to providing consumers the highest quality camera systems, that enable all types of creatives to capture their artistic vision.
Since 1941, Hasselblad has been devoted to creating cameras that live up to our motto, “Create To Inspire.” And over 80 years, Hasselblad cameras have been there to capture some of the most important moments and figures in the story of the world, including the first steps on the Moon. Our goal is to continue pushing the boundaries on imaging technology. We are committed to providing consumers the highest quality camera systems, that enable all types of creatives to capture their artistic vision.
1. 개요
빅토르 하셀블라드[1]하셀블라드이며, 발음도 '하셀'로 발음된다.] 주식회사(Victor Hasselblad AB)는 스웨덴의 예테보리에 본사를 둔 카메라 및 사진 장비 제조 업체이다. 이 회사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생산한 중형 카메라(필름)으로 알려지게 됐으며,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한 아폴로 프로그램 임무에서도 사용되었다.현재는 새로운 중형 디지털 SLR인 H 시스템을 도입하여 Leaf, 페이즈 원과 경쟁하고 있으며, 2012년에는 Sony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핫셀블라드 루나(Lunar), 스텔라(Stella) 등을 출시해 렌즈 교환식 미러리스 카메라 시장에도 진입했다. 그리고 x1d시리즈를 통해 중형 미러리스 시장에도 본격적으로 진입하였다.
반도카메라를 통해서 국내에도 정식 수입되고 있다.
2. 역사
FW Hasselblad & Co는 스웨덴 예테보리에 창업한 것은 1841년이다. 초창기에는 무역 회사였다. 창업자의 아들인 아비드 빅토르 핫셀블라드(Arvid Viktor Hasselblad)는 아마추어 사진작가였으며, 회사를 물려받은 이후 사진 부문을 설립했다. 아비드는 신혼여행으로 영국에 갔을 때 코닥의 창시자 조지 이스트만과 친교를 맺기 시작했으며, 1888년에 코닥 제품의 스웨덴 수입 총대리점이 되었다. 사진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핫셀블라드의 사진 부문 사업은 순조롭게 확대됐으며, 1908년에 Hasselblad 's Fotografiska AB로 독립해 나왔다.프리츠 빅터 핫셀블라드(Fritz Victor Hasselblad, 1906년 3월 8일 - 1978년 8월 5일)는 아비드 빅토르 핫셀블라드의 손자이며, 어릴 때부터 그는 자연 사진 촬영을 취미로 하고 있었다. 그의 사진 재능을 인정한 부친 칼 에릭 핫셀블라드는 그가 18세가 되는 해에 독일 드레스덴의 카메라 제조공장으로 보냈으며, 이후 독일, 프랑스, 미국 카메라 공장, 필름 공장, 스튜디오 등에서 일하게 된다. 빅터는 사진 산업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추고 스웨덴으로 돌아왔지만 아버지와 마찰이 많아, 1937년에 자신의 회사 Victor Foto를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면서 독일에서의 수입이 끊어지고 스웨덴 군용 카메라를 생산하는 데 집중했다. 그러던 중 스웨덴 군은 추락한 독일 비행기에서 항공 카메라를 발견했으며, 정부 측은 Hasselblad 's Fotografiska AB의 사장이 된 프리츠 빅터 핫셀블라드에게 해당 기종의 카피를 요청했다. 이에 "같은 것은 만들어낼 수 없지만, 더 뛰어난 것을 만들어낼 수는 있다."라고 대답했다는 일화가 있다. 그는 독일의 항공 카메라를 연구해 1941년에 항공용 HK7형 7 × 9 cm 판 렌즈 셔터 카메라를 제조하였다.
해당 항공용 중형 카메라를 시작으로, 1948년에 미국 시장에서 코닥 교환 렌즈 라인업인 1600F를 대량생산했으며, 이후 지금까지 6 × 6 cm 판 카메라 제조업체 1위의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2016년 6월, 5천만 화소 CMOS센서를 탑재한 x1d제품군을 선보이면서 중형 미러리스 시장에도 진입하였다.
2017년에 드론으로 유명한 DJI에 회사가 인수되었다.
2020년대 들어서 중국 BBK 그룹 산하 원플러스와 오포와의 협력을 통해 스마트폰 카메라 개발에 기여하고 있다. 핫셀블라드의 카메라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폰은 기기 후면 카메라 범프에 핫셀블라드 상징이 새겨져 있으며 촬영시 핫셀블라드 카메라 특유의 셔터음이 난다.
2.1. 우주 탐사
|
View from Apollo 11 spacecraft |
2.1.1. HASSELBLAD의 첫 번째 우주 임무 – 1962년
|
Walter Schirra and the Hasselblad 500C |
쉬라는 Hasselblad 카메라의 고품질을 잘 알고 있었기에, 이전 카메라들이 실망스러운 결과만을 가져온 것을 감안해 NASA에 Hasselblad 사용을 제안했다. NASA는 몇 대의 500C를 구입한 뒤, 다음과 같은 "다이어트" 과정을 거쳤다:
가죽 외피 제거
보조 셔터, 반사경, 뷰파인더 제거
12컷 대신 70컷을 촬영할 수 있는 새로운 필름 매거진 개발
궤도선 창에서 반사를 줄이기 위해 무광 블랙 도장
이렇게 개조된 Hasselblad는 1962년 10월 머큐리 8호(MA-8)의 탑재물로 실리게 되었고, 쉬라가 지구를 6번 공전하면서 촬영한 고화질 사진들은 NASA와 스웨덴 카메라 제조사 사이의 긴밀하고 상호 유익한 협력의 새 장을 열었다.
2.1.2. 우주를 위한 카메라
|
Astronaut Edward H. White floating in zero gravity with Earth behind him, June 1965 |
2.1.3. 우주에서 역사를 포착하다
|
View from Apollo 11 spacecraft |
예를 들어, 1965년 Gemini IV 임무에서는 인류 최초의 우주 유영(Spacewalk)이 이루어졌고, James A. McDivitt는 Hasselblad로 동료인 Edward H. White가 유영하는 장면을 연속 촬영했다. 이 사진들은 곧 전 세계 주요 잡지에 실렸고, 우주의 장엄함을 세상에 알렸다.
|
Gemini-11 Spacecraft orbiting earth, 26th revolution |
2.1.4. 무중력과 극한 온도
Hasselblad Data Camera used on Apollo 8, 9, 10, 11 flights | Hasselblad 203FE used in space |
태양 아래에서는 섭씨 120도
그림자 속에서는 영하 65도
무중력 상태와 수많은 알려지지 않은 위험 요소
그럼에도 불구하고, Hasselblad는 절대적으로 안정된 성능을 제공했다. 모든 촬영은 다시는 반복할 수 없는 일생일대의 기회였고, 그 기회를 완벽히 살렸다.
2.1.5. 달 위의 HASSELBLAD
|
Edwin "Buzz" Aldrin on the moon's surface |
실버 Hasselblad Data Camera (HDC)
Réseau 플레이트 탑재
Zeiss Biogon 60mm ƒ/5.6 렌즈
닐 암스트롱의 가슴에 장착되어 달 표면 촬영
블랙 Hasselblad Electric Camera (HEC)
Zeiss Planar 80mm ƒ/2.8 렌즈
이글 착륙선 내부에서 사용됨
HDC는 실제 우주에서 사전 테스트조차 되지 않았기에 이 순간의 성공 여부는 큰 관심사였다. 다행히도, 이 카메라는 극한의 달 환경 속에서도 완벽히 작동하며 역사상 가장 상징적인 사진들을 만들어냈다.
1969년 7월 21일 촬영 후, 카메라는 줄에 매달려 착륙선으로 끌어올려졌고, 필름 매거진만 제거된 후 카메라 본체와 렌즈는 모두 달에 남겨졌다.
돌아오는 귀환선의 무게 제한이 매우 엄격했기 때문에, 아폴로 11호부터 17호까지 총 12대의 Hasselblad 카메라 바디가 달 표면에 남겨졌고, 오직 필름 매거진만 지구로 돌아왔다. 그 필름 속 이미지들이 바로 인류의 역사를 증명하는 귀중한 자료이다.
파일:146fbe84178a5addbbcccdb0e0a1f4486a2f3978_astro-footsteps.jpg | |
Astronaut's footprint in the lunar soil | Astronaut Buzz Aldrin |
Original 1969 Moon Landing Press Release | NASA Astronaut's Photography Manual |
3. 제품군
3.1. X 시스템
3.1.1. X1D1
|
X1D-50C |
- X1D-50c - 2016년 발표됐으며 세계 최초 컴팩트 중형 미러리스 카메라이다.
3.1.2. X1D2
|
X1D2-50C |
- X1D-50C 2세대 - 2019년 발표됐다.
3.1.3. X2D
|
X2D 100C Earth Explorer Limited Edition |
- X2D 100C - 2022년 발표됐으며, 1억 화소 중형 미러리스 카메라이다.
2024년 현재 핫셀블라드의 주력 라인업으로, 후지필름 GFX 시스템과 직접 경쟁자이다. 양쪽 모두 센서는 같은걸 쓰고 있다.
2024년 5월 기준, 단렌즈 (21, 25V, 28P, 30, 38V, 45, 45P, 55V, 65, 80, 90V, 90, 120Macro, 135, 135용 1.7배 텔레컨버터) 와 줌렌즈 XCD 35-75, XCD 20-35를 갖추고 있다.
3.2. V 시스템
핫셀블라드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는 라인업이다.3.2.1. 과거 모델
- 모듈식 중형카메라 시스템 (~2013)
- 초기 모델 (1948~1957)
1600F (1948~1953): 핫셀블라드의 민간용카메라의 시작. 1/1600 셔터스피드의 포컬플레인 셔터와 코닥제 렌즈가 장착되었다.
1000F (1953~1957): 기존 1600F와 다른 셔터매커니즘으로 셔터스피드는 줄어들었지만 내구성과 정확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1000F (1953~1957): 기존 1600F와 다른 셔터매커니즘으로 셔터스피드는 줄어들었지만 내구성과 정확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 500 시리즈 (1957–2013)
핫셀블라드의 상징과도 같은 기계식 카메라 시리즈. 핫셀 필름바디라고 하면 대부분 이 카메라를 말한다. 정교하게 설계된 바디와 높은 성능의 자이스설계 렌즈로 현재까지도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라이카 못지 않게 역사적인 순간들을 남겨준 카메라이다.
(굵은 글씨는 메인스트림 시리즈, 일반글씨는 염가형 시리즈. 염가형이라도 단자유무, 렌즈 F기능 유무의 차이이며 메인스트림과 실질적으로 성능차이는 없다.)
500C (1957~1970): 500시리즈의 시작. 기존 초기모델들이 사용했던 포컬플레인셔터가 아닌 리프셔터가 장착되었다. 우주비행사 월리 쉬라의 선택으로 머큐리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어 우주에 다녀오면서, 핫셀블라드와 나사간의 협력의 시작이 되었다.
500C/M (1970~1994): 폴라백을 장착할 수 있다. 500C의 단점이었던 스크린 교체를 쉽게 교체가능하도록 개선되었다.
503CX (1987~1994): 500C/M에서 TTL스트로보 단자가 추가되고 밝기가 향상된 스크린과 원터치형 파인더 등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졌다. 이때부터 내부 고무코팅이 추가되어 갈라짐문제가 있으니 유의.
500C/M 클래식 (1990~1992): 503CX가 생산되는 중 한시적으로 생산된 500C/M. 503CX와 달리 TTL스트로보가 생략된 염가형 키트이다. 503CX와 마찬가지로 고무코팅이 있으니 기존 500C/M과 구분한다. 80mm렌즈와 A12필름백 키트로만 판매하였다.
503CXI (1994~1996): 모터와인더를 장착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고, 미러의 크기를 키워, 망원에서 파인더 일부분이 검게 보이는 현상을 개선하였다.
501C (1994~1997): 500C/M 클래식의 후속모델. 마찬가지로 모터와인더, 스트로보단자가 생략된 염가형 키트이다. 80mm렌즈와 A12필름백 키트로만 판매하였다. 블랙바디만 출시.
503CW (1997~2013): 핫셀블라드의 마지막 메인스트림 500시리즈. 더욱 커진 미러로 초망원에서 파인더 일부가 검게 보이는 등 이때까지의 문제들을 개선한 500시리즈의 최종버전이다.
501CM (1997~2005): 501C의 후속이다. 마찬가지로 모터와인더, 스트로보단자가 생략되었다. 80mm렌즈와 A12필름백 키트로만 판매하였다.
503CWD (2006):503CW의 바디에 필름백이 아닌 CFV디지털백이 장착되어 나온 스페셜버전. 빅터 핫셀블라드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나온 500대 한정판이다.
500C/M (1970~1994): 폴라백을 장착할 수 있다. 500C의 단점이었던 스크린 교체를 쉽게 교체가능하도록 개선되었다.
503CX (1987~1994): 500C/M에서 TTL스트로보 단자가 추가되고 밝기가 향상된 스크린과 원터치형 파인더 등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졌다. 이때부터 내부 고무코팅이 추가되어 갈라짐문제가 있으니 유의.
500C/M 클래식 (1990~1992): 503CX가 생산되는 중 한시적으로 생산된 500C/M. 503CX와 달리 TTL스트로보가 생략된 염가형 키트이다. 503CX와 마찬가지로 고무코팅이 있으니 기존 500C/M과 구분한다. 80mm렌즈와 A12필름백 키트로만 판매하였다.
503CXI (1994~1996): 모터와인더를 장착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고, 미러의 크기를 키워, 망원에서 파인더 일부분이 검게 보이는 현상을 개선하였다.
501C (1994~1997): 500C/M 클래식의 후속모델. 마찬가지로 모터와인더, 스트로보단자가 생략된 염가형 키트이다. 80mm렌즈와 A12필름백 키트로만 판매하였다. 블랙바디만 출시.
503CW (1997~2013): 핫셀블라드의 마지막 메인스트림 500시리즈. 더욱 커진 미러로 초망원에서 파인더 일부가 검게 보이는 등 이때까지의 문제들을 개선한 500시리즈의 최종버전이다.
501CM (1997~2005): 501C의 후속이다. 마찬가지로 모터와인더, 스트로보단자가 생략되었다. 80mm렌즈와 A12필름백 키트로만 판매하였다.
503CWD (2006):503CW의 바디에 필름백이 아닌 CFV디지털백이 장착되어 나온 스페셜버전. 빅터 핫셀블라드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나온 500대 한정판이다.
- 2000 시리즈 및 200 시리즈 (1977–2004)
- SuperWide (1954–2006)
핫셀블라드의 전설적인 초광각 카메라. 자이스의 비오곤렌즈를 장착해 왜곡이 거의 없는 렌즈, 렌즈를 사면 카메라가 딸려오는 카메라로 유명하다. 다만 짧은 500시리즈와는 달리 미러가 없어 거리를 눈으로 가늠해서 찍어야하는 목측식 방식이다. 정방형포맷, 초광각, 목측식이라는 특성으로 좋은 사진을 찍기엔 상당한 난이도의 조건이지만, 이 카메라의 특성과 사용법을 잘 익힌다면 환상적인 초광각 사진을 얻을수 있다.
SWA,SW (1954~1958): 500시리즈와 달리 플렌지백을 극단적으로 줄여 38mm f4.5 비오곤 렌즈를 붙박이로 장착하였다. 때문에 500시리즈와 비교해 크기가 상당히 콤팩트하다.
SWC (1959~1979): 기존 SWC에서 디자인수정, 셔터위치 변경, 셔터장전노브 디자인 변경등 많은 수정을 거쳤다. 사실상 우리가 흔히 아는 SWC시리즈의 시작. 초기형은 은색(일명 백통)C렌즈, 후기형은 T*코팅이 있는 C렌즈로 개선. .
SWC/M (1980~1988): SWC에서 폴라로이드백이 장착되도록 개선되었다. 초기형은 C렌즈, 중기형은 CF렌즈, 후기형은 신형 파인더 장착.
903 SWC (1988~2001): SWC/M에서 스트랩고리 위치 변경, 바디 수평계 제거
905 SWC (2001~2006): CFI렌즈 장착
- Flexbody (1995–2003)
- 뷰 카메라 (틸트 & 시프트)
3.2.2. 907X
|
907X & CFV II 50C |
- 907 시리즈 (2019~)
디지털백
CFV II 50C: 5천만화소 센서 디지털백. 현재 단종
CFV 100C: 1억 화소 센서 디지털백. 24년 출시
CFV II 50 이나 CFV 100 과 같은 디지털백과 결합하여 사용되며, H, V, XPan 마운트에 대응된다.
|
Hasselblad 907X Control Grip & Hasselblad 907X Optical Viewfinder |
3.2.2.1. 특징
|
CFV 100C + 500 Series |
필름카메라의 필름 모듈을 분리하고 그 자리에 디지털 백을 결합하기 때문에 필름을 따로 구입할 필요 없이 바로 디지털 카메라로 활용할 수 있다.
|
CFV 100C + 500 Series |
3.3. H 시리즈
- H System (2002–2023)
중형 DSLR 시스템. 기존의 6x6cm 필름에서 벗어나 6x4.5cm (645) 판형을 사용하였다.
렌즈공급선도 후지논으로 변경되었고, 초기에는 페이즈원과 코닥이 디지털백을 공급하였다.
2023년 핫셀블라드는 해당 시스템을 단종하였다.
3.4. 기타
- HK-7 (1941–1945)
- SKa4 (1941–1945)
- 1600F (1948–1953)
- 1000F (1953–1957)
- XPan (1998–2006) (후지필름 설계 및 제조)
- Lunar (2012년 발표)
- H6D-400c MS (2018–present) –
Multi-Shot technology camera capturing 400-megapixel images, an industry standard in art reproduction and cultural heritage